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사회의학 > 의료 윤리학
· ISBN : 9788975996320
· 쪽수 : 514쪽
· 출판일 : 2017-09-01
책 소개
목차
새로운 판을 내면서 4
서평 6
추천사 14
감사의 글 16
매(梅)_서(序)
제1장 들어가는 말 25
제2장 돌미나리가 ‘나’인가? 41
제3장 동양학문의 완결 ‘퇴계’ 68
난(蘭)_퇴계 사상의 의학적 해석(1): 성(性), 심(心), 정(精)
Ⅰ.퇴계의 성, 심, 정 이론 개요
제4장 마음과 행동의 씨앗 ‘성’ 87
제5장 거울과 같은 ‘심’ 101
제6장 마음의 모양을 나타내는 ‘정’ 110
Ⅱ.성, 심, 정 이론의 의학적 해석
제7장 인간 본질에 대한 동서양의 시각과 영의정 강아지 120
제8장 인간관과 ‘나’ 130
제9장 행동의 동기 141
제10장 환자의 인간관을 고려하는 임상진료 154
제11장 사단의 핵심 측은 ‘공감’ 165
제12장 타인을 배려하는 착한 ‘전두엽’ 181
제13장 진정한 헤어짐은 없다 ‘만물일체’ 189
제14장 의학적인 관점에서 ‘사단칠정론’ 199
제15장 뇌의 행동조절체계와 ‘도심, 인심’ 217
국(菊)_퇴계 사상의 의학적 해석(2): 경(敬), 지(知), 행(行)
Ⅰ. 퇴계의 경, 지, 행 이론 개요
제16장 일상의 노력 ‘경’ 227
제17장 고요한 마음으로 한 가지에 집중 ‘거경’ 240
제18장 이게 뭐지? ‘궁리’ 253
제19장 마음과 행동을 되돌아보는 ‘성찰’ 269
제20장 경의 행동기법 ‘평소의 몸가짐’ 284
제21장 누가 먼저일까? ‘지’와 ‘행’ 291
Ⅱ. 경, 지, 행 이론의 의학적 해석
제22장 ‘경’의 작용 304
제23장 창조적인 공부의 원동력 ‘궁리’ 313
제24장 의사소통의 새로운 기능 ‘정’, ‘경’ 338
제25장 행을 통한 깨달음 ‘PAK theory’ 351
제26장 진료실에도 소중한 ‘PAK theory’ 362
죽(竹)_결(結)
제27장 어떻게 살아야 하나? 371
제28장 도심의 사람 381
제29장 ‘물욕’ 410
제30장 도심에 의한 직업인의 행동 429
제31장 진리는 한 곳으로 447
저자 후기 467
선서, 헌장, 장전 482
참고문헌 496
찾아보기(index) 504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질지성(氣質之性)?
모든 사람의 마음에 동일하게 갖춰진 선한 특성이 본연지성(本然之性)이라면, 형이하(形而下)의 인간의 형상(기,氣)을 취하면서 각 개인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기질적(氣質的)또는 형이하(形而下)적 특성을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기질지성(氣質之性) 역시 선천적이다.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보편성’을 가진 본연지성(本然之性)과 달리, 기질지성(氣質之性)은 ‘개체 특이적’이다. 그러니까 기질지성(氣質之性)은 인간 개인마다 다 다르다. 기질지성(氣質之性)은 이(理)가 마음에서 우세하지 못한 조건일 때 작동하는 요소로 선과 학이 정해져 있지 않다. 기질지성(氣質之性)은 사람이나 상황에 따라 선할 수도 있고 악할 수 도 있는 요소이다. 인간 개체별로 기질지성(氣質之性)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이기적인 또는 충동적인 수준이 다르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