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중년의 자기계발
· ISBN : 979116521985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6-0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중년이라는 새로운 출발선에 선 사람들에게
chapter 1. 어느 날 문득, 중년
불현듯 인생의 오후가 찾아왔다
삶에서 일과 직장이 전부였던 사람들
조직의 중심에서 밀려나다
오십 이후, 어디로 가야 하는 것일까
남자에게도 갱년기가 온다
퇴직 통보를 받았습니다
chapter 2. 인생의 전환점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들
당신의 인생 시계는 지금 어디쯤인가
중년은 위기인가, 기회인가
중년 남자의 책임감과 사회적 완벽주의
그들이 지금의 위치까지 올 수 있었던 이유
미래를 만들어가는 사람은 나 자신뿐
chapter 3. 그렇게 진짜 나를 다시 만난다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여섯 가지 자본
왜 이 나이에 정체성을 생각해야 하는가
전체의 인생 속에서 발견하는 정체성
“지금 꿈은 뭐야?”라고 아이가 묻는다면
후회하고 싶지 않다면 도전하라
인생은 중요한 기로에서 내린 선택들로 이루어진다
chapter 4. 오십의 파도를 현명하게 헤쳐 나가는 방법
취미로만 살기엔 남은 인생이 너무 길다
퇴직에도 예행연습이 필요하다
바깥세상은 생각보다 춥다
100세 시대, 일의 재발견
‘무엇을 원하는가’보다 더 중요한 질문
에필로그_ 같이 힘을 내면 조금은 덜 힘들 테니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간의 중년기는 사회적 · 경제적 힘이 최고점을 찍는 시기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최고점을 찍고 직장이나 사회에서 서서히 밀려나는 느낌을 받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중년기에 성공과 성취를 경험하지만 한편으로는 여러 좌절과 혼란 그리고 불안과 우울도 경험한다. 그렇게 중년기는 젊음의 열망과 중년의 현실적인 한계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시기다. 이런 이유 때문에 중년 남자들은 겉으로는 과시적이지만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걱정하고, 직장과 직업을 가지고 있지만 자신이 쓸모없어져 버려질 것에 대해 두려워한다. 또 여전히 많은 삶의 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통제력을 잃어버릴까 봐 걱정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렇게 심리적으로 불안한 것은 사실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다. 이런 불안에 잘 대처하려면 앞으로 자신이 걸어가야 할 인생길에 대해 어느 정도의 고민과 이해가 필요하다. 나이와 싸워 이기려 하기보다 변화를 미리 가늠해보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능숙하게 대처하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지금 중년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새로운 기술뿐만이 아니라 삶에 대한 새로운 태도이다.
_Chapter 1. <어느 날 문득, 중년>
중년들이 기억해야 할 점은 중년기라고 해서 결코 성장이 멈추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년 남자들은 자신들의 숨겨진 가능성을 발견해 무언가 변화를 시도할 수 있다. 다만 그 변화가 자신이 익히 알고 있는 청년기의 성장과 다를 뿐이다. 청년기 성장은 이미 만들어진 경로를 따르는 것, 주어진 시간표를 충실히 이행하는 것이었다. 이에 비해 중년기의 성장은 차근차근 단계를 거처 진행되지도 않고, 선형적으로 진행되지도 않는다. 중년들을 안내할 적절한 경로도, 역할 모델도 거의 없다. 그래서 중년기 성장은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다행스러운 점은 중년들은 이미 풍부한 삶의 경험이나 지식을 가지고 있고, 여전히 유능하며 책임감이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지나온 삶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지금까지 자신을 지키고 성장시켜온 것이 무엇인지 발견해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_Chapter 2. <인생의 전환점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들>
중년기는 자신의 인생에 대한 깊은 회고를 하며, 스스로의 삶을 재평가하는 시기다. 이러한 삶의 재평가를 통해 이제껏 자신이 고수해오던 가치관과 목표, 과거의 선택들을 돌아보고 자신이 포기했던 것과 앞으로 자신이 선택해야 할 것들을 정리해볼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일은 중년 남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다. 그러려면 ‘지금까지 내가 열심히 해왔던 일은 어떤 것인가? 어떤 경우에 나의 재능이 발휘되었는가? 나의 가치 기준은 무엇인가? 내가 중요하다고 믿는 것을 하기 위해 무엇을 바꿔야 하는가?’와 같은 자기 자신밖에는 답을 찾을 수 없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야 한다.
_Chapter 3. <그렇게 진짜 나를 다시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