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라져 가는 피그말리온 효과

사라져 가는 피그말리온 효과

(다시 읽는 교육학개론)

이광현 (지은이)
박영스토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690원
22,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3,000원 -10% 1150원 19,550원 >

책 이미지

사라져 가는 피그말리온 효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라져 가는 피그말리온 효과 (다시 읽는 교육학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5194116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반드시 원출처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하자.’는 원칙 하에 집필된 교육학 교재다. 책을 쓰려면 당연히 원 출처를 읽어야 한다. 당연한 이 원칙을 지키면 공부를 많이 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다소간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대로 읽고 소개하는 책을 쓰기 위해서 노력했다.

목차

01 추억 속에 만나는 선생님
로티(Lortie)의 “Schoolteacher”: 예비교사들은 과거의 학교생활경험으로부터 교사의 역할을 배운다
우리는 모두 학교교육 참여관찰 연구자 3
필자의 초등학교 담임 선생님 관찰 이야기 3
필자의 중학교 선생님에 대한 참여관찰 이야기 8
초·중학교 수업경험 관찰의 교육학적 교훈 13
로티의 학교교사 이야기 15

02 사라져 가는 피그말리온 효과
로젠탈과 제이콥슨의 피그말리온 효과 연구의 한계
1966년 교육계의 슈퍼스타 논문: 로젠탈과 제이콥슨의 피그말리온 효과 23
피그말리온 효과 연구결과: 전체 학년을 합산한 분석 결과 25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1, 2학년에서만 나타나는 피그말리온 효과 26
언어와 추론점수, 성별로 구분한 분석: 여학생의 추론 점수에서만 효과가 나타남 28
상/중/하반으로 구분하면 중간반의 추론점수에서만 나타남 30
학년이 바뀐 20개월 후의 분석결과는? 사라져 가는 피그말리온 효과 31
다른 심리학자들의 피그말리온 효과 연구 비판 33
그리스 로마 신화의 피그말리온 이야기 다시 읽어 보기 36
심리학 개론서에서 피그말리온 효과는 언급될까? 40

03 아, 방학이여!
제임스 콜먼의 학교효과 연구 이야기
“교육기회의 평등” 보고서가 학교효과 연구가 되다 45
콜먼 보고서의 주요 내용 45
콜먼 보고서의 설문문항 살펴보기 51
주요 분석결과 표 검토 56
학교효과 측정 연구의 자연실험: 여름방학, 그리고 코로나19 62

04 학교종이 땡땡땡, 어서 모이자
파블로프 조건반사의 교육학적 의미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71
학교 종소리: 수업 시작과 끝을 알리는 74
학생 조용히 시키기: 모두 박수 다섯 번 77
학교 건축 설계에 주는 시사점 79
왓슨: 아, 나의 리틀 알버트 80
왓슨의 재혼과 광고회사로의 재취업 82
리틀 알버트는 잘 살았을까? 84

05 윈도우(Window)를 보고 자기주도 학습하기
스키너의 교육상자, ‘티칭 머신’ 열어 보기
실험상자 마술사 스키너(B. F. Skinner) 89
스키너에 대한 선다형 문제 풀기 90
비둘기 탁구 경기 92
최첨단 온도 및 습도 조절 아기 돌봄 가구 94
강화방법: 간격과 비율 방식 97
월든 투: 행동주의 심리학으로 그려 낸 이상적 공동체 102
교육에서의 공학 적용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과 티칭 머신의 개발 108
에피소드 1: 체벌을 반대한 아버지 117
에피소드 2: 작은 악마 디아블리토(Diablito) 이야기 118

06 우주 속으로 나아가자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나선형 교육과정, 그리고 피아제의 미국 데뷔
개발도상국에서 최초로 개최한 88서울 올림픽 125
소련의 승리: 우주에 누가 먼저 인공위성을 쏴 올리느냐 126
“교육의 과정” 책의 구조 128
학문 구조를 알아야 진정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130
학습의 준비성: 나선형 교육과정
- 초등학생에게도 기하학을 가르치자?! 132
바흐와 스트라빈스키, 모네와 피카소의 차이 가르치기 136
직관적 사고 연습하기 140
교육 도구(Aids to Teaching): AI 티칭 머신은 책과 다를 바 없는 교재 142
브루너의 학문 인생 - 심리학자에서 교육학자로 145
교육학자가 배제된 우즈 홀 회의 147
소환되는, 그리고 소환되면 (교육계에) 좋은 스푸트니크 충격 150

07 아이들과 함께 영원히
피아제, 보이스카우트 운동을 찬양하다
피아제의 분신술? 153
피아제 원저서의 한글번역본 찾기의 어려움 154
생물학자이자 논리학을 사랑한 피아제 156
피아제의 4단계 발달이론 158
피아제 연구의 교육학적 의미 168
피아제의 몬테소리 교육법 비판 171
피아제가 제시한 구체적인 도덕교육 사례: 착하기 대회, 스카우트 활동, JRC 172
피아제가 강조한 교수법- 체험, 질문, 그리고 발견법 179
스키너와 피아제의 공통점: 일본 방문, 그리고 체벌 반대 183

08 오징어게임 하기에 너무나 작은
학급규모 효과 연구: 소규모에 관심을
그 시절을 기억하시나요? 학급규모 60명에 오징어게임이 운동장에 가득한 시절 189
OECD 교육지표: 고등학교 단계에서 학급규모를 산출하지 않는 이유는? 191
왜 학급규모와 교사 1인당 학생 수의 차이가 생길까? 195
학급규모 축소 효과는 있다? 없다? 단순하고 치열한 연구결과 합산 논쟁 197
저학년일수록 학급규모가 작아야 하는 이유는? 205
강남/신도시 등 땅값이 비싼 지역이 학급규모가 더 클 수밖에 없는 이유는? 207
학급규모가 축소되어도 교수방법이 동일하다면? 210
소규모 학급의 문제에는 왜 큰 관심을 안 가질까? 211

09 나의 경험의 재구성, 실험학교의 추억
존 듀이, 진보 혁신교육을 비판하다
19세기 말의 학교 모습: 아인슈타인 이야기 217
듀이: 진보주의 교육의 아이콘이 된 두 가지 이유 218
듀이의 교육 신조 220
역사학과 지리학을 사랑한 듀이 223
실천교육은 실생활교육이 아니라 과학하기(doing science)를 위한 교육 방법 226
아이들의 아이디어와 흥미에서 출발하지만, 종착지는 지식의 구성 229
경험과 교육: 듀이의 혁신 진보 학교에 대한 비판 231
듀이가 원조: 나선형 교육과정 236
존 듀이의 실험학교의 현재 237

10 열하나 열다섯 vs. 십일 십오
비고츠키, 언어와 문화, 그리고 근접발달영역과 가르침
비고츠키 초콜릿을 판다면 245
“사회 속의 정신” 영어 책 구입 계기 246
언어와 사고, 그리고 아동발달 247
근접발달영역: 발달과 학습, 그리고 가르침의 역할 254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vs. 일, 이, 삼, 사, 오, 육 263

11 제게 직접 말해주세요
카네기 멜론 학파의 직접적인, 섬세한 가르침
(Direct, Deliberate Instruction)
두 가지 극단적 사례 277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경제학자 허버트 사이먼, 심리학자·컴퓨터과학자가 되다 279
카네기 멜론 인지과학 학파의 형성 280
발견학습법의 인지과학적 문제점 282
교육은 맥락과 상황에 기반해야 하는가? 상황학습법(situated learning)에 대한 비판 287
프로젝트 수업으로 인해 강의평가 최하위의 나락으로 289
하노이의 탑 힌트 주기 291
직접 교수법에 대한 과학적 실험 연구의 시도 295
왜 1만 시간의 재발견인가? Drill and Skill, not Kill 300
공부에는 왕도가 없다. 어쩌면 단순한 방법이 최선 303

12 일곱 빛깔 무지개처럼
루소의 “에밀”: 행동주의, 사회적 학습이론, 지식의 구조, 애착이론,
발견학습법, 소크라테스식 질문법, 스파르타식 교육법까지
칸트도 정신없이 읽은 진정한 고전 309
사회, 인간, 교육 310
스파르타식이지만 당당하고 자유로운 교육 313
할로우의 애착 연구 315
듀이의 경험을 통한 학습, 그리고 피아제의 발견학습 315
행동주의 심리학의 소거(extinction), 강화(reinforcement) 318
밴두라의 사회적 학습 이론 320
에릭손의 1만 시간의 법칙 321
부르너의 지식의 구조 321
소크라테스식 질문법 322
교사와 학생 사이 323
로티의 학교교사: 교직의 어려움 324
에밀: 일곱 빛깔 무지개처럼 다채로운 책 325

에필로그
행동주의 심리학 재고찰: 스티브 잡스의 테디 선생님 이야기 327
교육 연구의 구체적 설정을 잘 파악해야 330
뇌과학 연구와 교육: 감독학습, 강화학습 332
거울뉴런과 모방학습 335
시험, 테스트의 필요성 337
교육의 적(Enemy)은 과연 누구인가? 338

참고자료 _341
도와주신 분 _356

저자소개

이광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졸업 미국 듀크대학교(Duke University) 정책학 석사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교육학박사(교육정책전공) 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사회학회 이사, 한국교육정치학회 이사 등 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센터 교육통계분석팀장 2021년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중장기교육정책 전문위원 2020년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위원 2016년, 2018년, 2020년 교육부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위원 2016~2019년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 2016~2018년 교육부 특별교부금 국가시책사업 평가위원 2014년 교육부 지방교육재정개혁 자문위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197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