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교육철학
· ISBN : 9791165194178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3-05-25
책 소개
목차
7월 1
비트겐슈타인 1 – 더 이상 말할 수 없는 것, 그 신비의 세상 2
비트겐슈타인 2 – <논리철학론>의 머리말, 헛소리가 아니길 5
비트겐슈타인 3 – <논리철학론> 1: 세계 8
비트겐슈타인 4 – <논리철학론> 1: 사물, 사태, 그리고 사실 10
비트겐슈타인 5 – <논리철학론> 1: 개개 사실들 14
비트겐슈타인 6 – <논리철학론> 2: 연관 가능성, ‘독립-의존-대상’의 형식 16
비트겐슈타인 7 – <논리철학론> 2: 대상; 단순함과 불변의 형식 21
비트겐슈타인 8 – <논리철학론> 2: 긍정적 사실과 부정적 사실, 그 전체 현실 23
비트겐슈타인 9 – <논리철학론> 2: 사실들의 그림, 묘사 형식 27
비트겐슈타인 10 – <논리철학론> 2: 그림, 현실의 모사 32
비트겐슈타인 11 – <논리철학론> 3: 사고, 논리적 그림 35
비트겐슈타인 12 – <논리철학론> 3: 명제와 의미 그리고 공간 37
비트겐슈타인 13 – <논리철학론> 4: 사고와 명제, 그리고 언어 40
비트겐슈타인 14 – <논리철학론> 4: 명제와 현실, 그 교육의 그림 44
비트겐슈타인 15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①-인간 탐구 47
비트겐슈타인 16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②-사유의 명료화 52
비트겐슈타인 17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③-실재와 표상 57
비트겐슈타인 18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④-내적 속성과 언어 60
비트겐슈타인 19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⑤-명제변수와 형식적 개념 63
비트겐슈타인 20 – <논리철학론> 4: 요소명제와 사태의 존립 69
비트겐슈타인 21 – <논리철학론> 4: 요소명제와 함수 73
비트겐슈타인 22 – <논리철학론> 4: 세계와 명제 75
비트겐슈타인 23 – <논리철학론> 4: 진리의 가능성 77
비트겐슈타인 24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① 80
비트겐슈타인 25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② 82
비트겐슈타인 26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③ 84
비트겐슈타인 27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④ 86
비트겐슈타인 28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⑤ 87
비트겐슈타인 29 – <논리철학론> 5: 진리-함수 89
비트겐슈타인 30 – <논리철학론> 5: 진리함수의 계열화 92
비트겐슈타인 31 – <논리철학론> 5: 명제의 구조, 내적 관계 95
비트겐슈타인 32 – 경험의 역할 97
비트겐슈타인 33 – <논리철학론> 5: 연역의 선천성 99
비트겐슈타인 34 – <논리철학론> 5: 요소명제의 추론 불가 100
비트겐슈타인 35 – <논리철학론> 5: 인과관계라는 미신 101
비트겐슈타인 36 – <논리철학론> 5: 의지의 자유, 자유의지 103
비트겐슈타인 37 – <논리철학론> 5: 명백함과 논리적 참 106
비트겐슈타인 38 – <논리철학론> 5: 전자와 후자 사이에 선 ‘교육목표 도식’ 107
비트겐슈타인 39 – <논리철학론> 5: 동어반복과 모순 110
비트겐슈타인 40 – <논리철학론> 5: 연산의 특징① 113
비트겐슈타인 41 – <논리철학론> 5: 연산의 특징② 116
비트겐슈타인 42 – <논리철학론> 5: 진리함수와 ‘진리치-연산’의 결과 120
비트겐슈타인 43 – <논리철학론> 5: 일반 논리형식과 세계의 본질 124
비트겐슈타인 44 – <논리철학론> 5: 상황과 명제 126
비트겐슈타인 45 – <논리철학론> 5: 세계의 완전한 기술과 명제의 합성 128
비트겐슈타인 46 – <논리철학론> 5: 경험과 논리학 130
비트겐슈타인 47 – <논리철학론> 5: 일상 언어의 논리적 질서 134
비트겐슈타인 48 – <논리철학론> 5: 나의 언어 세계의 한계 136
비트겐슈타인 49 – <논리철학론> 5: 논리와 세계, 그 한계 140
비트겐슈타인 50 – <논리철학론> 5: 유아주의, 세계와 나의 삶 144
비트겐슈타인 51 – <논리철학론> 5: 나는 소우주다 148
비트겐슈타인 52 – <논리철학론> 5: 주체, 세계의 한계 150
비트겐슈타인 53 – <논리철학론> 5: 형이상학적 주체와 지식 153
비트겐슈타인 54 – <논리철학론> 5: 생각하지 말라! 단순히 보라! 156
비트겐슈타인 55 – <논리철학론> 5: 유아주의와 실재주의, 그리고 진실 159
비트겐슈타인 56 – <논리철학론> 5: 자아의 세계 162
비트겐슈타인 57 – <논리철학론> 6: 논리학의 명제들 164
비트겐슈타인 58 – <논리철학론> 6: 논리학 명제의 특징 168
비트겐슈타인 59 – <논리철학론> 6: 세계의 골격, 삶의 딜레마 172
비트겐슈타인 60 – <논리철학론> 6: 세계의 거울상 177
비트겐슈타인 61 – <논리철학론> 6: 법칙과 법칙의 형식 179
비트겐슈타인 62 – <논리철학론> 6: 세계와 나 182
비트겐슈타인 63 – <논리철학론> 6: 세계의 뜻, 우연 183
비트겐슈타인 64 – <논리철학론> 6: 윤리학의 명제와 실천 187
비트겐슈타인 65 – <논리철학론> 6: 윤리와 의지 190
비트겐슈타인 66 – <논리철학론> 6: 무시간성, 삶과 죽음의 수수께끼 193
비트겐슈타인 67 – <논리철학론> 6: 세계, 한계 지어진 전체 198
비트겐슈타인 68 – <논리철학론> 6: 물음과 답변, 회의주의의 의심 201
비트겐슈타인 69 – <논리철학론> 6: 철학의 방법, 사다리를 버려라! 205
비트겐슈타인 70 – <논리철학론> 7: 침묵의 진실 209
<주역> 산책 1 – 변(變)과 화(化); 성명(性命)의 확충과 개척 212
<주역> 산책 2 –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역동성①; 생애(生涯)에 걸친 사업 216
<주역> 산책 3 -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역동성②; 생기유행(生氣流行)의 순환 219
<주역> 산책 4 -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역동성③; 합리(合理)를 추구하는 시공간 221
<주역> 산책 5 – 자강불식(自彊不息);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는 삶 224
<주역> 산책 6 – 진덕수업(進德修業); 인격 함양, 사업 실천 226
<주역> 산책 7 – 성덕위행(成德爲行); 인간의 품격과 행실 229
<주역> 산책 8 – 학문관인(學問寬仁); 배움과 물음에 터한 너그러운 사랑의 구가 230
<주역> 산책 9 – 교육받은 인간, 대인(大人); 시중(時中)으로 가는 길목 232
<주역> 산책 10 – 대인(大人)의 도리; 그 길은 정해졌는가! 235
<주역> 산책 11 – 다시, 대인(大人)을 향한 집념; 사욕(私慾)의 경계 237
<주역> 산책 12 – 학습(學習)과 순습(順習); 배움과 좇음의 익힘 239
<주역> 산책 13 – 교육받은 인간의 학문; 내외직방(內外直方) 242
<주역> 산책 14 – 공부의 성공; 어릴 때부터 바름을 243
<주역> 산책 15 – 과행육덕(果行育德); 교육의 과감성 244
<주역> 산책 16 – 교육의 호응(呼應); 순수에서 받아들이는 품격 246
<주역> 산책 17 – 작사모시(作事謀始); 처음에 잘 도모해야 하는 이유 247
헤르만 헤세와 나무 1 – ‘상강(霜降)’ 절기에 나무를 다시 보다 249
헤르만 헤세와 나무 2 – 위대한 고독의 힘 250
헤르만 헤세와 나무 3 – 거룩한 모범 253
헤르만 헤세와 나무 4 – 나무가 들려주는 삶의 법칙 255
헤르만 헤세와 나무 5 – 나무의 믿음 258
헤르만 헤세와 나무 6 – 내면에 깃든 고향 261
헤르만 헤세와 나무 7 – 새로운 삶을 찾는 그리움 263
헤르만 헤세와 나무 8 – 고향, 그리고 행복 265
헤르만 헤세와 나무 9 – 약한 온기, 작은 정성 267
헤르만 헤세와 나무 10 – 너도밤나무의 생명 순환 268
헤르만 헤세와 나무 11 – 흔들리는 삶의 놀이 271
헤르만 헤세와 나무 12 – 갈망과 형성 272
헤르만 헤세와 나무 13 – 삶의 광채가 창조로 빛나길 273
헤르만 헤세와 나무 14 – 인위적 건축물과 자연의 무구함 274
헤르만 헤세와 나무 15 – 은둔의 전사 276
헤르만 헤세와 나무 16 – 나무가 펼치는 시(詩) 278
헤르만 헤세와 나무 17 – 신의 선물 281
헤르만 헤세와 나무 18 – 거인나무와 난쟁이나무 283
헤르만 헤세와 나무 19 – 시든 잎에 이는 생명 285
헤르만 헤세와 나무 20 – 정신의 불멸성을 내려놓다 287
헤르만 헤세와 나무 21 – 부러진 나뭇가지 위의 끈기 289
헤르만 헤세와 나무 22 – 날아가는 낙엽 290
헤르만 헤세와 나무 23 – 꽃, 나무, 새 291
헤르만 헤세와 나무 24 – 만발한 꽃 293
헤르만 헤세와 나무 25 – 생성의 열기 295
헤르만 헤세와 나무 26 – 어른의 역할 296
헤르만 헤세와 나무 27 – 나무와 바람, 그 조화의 춤 297
헤르만 헤세와 나무 28 – 교육이 인생을 흔들 수 있을까 299
헤르만 헤세와 나무 29 – 그루터기 교육 300
헤르만 헤세와 나무 30 – 나무의 친구, 바람 301
<주역> 산책 18 – 수상불출(守常不出); 일상의 지속과 일탈의 위태로움 303
<주역> 산책 19 – 중정(中正); 가운데 서서 올바르게 실천함 305
<주역> 산책 20 – 의병(義兵); 험한 길을 좇는 숭고한 용기 306
<주역> 산책 21 – 근시수법(謹始守法); 출사(出師)의 도(道), 교육의 길 308
<주역> 산책 22 – 재약지강(才弱志剛); 제 자리에 관한 비가(悲歌) 310
<주역> 산책 23 – 논공행상(論功行賞); 교육이 경계할 덕목 311
<주역> 산책 24 – 결탁(決度); 삶의 결단과 헤아림 313
<주역> 산책 25 – 반관(反觀); 되돌아보는 인생 효험 314
<주역> 산책 26 – 상응(相應); 요청과 응대 317
<주역> 산책 27 – 성신(誠信); 교육적 믿음의 힘 319
<주역> 산책 28 – 불거불추(不拒不追); 열어주는 여유 320
<주역> 산책 29 – 무수무종(無首無終); 시작과 끝 322
<주역> 산책 30 – 지피지기(知彼知己); 냉철함에 관한 단상 323
<주역> 산책 31 – 유기무질(有氣無質); 바람의 분위기 324
<주역> 산책 32 – 극산극성(極散極成); 절정의 순간 327
<주역> 산책 33 – 각분민지(各分民志); 분수와 인생 지향 328
<주역> 산책 34 – 소리 왕(素履 往); 맨발 그대로 가라 331
<주역> 산책 35 – 유인(幽人); 그윽한 사람 335
<주역> 산책 36 – 화복미정(禍福未定); 교육의 성패(成敗) 337
<주역> 산책 37 – 교통(交通); ‘사귐’의 교육 미학 340
<주역> 산책 38 – 재성보상(裁成輔相); 이룸과 도움 341
<주역> 산책 39 – 복지(福祉);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환경 343
<주역> 산책 40 – 상인불식(相因不息); 인간의 길 가운데 344
<주역> 산책 41 – 상하상교(上下相交); 교육이 가져다주는 안정감 346
<주역> 산책 42 – 검덕피난(儉德辟難); 어려운 시간의 교육 자세 348
<주역> 산책 43 – 심려원계(深慮遠戒); 깊은 사유와 멀리 경계함 349
<주역> 산책 44 – 위‧망‧란(危‧亡‧亂); 교양인의 지혜 350
<주역> 산책 45 – 극이필반(極而必反); 정점에서 다시 돌아오는가? 352
<주역> 산책 46 – 리지상(理之常); 불통의 끝에 걸린 희망 353
<주역> 산책 47 – 광원무사(曠遠无私); 더불어 할 수 있는 조건 354
<주역> 산책 48 – 천지대동(天志大同); 세상이 가고 싶어 하는 그 곳 356
<주역> 산책 49 – 개과득길(改過得吉); 교육이 남긴 성과와 교훈들 360
<주역> 산책 50 – 원하지 않아야 얻게 되는, 역설의 미학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