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5194390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3-07-30
목차
제1장 교육작용과 교육학
Ⅰ. 어원에서 본 교육작용 3
1. 어원 탐색의 의의∙3
2. 서양어에서의 두 어원∙4
3. 한자에서의 어의(語義)∙5
4. 한글에서의 어의(語義)∙8
5. 어원에서 본 교육작용의 본질∙9
Ⅱ. 교육의 세 마당 12
1.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12
2. 가정교육∙13
3. 학교교육∙15
4. 사회교육∙19
5. 교육 세 마당의 비중 변천∙24
Ⅲ. 교육학의 대상과 방법 26
1. 교육학의 연구대상∙26
2. 교육학의 연구방법∙27
3. 교육학의 세 계보∙28
4. 교육학의 연구분야∙32
제2장 교육본질론
Ⅰ. 교육의 목적 37
1. 교육목적의 역사성∙37
2. 교육목적의 상호관련성∙38
3. 교육목적의 변천사∙39
4. 교육목적의 상호관련 구조∙43
Ⅱ. 체제의 보수적 계승 44
1. 창세기의 우화적 표현∙44
2. 규례(規例)와 법도(法度)의 참뜻∙45
3. 도덕·윤리과 교육∙47
Ⅲ. 인격의 조화적 도야 51
1. 인간의 당위적 존재성∙51
2. 이상적 인간상∙53
3. 평생교육∙54
4. 교육적 동물∙56
Ⅳ. 정신문화의 계승 58
1. 문화의 계승·확충∙58
2. 문화의 특성∙60
3. 문화교육학∙61
4. 교육 본질의 변증법적 파악 62
Ⅴ. 사회혁신기반의 조성 64
1. 인간의 사회화∙64
2. 듀이의 교육적 신조∙65
3. 브라멜드의 문화재건 교육학∙67
Ⅵ. 교육작용의 변증법적 본질 69
제3장 가정교육론
Ⅰ. 가정과 교육 73
1. 가정과 문화∙73
2. 가정교육의 내용∙75
3. 가정교육의 방법적 특징∙77
4. 현대 가족집단의 변화과정∙80
Ⅱ. 페스탈로찌의 가정교육론 82
1. 기독교적 가정관∙82
2. 기독교적 가정교육관∙83
3. 인생과 가정∙85
4. 가정교육론∙87
5. 현대적 의의∙90
Ⅲ. 과제와 전망 93
1. 문제제기∙93
2. 현대 한국가정의 교육적 문제∙94
3. 우리의 과제∙97
제4장 학교교육론
Ⅰ. 학교와 교육 103
1. 학교의 어원∙103
2. 학교의 기원∙104
3. 학교의 역사∙106
4. 학교의 정의∙110
5. 학교의 미래∙113
Ⅱ. 학교교육제도 115
1. 학교교육의 특질∙115
2. 의무교육의 이념과 제도∙118
3. 단선형 학제와 복선형 학제∙123
Ⅲ. 과제와 전망 132
1. 문제제기∙132
2. 학교교육의 과제∙133
3. 대안교육∙137
제5장 사회교육론
Ⅰ. 사회와 교육 153
1. 사회교육(평생교육)∙153
2. 사회교육(평생교육)의 이념∙157
3. 사회교육의 유형·내용 및 방법∙161
4. 사회교육(평생교육)의 필요성∙163
Ⅱ. 청소년 비행·범죄 166
1. 문제제기∙166
2. 요인분석∙167
3. 대 책∙174
Ⅲ. 과제와 전망 176
1. 사회교육(평생교육)의 이념 인식∙176
2. 사회교육(평생교육)의 대상과 내용 인식∙178
3. 우리나라의 사회교육(평생교육)체제 점검∙179
4. 특히 강조되어야 할 내용∙180
5. 시급한 정책적 과제∙182
6. 청소년문제의 종합적 대책∙184
제6장 교육과정론
Ⅰ. 교육과정의 개념과 구조 189
1. 교육과정의 개념∙189
2. 교육과정의 구조∙193
3. 고전적인 예∙195
4. 혁신동향∙197
Ⅱ. 교육과정의 역사와 유형 199
1.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199
2. 스펜서의 교육과정론∙203
3. 교과중심 교육과정과 경험중심 교육과정∙205
Ⅲ. 과제와 전망 209
1. 교육과정의 성격인식∙209
2. 특히 강조되어야 할 교육내용∙210
3. 이상적 인간상인 선비상의 발전∙211
4. 교과 외 활동의 중요성∙213
5. 나선형 교육과정과 인간주의 교육과정∙214
제7장 교사론
Ⅰ. 교직의 제 문제 221
1. 교육과 교사∙221
2. 교직의 역사∙223
3. 교직문제의 분석적 시각∙227
Ⅱ. 교사의 업무 229
1. 업무의 다양성∙229
2. 페스탈로찌의 교직업무론∙231
3. 외국 교사의 특징적인 업무∙233
4. 교직의 애환∙235
Ⅲ. 교사의 권리 238
1. 교권의 개념 ∙238
2. 교육의 권리∙239
3. 교사의 권리∙241
Ⅳ. 바람직한 교사-학생 관계 248
1. 상호인격적 친교의 관계∙250
2. 구도적 동반자 관계∙251
3. 상호포용적 관계∙253
4. 상호개방적 신뢰의 관계∙254
5. 상호개성의 조화적 관계∙256
6. 대화적 관계∙257
Ⅴ. 과제와 전망 259
1. 교사의 기본적 자세 정립∙259
2. 교직의 전문성 확립∙260
3. 교사의 지위 향상∙262
4. 교원의 근무조건 개선∙264
5. 교직의 여성화 추세에 대한 긍정적 대처∙267
6. 현대적 선비로서의 교사관∙269
7.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중시∙271
제8장 특수교육론
Ⅰ. 특수아 275
1. 특수아의 개념∙275
2. 특수아의 유형∙277
Ⅱ. 특수교육 286
1. 특수교육의 개념∙286
2. 특수교육의 종류∙288
Ⅲ. 특수교육의 현황 294
1. 특수교육 발달사∙294
2. 특수학교 현황∙296
3. 특수학급 현황∙297
Ⅳ. 과제와 전망 300
제9장 다문화주의와 교육
Ⅰ. 다문화주의의 출현 309
1. 다문화사회의 태동∙309
2. 다문화사회의 구성원들∙312
Ⅱ. 다문화주의의 기본 입장 318
1. 기본 개념∙318
2. 다문화주의의 유형∙321
Ⅲ. 다문화교육론 326
1. 다문화교육의 필요성∙326
2. 다문화교육의 목적∙329
3. 다문화교육의 내용∙331
4. 다문화교육의 실제∙334
Ⅳ. 과제와 전망 338
제10장 죽음교육론
Ⅰ. 죽음교육(death education)에 대한 인식전환 345
Ⅱ. 죽음의 개념 349
Ⅲ. 죽음교육의 필요성 352
1. 죽음은 자연의 섭리이자 자연스러운 생애주기의 한 단계∙352
2.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이해∙353
3. 실존적 주체성의 자각: 자아존중감∙354
4. 예방교육적 차원의 죽음교육∙356
5. 죽음의 승화: 인간적 성장∙356
6. 영원한 생명에 대한 희망∙358
Ⅳ. 죽음과 교육 360
1. ‘죽음교육’의 개념과 목적∙361
2. ‘죽음교육’의 프로그램∙365
Ⅴ. 과제와 전망 373
제11장 평화교육론
Ⅰ. 평화교육학의 시각 379
1. 인류의 영원한 이상, 평화∙379
2. 평화교육∙382
Ⅱ. 몇 가지 기본적 평화론 387
1. 기독교의 평화론∙387
2. 불교의 평화론∙389
3. 노장(老莊)의 평화론∙390
4. 칸트의 평화론∙392
5. 절대평화주의∙393
Ⅲ. 몇 가지 기본적 평화교육론 396
1. 비판적 평화교육학의 구조∙396
2. 유네스코의 국제이해교육론∙399
3. 킹의 비폭력저항적 평화교육론∙400
4. 편견극복 교육론∙402
Ⅳ. 과제와 전망 404
참고문헌 411
사항색인 433
인명색인 440
책속에서
머리말
교육학개론은 담당하는 교수의 교육관이나 학문적 배경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지는 게 당연하다. 따라서 관점이나 시각을 달리하는 특색 있는 교과서가 많이 나와야 한다. 이런 뜻에서 우리나라에는 수십 종을 헤아리는 역작이 나와 있음은 경하해 마지않을 일이다.
그러나 교육학개론은 교육학의 전 분야를 망라하여 개설하는 입문적 성격을 띠는 강의가 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럴 경우 다른 교육학 분야의 강의내용과 중복도 되고 얄팍하게 다루어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교육학개론은 교육이란 어떤 작용인가, 교육은 어떤 곳에서 이루어지는가, 교육은 어떤 요소로 성립되는가, 오늘날 인류는 어떤 교육적 과제를 안고 있는가, 그리고 세계 속의 한국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가? 등의 문제들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교육의 본질, 교육학의 틀, 교육의 과제를 깊이 살펴보는 데 역점이 놓여져야 할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쓰여진 이 책은 그간 몇 차례에 걸쳐 증보·수정·개정되면서 널리 읽혀 왔으나, 2016에 또 대폭 수정·증보하게 되었다. 특히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여 기존의 “민족교육론”을 완전히 삭제하고 다문화교육론을 삽입하였다. 또한 기존의 “정보사회와 교육” 부분도 21세기가 15년 이상 지난 시점에서 그 시의성을 상실하게 됨에 따라 전면 삭제하고 대신에 한국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한, 세계 최고의 성인 및 학생자살률과 관련하여 예방교육적 차원에서 “죽음교육론”을 추가하여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삶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삶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죽음교육(death education)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그간 개정된 교육관련 법규 및 각종 통계자료도 최신자료로 모두 수정하였다. 물론 기존의 교육내용도 부분적으로 수정·보완하였으며, 새 문헌을 소개하고, 주석과 색인도 새로 정리하였다. 이번에는 통계자료와 변화된 일부 내용을 부분적으로 수정‧보완하였다.
끝으로, 이 책을 이렇게 새롭게 단장하는 데 귀한 조언을 주신 전국의 교육학개론 담당 교수 및 강사들,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면서 자료정리 작업과 교정 작업을 도와 준 문영선 박사, 장지원 박사, 정해진 박사, 그리고 정성을 다하여 이렇게 펴내 주신 박영사의 안종만 회장님과 안상준 대표님, 노현 대표님을 비롯한 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
2016년 2월
김정환·강선보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