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수의학
· ISBN : 9791165194017
· 쪽수 : 106쪽
· 출판일 : 2023-03-30
목차
PART 01 동물외과질환의 이해 및 동물환자 보호자 응대
Chapter 01 일반외과 질환별 이해 및 동물환자 보호자 응대 4
Chapter 02 정형외과, 신경외과, 치과, 안과 등 질환별 이해 및 동물환자 보호자 응대 8
PART 02 수술기구의 용도와 멸균
Chapter 03 일반외과 수술기구 명칭 및 용도 이해 16
Chapter 04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수술기구 명칭 및 용도 이해 20
Chapter 05 치과 및 안과 수술기구 명칭 및 용도 이해 24
Chapter 06 봉합도구 명칭 및 용도 이해 28
Chapter 07 수술기구 팩 준비 32
Chapter 08 멸균기의 이해 및 수술기구 멸균 36
PART 03 동물병원 수술실 구성의 이해 및 수술관련 기기 관리
Chapter 09 수술실의 구성 이해 및 기기 관리 42
Chapter 10 마취기 호흡회로의 이해 및 마취기 관리 46
PART 04 동물환자 수술 전 준비 및 수술 보조
Chapter 11 마취 시 생체정보 및 모니터링의 이해 52
Chapter 12 기관튜브와 후두경 사용의 이해 56
Chapter 13 비멸균보조자의 수술준비 60
Chapter 14 멸균보조자의 수술준비 64
Chapter 15 멸균보조자의 수술보조 시 역할의 이해 68
PART 05 동물환자 수술 후 간호 및 관리
Chapter 16 마취회복 시 동물환자의 간호 74
Chapter 17 수술 후 동물환자의 간호 78
Chapter 18 수술 후 물질 및 수술기구관리 82
PART 06 창상관리 및 물리치료·재활운동
Chapter 19 창상관리 및 붕대법 88
Chapter 20 물리치료 및 재활운동 92
책속에서
머리말
최근 국내 반려동물 양육인구 증가에 따라, 인간과 더불어 사는 동물의 건강과 복지 증진에 관한 산업 또한 급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에 양질의 수의료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필연적이며, 국내 동물병원들은 동물의 진료를 위해 진료 과목을 세분화하고, 숙련되고 전문성 있는 수의료보조인력을 고용하여, 더욱 체계적이고 높은 수준으로 수의료진료서비스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2021년 8월 개정된 수의사법이 시행됨에 따라, 2022년 이후부터는 매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주관하는 국가자격시험을 통해 동물보건사가 배출되고 있습니다. 동물보건사는 동물에 대한 관찰, 체온·심박수 등 기초 검진 자료의 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 등 동물 간호 업무와 약물도포, 경구투여, 마취·수술의 보조 등 동물 진료 보조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동물보건사 양성기관은 일정 수준의 동물보건사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동물보건사 필수교과목에 해당하는 교내 실습교육이 원활하고 전문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본 실습지침서는 동물보건사 양성기관이 체계적으로 동물보건사 실습교육을 원활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학습목표, 실습내용 및 준비물 등을 각 분야별로 빠짐없이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교내 실습교육을 이수한 후 실습내용 작성 및 요점 정리를 할 수 있도록 실습일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교내실습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재로 개선해 나갈 것이며, 이 교재가 동물보건사 양성기관뿐만 아니라 동물보건사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도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바랍니다.
2023년 3월
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