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65192983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5-03-04
책 소개
목차
Part 01 재난심리지원의 이해
Chapter 01 재난과 재난상담
가. 재난에 대한 기본 이해 3
1) 재난심리지원의 필요성 3
2) 재난이란? 11
2) 재난의 경과 17
3) 재난에 대한 반응과 영향요인 18
가) 재난에 대한 반응양상 18
나) 재난 노출로 인한 위험요인 20
다) 재난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4) 트라우마 사건으로 인한 스트레스 21
5) 전염성 감염병 재난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경험 23
나. 재난상담의 개요 29
1) 재난상담이란 무엇인가? 29
가) 재난상담의 정의 29
나) 재난상담의 기본가치 29
다) 재난상담의 주요 서비스 30
라) 재난상담의 주요한 영역 30
마) 재난상담의 기본가정 32
바) 재난상담의 핵심개념 33
사) 재난상담 시 사전 고려사항 34
아) 재난상담윤리 34
2) 재난 분류에 따른 개입의 유형 35
가) 재난생존자 개입의 유형: 재난 분류를 위한 유형학 35
나) 재난생존자 개입의 범주 36
3) 재난상담 대상자의 범주: 인구노출모델 40
4) 재난상담자의 자격요건 및 의무사항 42
다. 재난 정신건강개입의 기본원칙 43
1) 재난 정신건강개입의 10가지 기본원칙 44
2) 재난 정신건강지원 편성 48
Chapter 02 재난에 대한 생존자 반응
가. 재난생존자의 특성 및 변화 과정 50
1) 재난생존자의 특성 50
2) 재난 발생 후 생존자 심리상태의 변화 54
3) 트라우마 및 사별에 대한 반응단계모델 57
가) 외상성 사별 57
나) 반응단계모델의 적용 및 주의점 62
나. 재난생존자의 반응 62
1) 생존자의 심리적·신체적 반응 62
가) 재난 직후의 생존자 반응유형 63
나) 생존자의 주요 반응 및 증상 65
2) 연령 및 특정 집단에 따른 생존자의 반응 69
가) 아동·청소년의 반응 및 최우선 고려사항 69
나) 성인의 반응 및 최우선 고려사항 75
다) 노인의 반응 및 최우선 고려사항 79
라) 다문화 집단의 반응 및 최우선 고려사항 81
Part 02 재난심리지원의 실제
Chapter 03 재난생존자 대응법 및 정신건강개입
가. 재난 정신건강지원의 실제 85
1) 재난생존자 대응의 실제 85
가) 재난생존자 대응의 원리와 목표 85
나) 재난심리요원의 기본적인 자세 87
다) 재난생존자 대응의 우선순위 89
라) 재난생존자를 위한 정신건강개입 90
마) 재난 이후 사망통보 및 처리과정에서의 고려사항 112
바) 지역사회 및 언론의 대응 121
Chapter 04 재난생존자를 위한 심리적 응급처치
가. 심리적 응급처치에 대한 기초 128
1) 심리적 응급처치란? 128
2) 누가 심리적 응급처치를 제공할 수 있나? 129
3) 어디에서 실시하는가? 129
나. 심리적 응급처치의 실제 130
1) 심리적 응급처치의 7단계 130
가) 1단계–준비 130
나) 2단계-생존자와 첫 접촉 & 안전에 대한 확인 134
다) 3단계–정보수집 143
라) 4단계–심리적 안정화 147
마) 5단계–사회적 지지 체계와 연결 152
바) 6단계-대처방안에 대한 정보 제공 153
사) 7단계-추가적으로 필요한 지원 서비스에 연계 157
2) 심리적 응급처치 지침 158
가) 심리적 응급처치의 기본지침 158
나) 심리적 응급처치의 행동지침 159
다) 생존자와 대화할 때 중요지침 162
라)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생존자 163
마) 심리적 응급처치 연습 164
바) 연령에 따른 심리적 응급처치 171
Chapter 05 재난생존자를 위한 상담기법 및 위기개입전략
가. 재난 정신건강개입을 위한 기본적 상담기법 183
1) 관계 및 신뢰형성 183
2) 귀 기울여 경청하기 183
3) 생존자에 대한 적절한 반응과 피해야 할 반응 185
4) 문제 해결 186
가) 현재 가장 중요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187
나) 대처 및 기능 능력 평가하기 187
다) 이용 가능한 자원을 평가하기 187
라) 내담자가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할 수 있도록 돕기 188
5) 주의사항 188
6) 비밀 보장 188
나. 위기개입 189
1) 정신건강위기의 정의 189
2) 정신건강위기개입의 정의 191
가) 정신건강위기개입 서비스란? 191
3) 정신건강위기개입 과정 196
가) 위기개입 과정에는 어떤 것이 포함되는가? 196
나) 정신건강위기개입의 첫 단계는 무엇인가? 197
다) 적극적인 경청 기술은 무엇인가? 198
라) 감정 명명하기는 무엇인가? 200
마) 타당화는 무엇인가? 203
바) 긍정적인 지지자가 되어주기 204
사) 주요 문제는 어떻게 파악하는가? 205
아) 위기서비스제공자가 개인이 실행 가능한 대안 방책을 찾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 208
자) 사후 개입 시 고려할 사항 209
4) 자살, 타살 및 자해 등에 대한 위험성 평가 210
가) 상담자가 자살에 대하여 알아야 할 것 211
나) 자살 위기를 경험하는 사람에 대한 대응방법 211
다) 상담자가 파악하여야 할 자살 관련 요인 212
라) 우울장애 및 약물 남용 관련 문제 탐색 214
다. 재난생존자 개입 시 의사소통 기술과 전략 230
1) 존중, 수용하는 태도 230
2) 주의집중, 적극적 경청 230
3) 재진술(반복하기, 바꾸어 말하기, 요약하기) 230
4) 감정반영 233
라. 심리적 안정화 기법 235
1) 안전한 장소 상상하기 236
2) 포커싱 236
3) 명상과 호흡법 237
4) 점진적 근육이완법 239
5) 빠른 근육이완법 241
6) 자기대화법 242
7) 착지연습 243
8) 봉쇄연습 244
9) 버리기 연습 245
10) 거리두기 247
11) 정서 자유기법 248
12) 자원 강화 249
13) 타임라인 249
14) 심상시연치료 250
15) 빛줄기 기법 250
16) 나비포옹법 251
17) 심리교육 251
Chapter 06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생존자에 대한 대응법
가. 연령별 반응과 개입 254
1) 성인을 위한 정신건강개입 261
가) 성인을 위한 즉각적인 정신건강개입 261
나) 성인을 위한 장기적인 정신건강개입 274
2) 아동·청소년을 위한 정신건강개입 283
가) 아동·청소년의 대상별 개입 283
나) 아동·청소년을 위한 즉각적인 정신건강개입 289
다) 아동·청소년을 위한 장기적인 정신건강개입 302
라) 아동·청소년을 위한 학교기반 개입 304
나. 특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생존자 집단에 대한 개입 307
1) 다문화, 다인종 집단 307
2) 심각한 수준의 정신질환 양상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생존자 집단 313
3)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생존자 집단(유가족, 고령자, 임산부, 재난심리요원 등) 313
Part 03 재난심리요원을 위한 개입
Chapter 07 재난심리요원에 대한 심리적 개입
가. 재난심리요원에 대한 심리적 지원 323
1) 재난심리요원이 처한 상황과 스트레스 요인 323
가) 재난심리요원이 처한 상황(미야기현 정신보건복지센터, 2014) 323
나) 재난심리요원의 스트레스 요인(일본 국립정신보건센터, 2003) 324
다) 재난심리요원의 세 가지 스트레스 요인(일본적십자사, 2008) 326
라) 스트레스 반응을 좌우하는 세 가지 요인(일본적십자사, 2008) 326
2) 재난심리요원에게 나타나는 스트레스 반응 327
3) 재난심리요원의 스트레스 대처방법 330
가) 스트레스 관리 330
나) 미팅을 통한 세 가지의 스트레스 관리 334
나. 재난심리요원의 자기돌봄 335
1) 사전에 고려해야 할 점 335
2) 재난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점 335
3) 사후에 고려해야 할 점 336
부록 / 339
참고문헌 / 361
찾아보기 /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