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6519064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0-05-17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문헌고찰이란 무엇인가? · 10
문헌고찰이란 무엇인가? · 11
문헌고찰의 목적과 기여 · 12
문헌고찰 진행 과정 · 15
실행 계획 세우기 · 16
문헌고찰 글쓰기 그룹 · 17
Chapter 02 다양한 문헌고찰 접근법 · 22
연구 접근: 양적, 질적 그리고 혼합 연구 · 23
문헌고찰 접근법들: 체계적, 서술적, 해석학적 현상학적 · 26
쿠퍼의 문헌고찰 분류 체계 · 30
부록 2A · 39
과학적-체계적 문헌고찰 접근의 예 · 39
실용적-혼합적 문헌고찰 접근의 예 · 41
해석적-질적 문헌고찰 접근의 예 · 42
Chapter 03 문헌고찰의 주제 선정과 연구 질문 작성 · 46
연구 초점 정하기 · 47
독자 · 52
주제의 중요성 · 52연구 질문 · 54
도서관 검색 전 계획세우기 · 58
Chapter 04 자료 검색과 정리 · 64
문헌검색의 목적 · 64
문헌고찰의 자료 · 65
“거꾸로” 검색하기 · 67
문헌고찰을 위한 자료 검색 · 67
전자 데이터베이스로 검색 결과를 기록하기 · 76
자신만의 참고문헌 만들기 · 77
Chapter 05 자료 선택과 분석, 그리고 메모 작성 · 80
자료 선택 · 81
개별 자료 안에서 관련된 정보 찾기 · 86
메모 작성 · 87
주제를 보여주는 동심원 · 93
Chapter 06 아티클 평가 · 98
자료의 질에 대한 비판적 평가 · 99
개별 연구를 평가하는 기준 · 100
양적, 질적, 혼합적,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의
공통적인 요소들 · 102
연구별 특성을 보여주는 요소들 · 103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경향성, 깊이, 장점 그리고 풍부함 · 117
Chapter 07 문헌고찰의 구성과 조직화 · 124
문헌고찰을 조직화하는 접근법들 · 125
통합 매트릭스 · 126
요약 표 · 131
요약 표 구성 방법 · 132
문헌지도 · 137
개요 · 142
고려할 점 · 151
Chapter 08 논지를 구성하는 주장 발전시키기 · 154
논증하기 · 155
논의: 이 모든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 168
Chapter 09 문헌의 종합과 해석 · 176
서술적 문헌고찰의 통합 · 177
양적 문헌 통합 · 183
질적 문헌 통합 · 188
혼합 연구들의 통합 · 192
해석학적 현상학적 문헌 통합 · 198
Chapter 10 연구자의 목소리와 글쓰기 과정 · 206
문헌고찰 속에 드러나는 연구자의 존재 · 207
저자의 목소리와 글쓰기 과정을 발전시키기 · 217
Chapter 11 자료의 인용과 표절문제 · 230
글쓰기 양식 · 231
직접인용 · 236
참고문헌 목록 작성 · 238
표절문제 · 239
Chapter 12 최종 결과물로 만들기 · 244
1장과 2장에서 문헌을 고찰하기 · 245
1장: 서론 · 245
2장: 문헌고찰 · 253
학위논문 전체에 걸친 문헌고찰 · 258
글쓰기 조언과 수사적 장치들 · 262
문헌고찰 평가 매트릭스 · 268
참고문헌 · 276
찾아보기 ·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