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교육학 개론

역사교육학 개론

김보림, 나인호, 문경호, 박주현, 백은진, 윤종필, 임병철, 최병택 (지은이)
교육과학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050원
33,950원 >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사교육학 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교육학 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9435
· 쪽수 : 652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역사교육이 지향해야 할 핵심 가치이자 그 심연을 관통하는 본질인 ‘인간 이해’에 천착하며 서술되었다. 역사교육을 통한 인간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나와 다른 타인을 수용하고 포용하는 능력,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는 능력, 관용과 소통의 능력 등을 쌓아갈 수 있다.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달, AI(인공지능)의 확산, 기후 위기와 같은 새로운 환경은 인간의 존재와 삶의 방식을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역사교육은 인간이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살아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수 있는지를 성찰하는 지적ㆍ문화적 장이 되어야 한다. 이 책은 역사교육이 지향해야 할 핵심 가치이자 그 심연을 관통하는 본질인 ‘인간 이해’에 천착하며 서술되었다. 역사를 가르친다는 것은 곧 인간을 이해하도록 돕는 일이며, 인간을 이해하는 일은 다시금 자신을 성찰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새롭게 발견하는 과정이 된다. 역사교육을 통한 인간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나와 다른 타인을 수용하고 포용하는 능력,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는 능력, 관용과 소통의 능력 등을 쌓아갈 수 있다. 역사교육은 바로 그 여정을 안내하는 등불이 되어야 한다.

목차

CHAPTER 01 역사교육학이란 무엇인가 11

Ⅰ. 역사교육학의 개념과 특성 12
1. 교과교육학으로서 역사교육학 12
2. 역사학, 교육학, 역사교육학의 관계 18
3. ‘국가-사회-학교’와 역사교육 21
4. 교사의 전문성과 지식 37
5. 역사의 과학성 논쟁 43

Ⅱ. 역사과의 독립 및 사회과 통합 논의의 쟁점 48
1. 일제강점말기 통합교과 ‘국민과’ 운영 48
2. 해방 직후 ‘국민과’ 청산 문제와 ‘사회생활과’ 도입 50
3. 사회과 통합 과목 운영의 적절성 문제 54

Ⅲ. 세계의 역사과 편성 현황과 역사교육 57
1. 세계의 각국 역사과 편성과 내용 체계 57
2. 독립교과로서 역사과의 필요성 69
3. 역사 고유의 특성을 중시하는 세계의 역사교육 사례 72

CHAPTER 02 역사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81

Ⅰ. 역사교육의 목적과 목표 82
Ⅱ. 역사교육의 최고 목적-인간 이해 85
Ⅲ. 역사교육 목적으로서 민주시민교육의 기여와 한계 93
Ⅳ 역사교육의 목표로서 역사적 사고 100

CHAPTER 03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107

Ⅰ. 역사학의 역사 108
1. 집합단수 ‘역사’의 등장과 역사학의 탄생 108
2. 19세기 역사주의 시대 역사학의 발전 114
3. 역사적 상대주의가 남긴 숙제: 역사학은 삶의 스승인가? 121
4. 20세기 역사학 개괄 125

Ⅱ. 과학과 문학 사이의 역사학 130
1. 역사학의 풍경 130
2. 사회과학으로서의 역사학 132
3. 서사학(문학)으로서의 역사학 152

CHAPTER 04 역사교육 연구는 어떤 철학, 어떤 역사학에 기반하고 있는가 163

Ⅰ. 인식론과 역사철학 164
1. 인식론 정의 164
2. 역사철학과 포스트모더니즘: 객관성에 대한 도전 165

Ⅱ. 역사교육에서의 인식론 175
1. 역사교육에서 인식론적 태도의 유형화 175
2. 실재주의적 기준주의를 전제한 역사적 사고 논의 179
3. 역사적 사고에 대한 학문중심주의적 접근 181
4. 역사적 사고에 대한 경험중심주의적 접근 212

CHAPTER 05 역사 재현과 수용의 문제는 역사 이해와 어떻게 연관되는가 225

Ⅰ. 역사 지식의 의미화 과정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226
1. 역사 이해의 사회ㆍ문화적 맥락과 역사문화 226
2. 역사의 사회적 활용 및 의미 형성과 공공역사 232
3. 학교 밖 역사 지식의 유통 및 소비와 역사 교수학습의 방향 238

Ⅱ. 역사 재현의 문화적 매개와 역사 이해 239
1. 역사 재현의 다양한 형식 탐색과 역사교육 연구 239
2. 역사영화 241
3. 박물관과 기념관 248

CHAPTER 06 역사교육의 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할까 263

Ⅰ.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 264
1.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 264
2. 역사교육 내용의 조직 원리와 방안 267

Ⅱ. 분야사 교육의 실제 275
1. 정치사 교육 275
2. 경제사 교육 293
3. 사회사 교육 309
4. 문화사 교육 326

CHAPTER 07 어떤 세계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343

Ⅰ. ‘근대역사학’과 세계사 서술의 전통 344
1. 근대역사학의 대두와 세계사의 쇠퇴 344
2. 전통적인 세계사와 그 종착점 349

Ⅱ. ‘오늘날의 세계사’: 지구화 시대에 다시 묻는 세계사의 의미 358
1. ‘오늘날의 세계사’가 제기하는 새로운 문제의식 358
2. ‘오늘날의 세계사’의 여러 갈래 364
3. ‘오늘날의 세계사’의 서사 방식 370

Ⅲ. 우리 세계사교육의 위기와 대안 376
1. 세계사교육의 난제와 목표 376
2. 우리 세계사 교육과정의 변화와 그 함의 383
3. ‘오늘날의 세계사’와 세계사교육의 방향 전환 388

CHAPTER 08 어떻게 가르치고 무엇을 평가할까 395

Ⅰ.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396
1.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 396
2.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 405

Ⅱ. 수업지도안의 작성 426
1. 수업지도안의 필요성 426
2. 수업지도안 작성의 방법과 유의점 427
3. 수업지도안 작성의 실제 429

Ⅲ. 평가 문항 작성 435
1. 평가의 개념과 평가요소 435
2. 평가의 유형 437
3. 지필평가 439
4. 수행평가 450

CHAPTER 09 한국의 역사 교육과정, 어떻게 바뀌어왔나 461

Ⅰ. 역사 교육과정 내용 구성의 방향 462
1. 교육의 목적과 역사교육의 목적 462
2. 역사과의 서사 465
3. 국정 교과서와 ‘국사’의 집필 방향 470

Ⅱ. 역사 교육과정의 변화 477
1. 교수요목기의 역사교육 477
2. 제1~2차 교육과정 시기의 역사교육 482
3. 제3~6차 교육과정 시기의 역사교육 494
4. 제7차 교육과정과 근현대사 논쟁의 촉발 505
5. 2007ㆍ2009 개정 교육과정과 역사 논쟁 509
6. 2015ㆍ2022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 문제 512

CHAPTER 10 역사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알아야 할 기초적인 개념과 쟁점은 무엇인가 523

Ⅰ. 국가 및 학교 교육과정에서 역사과의 위치 524
1. 교육과정의 세 가지 차원과 설계 524
2. 역사과, 역사 영역, 사회 교과(군) 529

Ⅱ. 역사과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의미와 쟁점 534
1. 표준(standards)으로서의 역사과 성취기준 534
2. 판단 준거(criteria)로서의 역사과 성취수준 538

Ⅲ. 교육과정 설계에서 고려할 역사과 평가의 쟁점 543
1. 배움의 증거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 구상의 기초 543
2. 역사과 평가에 역사의 개념과 연구 방법을 반영할 가능성 546

참고문헌 552

미주 589

찾아보기 637

저자소개

나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대구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사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보훔 대학교(Ruhr Univ. Bochum) 역사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구대학교 박물관 관장과 한국독일사학회 회장, 대구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 방문교수를 지냈다. 대표 저서로는 Sozialreform oder Revolution (Tectum, 2003), 『개념사란 무엇인가』 (역사비평사, 2011), 『증오하는 인간의 탄생』 (역사비평사, 2019), 『중학교 역사』 교과서(공저, 천재교육, 2013) 등이 있다. 현재 세계사 교육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나인호의 다른 책 >
최병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역사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 국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 역사교육연구회 편집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100년전의 한국사』(공저, 휴머니스트, 2013), 『일제의 임업 및 수산업 정책』(동북아역사재단, 2024),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공저, 지학사, 2025) 등이 있다. 현재 일제 강점기 사회경제사, 산림녹화 문제, 지역 경제 변화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문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국립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전관저고등학교, 대전외국어고등학교, 대전과학고등학교에서 역사교사를 지냈고, 현 웅진사학회 회장, 한국 중세사학회 기획연구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고려시대 조운제도 연구』(혜안, 2014), 『1123년 코리아 리포트, 서긍의 고려도경』(푸른역사, 2023) 『바다에서 발굴한 고려사』(푸른역사, 2023), 『중학교 역사』 교과서(공저, 리베르, 2025),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공저, 지학사, 2025) 등이 있다. 현재 역대 우리나라의 포구와 항로 그리고 역사교육에서의 교수법과 북한의 역사교육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보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용산고등학교에서 기간제 역사교사, 총신대학교에서 조교수, 콜롬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의 한국학연구소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 대표 저서로는 『역사교육론 입문』(충북대학교 출판부, 2015), 『국민과의 창설과 ‘국사’교육』(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23),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공저, 리베르, 2025) 등이 있다. 현재 한국근현대사 속에서 역사교육의 생성과 발전 과정, 사회과에서 역사과 독립의 문제, AI 시대의 역사교육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백은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 역사교육학회 편집위원장, 역사교육연구회 특별연구이사(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대외협력이사 등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역사교육 목적의 인식과 실제』(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역사교육 첫걸음』(공저, 책과함께, 2022) 등이 있다. 현재 역사 연구의 방법을 적용하는 역사과 교육과정 설계, 초중학교 역사교육의 연계 강화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박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영국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에서 역사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을 지내며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 방안과 관련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역사교육 연구 분야의 전문화된 연구 성과를 정리한 『한국역사교육의 연구동향』(공저, 책과함께, 2011) 등이 있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역사 지식을 접하는 문화환경 속에서 성장하는 청소년의 역사 인식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현재 교사 교육 방법론, 교수학습 혁신 방향 등 교사 전문성 제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윤종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표 논문으로는 “Moral judgment in History Education and Historical Positionality as a Moral Evaluator”(Theory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vol. 50, 2022) 등이 있다. 현재 영미 철학의 인식론, 근대 유럽 사상사, 그리고 역사적 사고에 관한 이론 및 경험적 연구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임병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강대학교 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근대 초 유럽 지성사와 문화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신라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및 미국 오리건 대학교 미술사 학과의 방문초빙교수를 지냈다. 한국서양중세사학회 편집위원장 등으로 활동하였고, 현 한일역사가회의 한국 측 운영위원, 한국역사교육학회 편집위원 등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르네상스기 이탈리아인들의 자아와 타자를 찾아서』(푸른역사, 2012), 『불안 속에서 피어난 지성의 향연』(여문책, 2023) 등이 있다. 현재 주전공인 르네상스 및 서양지성사 외에 역사이론 및 세계사교육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