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9435
· 쪽수 : 652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역사교육학이란 무엇인가 11
Ⅰ. 역사교육학의 개념과 특성 12
1. 교과교육학으로서 역사교육학 12
2. 역사학, 교육학, 역사교육학의 관계 18
3. ‘국가-사회-학교’와 역사교육 21
4. 교사의 전문성과 지식 37
5. 역사의 과학성 논쟁 43
Ⅱ. 역사과의 독립 및 사회과 통합 논의의 쟁점 48
1. 일제강점말기 통합교과 ‘국민과’ 운영 48
2. 해방 직후 ‘국민과’ 청산 문제와 ‘사회생활과’ 도입 50
3. 사회과 통합 과목 운영의 적절성 문제 54
Ⅲ. 세계의 역사과 편성 현황과 역사교육 57
1. 세계의 각국 역사과 편성과 내용 체계 57
2. 독립교과로서 역사과의 필요성 69
3. 역사 고유의 특성을 중시하는 세계의 역사교육 사례 72
CHAPTER 02 역사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81
Ⅰ. 역사교육의 목적과 목표 82
Ⅱ. 역사교육의 최고 목적-인간 이해 85
Ⅲ. 역사교육 목적으로서 민주시민교육의 기여와 한계 93
Ⅳ 역사교육의 목표로서 역사적 사고 100
CHAPTER 03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107
Ⅰ. 역사학의 역사 108
1. 집합단수 ‘역사’의 등장과 역사학의 탄생 108
2. 19세기 역사주의 시대 역사학의 발전 114
3. 역사적 상대주의가 남긴 숙제: 역사학은 삶의 스승인가? 121
4. 20세기 역사학 개괄 125
Ⅱ. 과학과 문학 사이의 역사학 130
1. 역사학의 풍경 130
2. 사회과학으로서의 역사학 132
3. 서사학(문학)으로서의 역사학 152
CHAPTER 04 역사교육 연구는 어떤 철학, 어떤 역사학에 기반하고 있는가 163
Ⅰ. 인식론과 역사철학 164
1. 인식론 정의 164
2. 역사철학과 포스트모더니즘: 객관성에 대한 도전 165
Ⅱ. 역사교육에서의 인식론 175
1. 역사교육에서 인식론적 태도의 유형화 175
2. 실재주의적 기준주의를 전제한 역사적 사고 논의 179
3. 역사적 사고에 대한 학문중심주의적 접근 181
4. 역사적 사고에 대한 경험중심주의적 접근 212
CHAPTER 05 역사 재현과 수용의 문제는 역사 이해와 어떻게 연관되는가 225
Ⅰ. 역사 지식의 의미화 과정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226
1. 역사 이해의 사회ㆍ문화적 맥락과 역사문화 226
2. 역사의 사회적 활용 및 의미 형성과 공공역사 232
3. 학교 밖 역사 지식의 유통 및 소비와 역사 교수학습의 방향 238
Ⅱ. 역사 재현의 문화적 매개와 역사 이해 239
1. 역사 재현의 다양한 형식 탐색과 역사교육 연구 239
2. 역사영화 241
3. 박물관과 기념관 248
CHAPTER 06 역사교육의 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할까 263
Ⅰ.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 264
1.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 264
2. 역사교육 내용의 조직 원리와 방안 267
Ⅱ. 분야사 교육의 실제 275
1. 정치사 교육 275
2. 경제사 교육 293
3. 사회사 교육 309
4. 문화사 교육 326
CHAPTER 07 어떤 세계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343
Ⅰ. ‘근대역사학’과 세계사 서술의 전통 344
1. 근대역사학의 대두와 세계사의 쇠퇴 344
2. 전통적인 세계사와 그 종착점 349
Ⅱ. ‘오늘날의 세계사’: 지구화 시대에 다시 묻는 세계사의 의미 358
1. ‘오늘날의 세계사’가 제기하는 새로운 문제의식 358
2. ‘오늘날의 세계사’의 여러 갈래 364
3. ‘오늘날의 세계사’의 서사 방식 370
Ⅲ. 우리 세계사교육의 위기와 대안 376
1. 세계사교육의 난제와 목표 376
2. 우리 세계사 교육과정의 변화와 그 함의 383
3. ‘오늘날의 세계사’와 세계사교육의 방향 전환 388
CHAPTER 08 어떻게 가르치고 무엇을 평가할까 395
Ⅰ.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396
1.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 396
2.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 405
Ⅱ. 수업지도안의 작성 426
1. 수업지도안의 필요성 426
2. 수업지도안 작성의 방법과 유의점 427
3. 수업지도안 작성의 실제 429
Ⅲ. 평가 문항 작성 435
1. 평가의 개념과 평가요소 435
2. 평가의 유형 437
3. 지필평가 439
4. 수행평가 450
CHAPTER 09 한국의 역사 교육과정, 어떻게 바뀌어왔나 461
Ⅰ. 역사 교육과정 내용 구성의 방향 462
1. 교육의 목적과 역사교육의 목적 462
2. 역사과의 서사 465
3. 국정 교과서와 ‘국사’의 집필 방향 470
Ⅱ. 역사 교육과정의 변화 477
1. 교수요목기의 역사교육 477
2. 제1~2차 교육과정 시기의 역사교육 482
3. 제3~6차 교육과정 시기의 역사교육 494
4. 제7차 교육과정과 근현대사 논쟁의 촉발 505
5. 2007ㆍ2009 개정 교육과정과 역사 논쟁 509
6. 2015ㆍ2022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 문제 512
CHAPTER 10 역사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알아야 할 기초적인 개념과 쟁점은 무엇인가 523
Ⅰ. 국가 및 학교 교육과정에서 역사과의 위치 524
1. 교육과정의 세 가지 차원과 설계 524
2. 역사과, 역사 영역, 사회 교과(군) 529
Ⅱ. 역사과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의미와 쟁점 534
1. 표준(standards)으로서의 역사과 성취기준 534
2. 판단 준거(criteria)로서의 역사과 성취수준 538
Ⅲ. 교육과정 설계에서 고려할 역사과 평가의 쟁점 543
1. 배움의 증거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 구상의 기초 543
2. 역사과 평가에 역사의 개념과 연구 방법을 반영할 가능성 546
참고문헌 552
미주 589
찾아보기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