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관협력사업

민관협력사업(PPP)의 개요와 이해

The World Bank Group (지은이), 김재연, 이용배, 박자분, 서원탁 (옮긴이)
박영스토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민관협력사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관협력사업(PPP)의 개요와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사/건축일반
· ISBN : 9791165190781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0-08-30

책 소개

국제금융기구들에 의해 작성된 'The APMG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Certificate Guide-Chapter 1'의 개념과 용어를 한국어로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집필된 책이다. 주로 민관협력사업을 주도하는 정부기관의 입장에서 설명하였다.

목차

Chapter 01 민관협력이란

01 PPP 방식의 개념 10
1. 각 기관에서 정의하는 PPP와 그 범위 _10
2. 처음 PPP를 이해하는 데 있어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 _13
02 PPP의 정의 및 분석과 신규 인프라 조달을 위한 PPP 계약의 특징 15
03 민간 자본의 참여 방식과 민관협력사업의 분류 22
1. PPP로 분류되지 않는 인프라 조달 방식 _24
2. PPP로 분류되는 인프라 조달 방식 _28
3. 서비스나 기존 인프라를 관리하는 계약 _37
4. 공공 인프라나 서비스에 민간 사업자가 참여하는 또 다른 형태들 _41
04 민관협력사업의 다양한 형태와 관련된 용어들 44
05 민관협력사업(PPP) 방식이 활용가능한 상황 및 시기 50
1. PPP방식 자금조달의 성격과 정부 예산관리상의 특수성 _54
2. 효율성(Efficiency)과 유효성(Effectiveness): 인프라 사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잠재적 방식의 PPP 적용 _56
3. 정부에 전반적인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측면에서의 효용성 _63
4. PPP방식을 적용 시 단점 및 위험 _63
5. PPP의 효용을 얻기 위한 조건들: 적절한 PPP 절차와 요소 및 PPP Framework과 Governance의 필요성 _67
6. 일부 EMDE 국가 및 저개발 국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거시 경제 및 금융 시장의 제한사항을 고려하여 PPP 접근법을 수정해야 할 필요성 _73

Chapter 02 민관협력사업을 위한 구조 및 자금조달

01 민관협력사업의 기본적인 구조 81
1. 기본적인 민관협력사업의 구조 _81
2. Upstream PPP 계약 구조와 지급조건 Mechanism _89
3. 서로 다른 사업범위 및 구조의 예 _92
02 민관 협력 사업의 자금조달 94
1. 민간 자본(Private Finance)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e) _97
2. 금융 구조: 각각 금융 조달 형태 및 민간 사업자의 금융 조달 전략 _102
3. 정부의 전통적인 금융조달 방식과 민간 자본을 조합한 Co-financing _109
4. 금융 조달에서 이용되는 다른 형태의 정부 참여 및 상업적 타당성 (Commercial Feasibility)을 증가시키는 방법 _111
5. PPP 프로젝트와 계약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젝트 회사의 금융 방식의 기타 고려사항 _116

Chapter 03 민관협력사업을 위한 제도적 장치 및 정책

01 민관협력사업 프레임워크(Framework)의 개념과 고려사항 127
1.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요소 및 범위 _129
2. PPP 프레임워크에 반드시 포함될 요소들 _130
3. 프레임워크의 정립(Implant) 혹은 명문화하는 방법(다른 법적인 전통) _132
4. 기존에 존재하는 프레임워크를 PPP에 맞게 수정 _134
5. 프레임워크와 프로그램에 대한 민간부문 및 잠재적인 입찰자들의 관심 _136
02 민관 협력사업 추진 절차 Cycle 개요: PPP 계약의 준비 및 구조화를 위한 관리방법 141
1. 1단계 - 프로젝트 식별(Identification) 및 PPP 선별(Screening) _145
2. 2단계 - 평가 및 준비 단계 _148
3. 3단계 - 구조화 및 초안작성(Drafting) 단계 _155
4. 4단계 - 입찰 단계(계약자 선정 및 계약 서명) _157
5. 5단계 - 계약 관리 단계(건설) _161
6. 6단계 - 계약 관리 단계(운영, 종료, 반환) _164

결론 166
찾아보기 170

저자소개

The World Bank Group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재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환경시스템공학을 전공하였다. 이후 대림산업에서 해외인프라사업 견적 및 입찰, 사업개발을 하며 다양한 국가 다양한 프로젝트와 사람들을 만나면서 현업에 대한 재미와 함께 한계를 느꼈다. 이후 모교 글로벌건설엔지니어링 석사를 하게 되면서 그 한계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에 좋은 기회를 얻어, 현재는 삼성증권 IB에서 인프라 투자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글로벌 인프라 산업에서 공학도들이 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가 있음을 알리고자 엔지니어링데일리에서 ‘인프라를 설명하는 남자들’ 및 ‘건설과 금융’을 연재중이며 팟캐스트 ‘건설왕’을 진행 중이다.
펼치기
이용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였다. 현대엔지니어링에 입사하여 전력플랜트 계장팀에 배속되어 설계업무를 하던 중 해외영업 팀으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고, 이후 세계 여러 나라의 발전소 입찰에 참여하게 되었다. 주로 EPC 사업의 입찰을 진행하다 보니 개발 사업 전반에 대한 지식의 부족함을 느끼게 되었으며, 모교 글로벌건설엔지니어링 석사 과정을 통하여 관련 지식을 습득하였다. 대학원 졸업 후 인도네시아 지사에서 주재원 생활을 시작하면서 전력 및 인프라 개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사내 PPP 학습 동호회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박자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전기전자전파공학을 전공한 후, 가장 관심있는 분야였던 발전소 및 전력시스템을 건설하는 현대엔지니어링 전력부문에 입사하였다. 발전소 전기 설계로 커리어를 출발하였고, 이후 영업, 견적을 거쳐 현재 전략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업무에 대한 통찰과 이해도를 넓히고자 진학한 동 대학 글로벌건설엔지니어링 석사과정에서 사업관리와 프로젝트금융을 공부하였다. 현재 생활 속 인프라에 담긴 공학 지식과 문명 및 인문학을 연결한 컨텐츠로 팟캐스트 ‘건설왕’을 이끌고 있다.
펼치기
서원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에서 토목공학을 전공하였다. 이후 한화건설에서 국내외 개발사업, 견적, 영업, EPC사업관리, 계약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건설산업의 이론을 체계화하고자 고려대학교 글로벌건설엔지니어링 석사과정을 마쳤다. 이후 건설산업과 금융산업의 시너지를 도모하고자 현재는 KB자산운용 인프라투자본부에서 우리나라 건설업체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설립한 민관공동펀드인 글로벌인프라펀드(GIF)를 운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건설사에서 추진하는 사업에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