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제2판)

John W. Creswell, Johanna Creswell Baez (지은이), 한유리 (옮긴이)
박영스토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0원
23,000원 >
23,000원 -0% 0원
0원
23,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65194222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24-10-10

책 소개

질적 연구를 할 때 활용 가능한 30가지의 핵심 기술을 제시하는 책이다. 제2판에서는 인용문과 참고문헌 리스트(2020년 APA 스타일 매뉴얼 포함)를 업데이트하였고, 질적 타당도 전략에 대한 표와 인터뷰 유형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목차

PART 01 질적 연구 조망하기
01│질적 연구자처럼 생각하기 3
첫 번째 노하우_3
왜 중요한가?_3
연구 과정_4
이러한 연구 과정을 따르는 여러 접근들_4
질적 연구자는 어떻게 생각하나_5
보트 사진_6
질적 연구의 특성_8
질적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잘못된 오해들_12

02│양적 연구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질적 연구 이해하기 15
두 번째 노하우_15
왜 중요한가?_15
양적 학술지에 실린 양적 연구의 특성_16
질적 학술지에 실린 질적 연구의 특성_17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특성을 연장선상에서 비교하기_20
쉽게 보이는, 또는 보기 어려운 요소들_21

03│자신의 질적 연구를 탄탄하면서도 개념적으로 흥미롭게 만들기 25
세 번째 노하우_25
왜 중요한가?_25
연구 주제 정하기_26
자신의 주변을 연구하는 것을 주의하기_27
연구 주제를 개념적으로 흥미롭게 만들기_28
연구 제목에 흥미로운 요소 추가하기_30

04│연구기간 발생하는 어려운 감정 다루기 34
네 번째 노하우_34
왜 중요한가?_34
질적 연구에서의 감정적 여정_34
감정적 여정의 단계들_35
질적 연구의 긍정적인 면_38
질적 연구의 어려운 면_38

05│지도교수, 논문 심사위원과 함께 작업하기 44
다섯 번째 노하우_44
왜 중요한가?_44
논문 심사위원에게 질적 연구 알리기_45
가장 잘 쓴 글 제출하기_46
피드백 받기_46
논문 심사위원과의 미팅_47

PART 02 예비적 요소 고려하기
06│질적 연구에서 철학과 이론 사용하기 55
여섯 번째 노하우_55
왜 중요한가?_55
질적 연구 배후에 있는 철학_56
자신의 질적 연구에 철학에 대해 기술하기_62
질적 연구에서 이론 사용하기_63

07│윤리적 이슈 예측하기 71
일곱 번째 노하우_71
왜 중요한가?_71
질적 연구에서 참여자 보호하기_72
연구의 여러 단계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이슈들_74
질적 연구자로서 저자들이 직면했던 윤리적 이슈들_77
빌려온 자료 사용에 대한 허가_80
윤리에 관한 체크리스트_81

08│문헌지도 개발하기 85
여덟 번째 노하우_85
왜 중요한가?_85
문헌을 검토할 때의 도전과제_86
질적 연구에 문헌을 배치하는 여러 대안들_87
문헌고찰 단계_89
문헌을 검토할 때 우선순위_90
문헌지도를 설계하는 방법_91
문헌지도 설계와 관련된 추가 아이디어_94
문헌지도 기술의 예_94

09│질적 연구로 쓰인 박사나 석사논문의 구조 살펴보기 97
아홉 번째 노하우_97
왜 중요한가?_97
질적 프로포절이나 계획서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내용들_98
질적 논문 프로포절의 구조_99
질적 학술지 아티클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_102

PART 03 질적 연구 소개하기
10│질적 연구 제목과 초록 작성하기 109
열 번째 노하우_109
왜 중요한가?_109
좋은 질적 제목_110
향상된 제목_113
초록의 정의_114
초록의 단어 수_114
잘 쓴 초록의 구성요소_115
초록의 예_116

11│좋은 서론과 첫 문장 쓰기 120
열한 번째 노하우_120
왜 중요한가?_120
질적 연구에서 서론의 위치_121
좋은 서론을 위한 다섯 개의 주요 요소_122
서론의 처음 문장_129

12│목적 진술과 연구질문 작성하기 133
열두 번째 노하우_133
왜 중요한가?_133
목적, 연구질문, 연구방법을 서로 연결하기_134
목적 진술_135
연구질문_139
중심질문_139
수정을 통해 중심질문의 향상을 보여주는 예시들_140
중심현상_143

PART 04 질적 자료수집하기
13│질적 자료수집과정 이해하기 149
열세 번째 노하우_149
왜 중요한가?_149
질적 자료수집의 부분들_150
질적 자료수집 체크리스트_166
14│관찰하기 168
열네 번째 노하우_168
왜 중요한가?_168
개발된 기술로서의 관찰 _169
관찰의 본질_170
관찰 과정_170
관찰 시 도움이 되는 추가 지침들_176
관찰에서의 도전과제_177
관찰 체크포인트_178

15│인터뷰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실행하기 182
열다섯 번째 노하우_182
왜 중요한가?_182
인터뷰의 종류_183
인터뷰의 시행 단계_185
인터뷰 프로토콜_188
인터뷰 프로토콜의 예시_191
추가적인 인터뷰 아이디어들_193
인터뷰 체크리스트_195
인터뷰 시의 도전들_195

16│소외된 대상으로부터 자료수집하기 200
열여섯 번째 노하우_200
왜 중요한가?_200
소외된 집단_201
소외된 집단에게서 자료를 수집할 때의 우려들_202
잠재적 우려들을 다루기_206

17│글로벌 질적 연구를 위해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인식하는 역량 키우기 211
열일곱 번째 노하우_211
왜 중요한가?_211
글로벌 질적 연구와 관련된 핵심 개념_212
문화적 역량_213
국가적 수준의 전문성 키우기_213
글로벌 연구 정책_215
방법론적 경향과 자료수집방법_215
질적 연구설계와 과정_216
글로벌 질적 연구자를 위한 제안_217

PART 05 자료분석과 타당화
18│텍스트자료 코딩하기 221
열여덟 번째 노하우_221
왜 중요한가?_221
질적 자료분석의 전반적 과정_222
원 자료에서 코드로_224
원 자료에서 테마로_225
코딩이란?_227
테마 글에서 시작해 코딩 과정을 거꾸로 유추해가기_227
코딩 과정_229

19│시각 자료 코딩하기 241
열아홉 번째 노하우_241
왜 중요한가?_241
질적 시각 자료의 종류_242
이미지를 사용할 때의 잠재적 우려사항_244
이미지 분석하기_245

20│테마 글 작성하기 254
스무 번째 노하우_254
왜 중요한가?_254
질적 자료분석에서의 네 단계 증거_255
테마 글의 요소_256
테마, 코드, 그리고 인용문을 정리한 표_261

21│자료분석을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사용하기 264
스물한 번째 노하우_264
왜 중요한가?_264
자료분석과 보고서 작성에 QDA 소프트웨어 활용하기_265
QDA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만 하는가?_267
사용 가능한 주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_269
QDA 프로그램은 어떻게 고를까?_271
QDA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의 단계들_271

22│타당도 검토 실행하기 277
스물두 번째 노하우_277
왜 중요한가?_277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란 무엇인가?_278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의 종류_279
어떤 타당도의 전략을 사용해야 할까?_284
23│코더간 일치도 실시하기 289
스물세 번째 노하우_289
왜 중요한가?_289
코더간 일치도란 무엇인가?_290
코더간 일치도를 실시하는 과정_290
코더간 일치도 검토의 예: 비공식적 방법부터 보다 체계적인 방법까지_294

PART 06 질적 연구의 글쓰기와 출판하기
24│학술적 글쓰기 303
스물네 번째 노하우_303
왜 중요한가?_303
글쓰기 훈련_304
주제에 관해 생각하기 위해 글쓰기_307
글쓰기 습관 기르기_308
생각을 단계별로 전개하기_309
좋은 글의 원칙들을 사용하기_310
글을 잘 쓰기 위한 다른 전략들_312
25│질적 방식으로 글쓰기 315
스물다섯 번째 노하우_315
왜 중요한가?_315
심층묘사를 사용해 글쓰기_316
일관성 있는 글쓰기_321
직유를 사용하여 글쓰기_324
인용을 사용하여 글쓰기_325

26│성찰적 글쓰기 329
스물여섯 번째 노하우_329
왜 중요한가?_329
성찰이란 무엇인가?_331
연구자를 위한 성찰_331
참여자를 위한 성찰_333
독자를 위한 성찰_333
어떻게 성찰적 글쓰기를 촉진할까?_334
연구의 어느 부분에 자신의 개인적 성찰을 적을까?_335

27│“결론” 챕터 쓰기 342
스물일곱 번째 노하우_342
왜 중요한가?_342
어떻게 질적 연구를 마무리하는가?_343
“결론” 부분에 무엇이 들어가야 하는가에 관한 관점들_345
질적 연구를 마무리하는 두 가지 접근_350

28│학술지에 질적 아티클 게재하기 358
스물여덟 번째 노하우_358
왜 중요한가?_358
학문적 커리어와 학술지 게재_359
논문 투고 전에 학술지 살펴보기_362

PART 07 연구 질 평가와 질적 설계 사용하기
29│질적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 선택하기 373
스물아홉 번째 노하우_373
왜 중요한가?_373
질적 연구에서 기준이 중요한가?_374
기준과 관련된 몇 가지 관점들_375
어떤 기준을 사용할 것인가?_382

30│질적 설계 선택하기 385
서른 번째 노하우_385
왜 중요한가?_385
일반적 유형의 질적 연구에서 특정 질적 설계로 이동하기_388
다섯 개의 연구설계_389
자신의 프로젝트에 적합한 연구설계를 어떻게 선택하는가?_397
이야기 변경하기의 예_399

저자소개

John W. Creswell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정의학과 교수이며 미시간 대학 혼합연구 프로그램의 수석 연구자다. 혼합연구방법, 질적 연구, 연구설계와 관련된 상당수의 아티클과 약 30권의 책을 출판하였다. 네브래스카 링컨 대학에 근무할 당시, 클리프톤 석좌교수직을 맡았고 SAGE 출판사의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를 창간했으며, 미시간 대학 가정의학과 겸임교수, 미시간 앤아버의 재향군인 건강센터의 자문을 맡았다. 2008년 남아프리카와, 2012년 태국에서 풀브라이트 수석연구자로 활동했다. 2011년에는 건강과학 분야에서의 혼합연구 실행을 위한 국립 건강 재단의 위원회를 공동으로 이끌었다. 또한 하버드 공공건강 대학원의 방문 교수를 역임했고, 남아프리카 프레토리아 대학에서 명예박사를 수여받았다. 2014년에는 혼합방법 국제 연구위원회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2015년에는 미시간 혼합방법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이끌기 위해 미시간 대학의 가정의학 위원으로 합류하였다. 2017년에는 미국심리학회에서 주도하는 질적, 그리고 혼합연구 기준 논의에 공동 저자로 참여하였다. 2018년에는 그의 책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이 오랜 기간 기여해온 것을 인정받아 맥거피 장수 상(McGuffey longevity Award)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Johanna Creswell Baez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의 개발 매니저이자 콜롬비아 대학 사회복지대학원 온라인 캠퍼스의 겸임 부교수다. 그녀는 뉴욕에 있는 웨디코(Wediko) 어린이 시설 비영리 지사의 공동창시자이며 책임자로, 그리고 연구/보조금 담당자로 근무하였다. 웨디코 근무 시절, 그녀는 도심지역 아이들의 사회‧정서적 학습, 그리고 트라우마와 관련한 여러 지역에 걸친 프로그램의 평가를 담당하였고, 수석 보조금 유치자였으며, 매주 임상 슈퍼비전을 제공하였고, 프로그램의 결정을 담당하는 시니어 행정 팀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최근에는 로버트 우드 존슨 재단의 임상학자로서 텍사스 지역에 있는 취약한 이민자 청소년과 가족들을 위한, 트라우마와 문화적 민감성에 초점을 둔 정신건강 서비스 프로그램을 연구해오고 있다. 그녀는 2006년, 콜롬비아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15년에는 스미스 칼리지에서 임상사회복지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난 20년 넘게 뉴욕 시내의 공립학교와 사립 센터 내에 있는 시설에서 감정적으로 취약한 청소년과 가족을 대상으로 임상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지난 10년간은 연구, 행정, 그리고 임상 슈퍼바이저로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일을 해오고 있다. 그녀의 전문분야는 프로그램 개발, 온라인 강의, 권리 옹호, 직원 훈련, 연구비 작성, 재정지원, 그리고 질적 방법과 혼합방법을 활용한 프로그램 평가다.
펼치기
한유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지아 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 Athens)에서 평생교육 및 HRD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과정 중 질적 연구 방법에 흥미를 느껴, 현재는 연구 입문자들이 질적 연구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로는 『질적 연구 입문』, 『초보 연구자를 위한 질적 자료 분석 가이드』, 『차근차근 자문화기술지』, 『소프트웨어로 해보는 문헌고찰: MAXQDA 활용하기』가 있으며,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문헌리뷰 작성 가이드』, 『사회구성주의로의 초대』를 번역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