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69561228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5-09-26
책 소개
‘최초’와 ‘최고’를 이어 온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120년
《경영학의 길》의 가장 큰 특징은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역사가 경영대 내부 구성원이 아니라 역사학자인 외부인의 시각에 의해 서술된 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1905년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이재학’의 의미, ‘경영’이라는 개념에 대한 역사적 이해, 독일과 일본에서 처음 경영학이 발흥하던 단계에 대학에서 ‘경영학자’들이 받았던 멸시와 천대,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문으로 경영학을 만들었던 불굴의 의지, 한국 경영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일본·독일·미국 경영학의 영향, 한국 경영학의 발전이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과 궤를 같이한 여정,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선구적 시도들과 세계사 흐름과의 동시성, 그리고 시대적 변화에 따라 사회적 요청에 기민하게 반응하며 진화하는 경영학의 혁신성(...)”에 주목하여 경영대학 120년의 페이지를 채워 냈다고 밝힌다. 한국사와 세계사의 맥락 속에서 경영대학의 발자취를 서술하면서 고려대학교 경영학 연구·교육의 역사를 학술사적, 교육사적, 그리고 ‘문명사적으로’ 재조명하고자 한 역사학자의 통찰은 학과 역사의 단순한 연대기적 정리가 줄 수 없는 독창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머리말부터 2장까지의 서두에서 저자는 경영학의 의미와 1905년이라는 한국의 상황에서 경영학이라는 학문이 시작된 맥락에 관심을 두지만, 이후의 장들에서는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구체적 발전 모습에 초점을 맞춘다. 3장에서는 일제강점기 보성전문 상과와 상학과에서의 상업학 교육의 점진적 발전, 4장에서는 해방 후 고려대학교 경상대학과 상과대학에서의 경영학 교육의 도약이 서술되며, 5장에서는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과 발맞추어 경영학 연구·교육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던 경영대학의 모습을, 그리고 6장에서는 글로벌 경영대학을 지향하며 세계화 시대의 가치를 창조하는 최근의 경영대학을 그려 낸다.
저자는 무엇보다 “어떻게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이 최초와 최고를 지향할 수 있었고 성취했는지에 주목”했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경영학 연구·교육의 역사는 ‘최초’이자 ‘최고’라는 키워드로 설명된다는 것이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경영학 교육이 시작된 곳이 보성전문학교 이재학과였고, 경영대학은 1955년 경상대학이라는 명칭을 상과대학으로 개칭하면서 최초로 경영학과를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해방 이후의 경영학 교육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이어 1958년에는 국내 최초 기업경영연구소를 설립하여 전문적인 학술 연구 실천의 기반을 다졌고, 이러한 흐름은 1963년 우리나라 첫 번째 경영전문대학원 설립으로 이어졌다.
요컨대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은 언제나 ‘최초’이자 ‘최고’를 지향하고 성취하며 국내 경영학 연구 및 교육의 발전을 이끌었다. 이러한 정신은 오늘날에도 지속되어,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은 세계적 수준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글로벌 경영대학으로 성장했다. 세계화 시대에 부응하는 국제적 네트워크와 혁신적 교육과정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있으며, 한국 경영학의 과거와 현재를 넘어 미래 비전까지 제시하는 학문 공동체로 자리매김했다.
목차
《경영학의 길》 발간에 부쳐
고려대학교 경영학 교육-120년의 의의와 과제
축사
여는 글
경영학과 역사학의 만남
머리말 1905년의 문명사적 의미-중국 과거제의 폐지와 한국 경영학의 탄생
1 9105년의 중국
2 9105년의 일본
3 9105년의 한국
4 과거제 폐지의 문명사적 의미
5 한국 경영학의 탄생
1장 탄생 전사-'경영'의 기원
1 경영학이라는 학문 이야기부터
2 역사적 산물인 경영학
3 고문헌에 등장하는 '경영'
4 실무를 바탕으로 20세기에 접어들어 체계화하는 서구 경영학
5 일본에서 근대적 경영학의 형성
6 기업에서 국가, 군대, 학교, 교회로 확산하는 경영학
7 동아시아에서 '경영'의 초기 형태
8 개항 이후 한국 기업의 흐름
2장 1905년 보성전문학교 이재학과 '경영학'의 탄생
1 <교육강령>과 근대적 교육 개념의 확산
2 9105년 보성전문학교의 설립
3 이재학과 설립의 의미
4 상업학, 경제학, 경영학이 미분화된 시대적 한계
5 채만식의 단편소설 <치숙>에 나타난 이재학과 경제학 인식
6 이재학에서 상학으로
7 경 '영학' 탄생의 문명사적 의미
3장 일제강점기 상업학(경영학)의 점진적 발전
1 일제의 조선 강점과 교육의 위기
2 일제의 고등교육 정책과 보성전문학교의 위기
3 9110년대 상업과의 상업학 교육
4 9120년대 상업과에서 상과로의 학과명 변경과 교과과정
5 9132년 김성수의 보전 인수와 종합대학을 향한 도약
6 김성수의 보전 인수 이후 상과의 변화
7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로의 전락과 마지막 2년의 위기
4장 해방 후 선진 경영학의 도입과 경영대학 체계 수립
1 해방 직후 고려대학교 경상대학의 시작
2 한국전쟁 시기의 고려대학교 경상대학
3 9155년 상과대학으로의 개편과 한국 최초의 경영학과 신설
4 고려대학교 상학 · 경영학 2세대 교수진
5 미국의 ICA 경영기술원조(1957-1963)와 미국 경영학의 본격적인 도입
6 독일 경영학의 영향
7 9158년 기업경영연구소 설립과 활동
8 9161년 상과대학 교과과정의 개편
9 9163년 경영전문대학원 설립
10 상학과의 경영학과 통합과 무역학과의 등장
11 9172년, 독립 경영관 준공
5장 경제발전과 기업가정신 보급의 선구자
1 9177년 상과대학에서 경영대학으로의 전환
2 한 '강의 기적'의 명암과 경영학과 설치 붐
3 9180년대 제5공화국의 대학 정원 증가와 교수진 확대
4 기 '업가정신'을 확산시키는 경영대학
5 두 가지 차원으로 진행된 기업가정신의 확산
6 0203년, 최첨단 LG-POSCO경영관 건립
7 스포츠 발전에 이바지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8 경영대학 출신의 총장 배출
9 고려대학교 경영학의 세부 전공 분화와 심화 발전
6장 세계화의 진전과 글로벌 경영대학으로
1 세계화의 진전과 대한민국 기업의 위상 증가
2 글로벌 경영대학을 위한 사전 준비
3 영어 강의의 대폭 증가와 외국인 학생들의 증가
4 글로벌 인증의 선두에 서다
5 0213년, 현대자동차경영관 준공
6 교수진의 글로벌한 연구 역량
7 아 시아 No. 1 융복합 경영연구소 를 향한 비전
8 사회적 가치를 존중하는 ESG 경영학으로
맺음말 한국 자본주의 발전의 이정표가 되었던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120년
1 210년 동안 달라진 한국의 위상과 그 현상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 자본주의 문명과 한국의 20세기 자본주의
3 빠 '른 추격자' 전략을 넘어 새로운 가치를 선도하는 경영학으로
4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새로운 도전과 과제
부록 1 보성전문학교 이재학과부터 고려대 경영대학까지의 주요 교과과정
부록 2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120년 · 한국사 · 세계사 연표
부록 3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전임 교원
참고 문헌
항목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