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65215903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1-07-1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첫 월급이 들어옴과 동시에 우리의 마라톤은 시작되었다
1주차. 열심히 더하고(+), 빠지는 걸(-) 막아보자
종잣돈 만들기, 이렇게 시작합시다
1억 원을 모으고 싶다면 이것부터 | 숨은 10만 원을 찾아드립니다
청약통장 A to Z
청약통장이 뭐야? | 청약통장의 등급 | 청약홈 활용법 | 청약통장 활용법
지출 관리가 시작
가계부 애플리케이션, 어디까지 써봤니? |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똑똑하게 사용하자
13월의 선물, 연말정산
연말정산이란? | 절세상품 총정리
돈을 좀 모았는데 이제 뭘 해야 할까?
재테크 로드맵을 만들자 | 투자의 순한맛과 매운맛
1주차 행동 노트
2주차. 곱하기(x), 투자의 기본기 잡기
투자의 순한맛, 채권
바이든이 돈을 빌린다고? | 채권 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들 | 여러분이 만약 은행이라면
투자의 매운맛, 주식
한 회사의 주식을 산다는 것은 | 동반자(회사)를 고르기 전에 다트를 보자 | [심화] 회사의 가계부를 파헤쳐보자
투자의 기회 찾기
요즘 핫한 게 뭐지? | ‘트와이스’를 보고 투자한다고? |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연습 | 지인에게 종목 추천을 받았을 때 물어볼 것들
저는 해외 주식 투자가 처음인데요
해외 주식을 시작할 때 알아야 할 것들 | 미국 주식 정보 찾기
실전 주식 투자
주식 시작하기 | 주식시장이 열리는 시간 | 누구보다 빠르게 vs. 내가 원하는 가격에 | 호가창 보고 주문 넣자
2주차 행동 노트
3주차. 좀 더 열심히 투자해봅시다
주식 vs. 펀드 vs ETF
투자를 여행에 비유한다면 | 주식, 펀드, ETF의 공통점과 차이점
좋은 펀드를 고르는 방법
3가지 포인트 | 운용 전략을 살펴라 | 수익률 비교는 필수 | 가성비를 따질 것
ETF는 이렇게 살펴보세요
ETF를 시작하기 전에 | 기초지수를 확인했는데, 이건 뭐지? | 코스피200을 따라간다는 ETF, 정말 그럴까? | [심화] 워런 버핏이 추천한 투자처
이색 투자처, 원자재
원자재 투자는 뭘까? | 선물 계약이라는 것 | 혹시나 금에 투자하고 싶다면
ELS, 내기를 시작해볼까?
ELS는 뭘까? | [심화] 투자자에게 유리한 조건을 붙여준 리자드 ELS
3주차 행동 노트
4주차. 투자의 세계에서 오래오래 살아남는 법
몰빵은 위험, 분산투자의 미덕
진정한 분산투자란? | 경제 호황기에는 주식이 최고 | 대가들의 자산배분 레시피 | [심화] 개인 성향에 따른 맞춤형 포트폴리오
언제가 바닥일까 고민될 때는
매매 타이밍은 신의 영역 | 초보자에게 분할 매수가 중요한 이유 | 적금 붓듯 적립식 매수를 해보자
월급 외에 현금을 받을 수 있는 법
배당은 월세 | 미국 배당주 정보 확인하기 | [심화] 배당주 투자, 안전하게 하자
현명하게 노후 준비하기
돈 걱정 없는 편안한 노후를 위해 | 퇴직연금의 관리법 | 연금저축과 IRP | 연금 고민할 때 체크할 것들 | 연금저축과 IRP, 둘 중에서는 뭘 하지? | 챔의 연금 포트폴리오
4주차 행동 노트
에필로그 _ 마라톤이 끝나는 그날까지
부록 - ‘행동 노트’ 쓰기의 실제 예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시간을 되돌려 첫 월급을 받던 때의 저에게 딱 한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다면 “가계부를 써!”라고 말하겠습니다. 가계부는 지출만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전체적인 자산, 즉 수입 및 지출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의 현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재테크 목적을 세우고 앞으로 이야기할 여러 방법을 통해 합리적으로 투자할 수 있어요. (…) 많은 분들이 ‘이렇게 모으기만 해도 되나?’라고 할 텐데요. 여러분이 재테크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달성 가능한 재테크 목표를 세우는 겁니다. 막연하게 큰 금액(1억 원)을 모르겠다고 목표를 세우는 것보다 내 재무 상태를 파악한 뒤 현실적인 재테크 목표를 세우는 것이 좋아요.
<1주차. 열심히 더하고(+), 빠지는 걸(-) 막아보자>
열심히 공부하며 종목, 산업 분석을 통해 투자해야 하지만 쉽지 않죠. 그래서 본인 판단이 아닌 친구, 직장 동료 등 주변 사람들의 말을 듣고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것이 무조건 나쁜 방법은 아닙니다. 초보자 입장에서는 스스로 투자 기회를 포착하고 종목을 발굴해내는 일이 무척이나 어려우니까요.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투자를 할 때는 몇 가지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종목을 추천 받으면 “이 종목의 투자 포인트는 뭔가요?”라고 질문해야 합니다. 상대로부터 “요즘 핫한 ○○ 테마라고 하던데?”와 같은 애매한 대답이 돌아온다면 투자를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다음에는 “그럼 그 종목 목표주가가 얼마 정도일 것 같아?”라고 질문해보세요. 이때 지인이 “현재가가 5,000원인데 10만 원까지도 갈 수 있어. 가즈아!”를 외친다면 안 되겠죠? 제가 말하는 것은 “차트나 밸류에이션을 고려했을 때 8,000원까지는 괜찮을 것 같아” 정도의 대답입니다.
<2주차. 곱하기(x), 투자의 기본기 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