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배치의 전환

배치의 전환

(가족센터 인문융합치료와 상호문화실천)

김영순, 권요셉, 김진선, 오영섭, 황해영, 김도경, 김은희, 최수안, 김혜미, 서현주, 문희진, 유희수, 이은아 (지은이)
패러다임북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800원 -5% 0원
1,20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배치의 전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배치의 전환 (가족센터 인문융합치료와 상호문화실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92292243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가 수주한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 연구과제 ‘가족센터 상호문화실천에 관한 융합적 연구’의 일환으로 가족센터의 현장에서 시도된 다문화가정 아동 상호문화소통 프로그램 경험을 기술한 책이다. 2개의 부,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는 가족센터 인문융합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배치전환’을 실험하였다. 이 시도는 기존의 상담자-내담자 구도의 상담 프로그램 기획에서 연구자가 상담 현장에 투입되면서 연구자-상담자-내담자의 상호문화실천을 가능하게끔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연구자는 어떤 역할을 행하는 것일까? 연구자가 상담의 현장에 투입됨으로써 상담자-내담자 구도에서 배치전환이 일어난다. 배치전환은 단지 상담 현장에 제삼자인 연구자의 투입이라는 사건을 넘어 상담 현장의 구성원들에게 생성의 기제가 작동하게 한다. 우리는 이 책의 2부 ‘가족센터 상호문화실천의 실제’에서 이 경험을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가 수주한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 연구과제 ‘가족센터 상호문화실천에 관한 융합적 연구’의 일환으로 가족센터의 현장에서 시도된 다문화가정 아동 상호문화소통 프로그램 경험을 기술한 것이다. 이 책은 2개의 부, 12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목차

서문

1부 상호문화실천의 시작
1장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실천
2장 인문융합치료와 자기돌봄
3장 상담에서의 상호문화실천
4장 이야기치료와 상호문화실천
5장 상호문화실천과 인문융합치료 프로그램

2부 가족센터 상호문화실천의 실제
6장 자기표현이 서투른 내담자와 미술치료사의 상호문화실천
7장 새로운 언어를 창조하는 상호문화 의사소통
8장 우울한 아동에 나타난 타자 경험
9장 배려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3부 배치의 전환과 상호문화실천
10장 상호문화실천과 상담의 배치전환
11장 에틱과 에믹 그리고 상호문화실천
12장 배치전환과 상호문화실천 경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소개

황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연구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중국동포 결혼이주여성의 생애경험 탐구: 인정투쟁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가 있으며, 공동 저서로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적 삶과 정체성 협상』, 『중앙아시아계 이주여성의 삶: 이상과 현실 사이』가 있다. 또한 「재한 중국동포 단체 리더의 인정투쟁의 의미」, 「중국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에서 양성 평등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상호문화 실천의 개념 및 내용에 관한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오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학위 논문은 「이주배경 중도입국청소년의 미술·이야기융합치료 프로그램 참여경험 사례연구」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공동 저서로 『동남아시아계 이주민의 다문화 생활세계 연구』를 집필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내러티브 활용 인문융합치료 교수모형 적용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전환학습 관점에서 본 이주민설화조사 연구자의 다문화감수성 발달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권요셉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목회학 석사 인하대학교 인문융합치료학 박사 인문융합상담전문가 수퍼바이저, 교류분석상담사 수퍼바이저, 연극심리상담사 전) 인하대학교 전임연구교수, 초빙교수 전) 인하대 인문융합치료센터 부센터장 현) 인문심리연구소 대표 현) 럽디(주) 기업연구소 전임연구원 분열분석 연구 모임과 인문심리연구소를 운영하며 우울증과 불안증, PTSD 치료를 연구하고, 럽디(주)의 전임연구원으로서 AI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이혼 위기 부부 갈등 중재에 집중하고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합신총회 소속 목사이며 인천 더함공동체교회를 담임하고 있다. 저서로 『변화의 반복』 『라캉을 둘러싼 인문학』 『나는 왜 불안한 사랑을 하는가』 『호모 내러티쿠스』 『유목적 주체』 『배치의 전환』을 출간했고, 상담도구 및 검사지로 『애착갈등유형카드』, 『커플문답』, 『결혼문답』, 『자기문답』을 제작했다. 연구물로 정신분석과 교류분석, 분열분석 논문이 다수 있다. 인문심리연구소 sites.google.com/view/gongdongche 유튜브 채널 www.youtube.com/@analystJoseph
펼치기
김진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에서 상담심리전공으로 교육학 석사학위 취득 후 인문융합치료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영역은 다문화, 청소년, 진로상담 등이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하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과 경희사이버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청소년상담사, 임상심리사로 인하대 청소년 진로지원센터와 다양한 기관에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인하대학교상담심리대학원 부설 심리언어센터에서 전문상담연구원과 다문화융합연구소 인문융합치료센터 부연구위원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박사학위논문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경험 사례연구: 인문융합치료를 중심으로」이다. 주요 저서로는 『호모 내러티쿠스: 인문융합치료의 이해』가 있다.
펼치기
문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남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 전공으로 문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인하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논문으로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지능향상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The Literary Representation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t Vietnam War Novels”, 「한국어 학습자 상호문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가족센터 구성원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인식에 나타난 상호문화 실천에 대한 연구」, 「K-컬처 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 설계 및 적용」 등이 있다.
펼치기
최수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연구원으로, 지역사회의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와 배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Learning as Becoming: Experienc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in Self-Help Groups』이 있으며, 저서로는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elf-Reliance Education Process of the Divorced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등이 있다. 또한 『한부모 이주여성의 자립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생성’으로서의 자조모임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에 관한 연구』, 『좋은 자조모임에 대한 결혼이주여성의 인식 유형 탐색 - Q 방법론의 적용-』. 등의 연구를 발표했다.
펼치기
김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전)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 교수 한국상담심리학회 실존치료연구회 회장 현) 김은희심리상담연구소 소장
펼치기
김영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연구한다.
펼치기
김혜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자대학교 SI교육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서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토 예술치료연구소 대표로 활동중이며 서울수 정신건강의학과 예술심리상담사로 근무하고 있다.
펼치기
유희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오산 심플임상미술치료센터 미술심리상담자로 아동 상담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리상담사로 활동 중이며 오산 심풀임상미술치료센터 부센터장으로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