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91165365950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0-07-17
책 소개
목차
성경 해석의 길잡이
제1부 창조시대: 세상의 창조와 창조언약
1장 언약이란 무엇인가?
• 언약의 변천과 완성
• 성경을 해석하는 키워드: 언약의 관점
2장 세상의 창조와 창조언약
• 천지와 만물의 창조와 안식
• 인간의 창조와 창조 명령
• 여자의 창조와 결혼의 축복
3장 에덴의 언약과 창조세대의 심판
• 에덴의 선악과 언약
• 인간의 배신과 형벌의 선언 속에 들어 있는 구원 계시
• 노아시대 홍수심판과 세상의 재창조
제2부 옛 언약의 시대: 이스라엘 역사를 통한 구원의 예표와 계시
1장 아브라함언약의 예표적 의미
• 아브라함의 선택과 언약
• 아브라함언약의 예표
2장 이스라엘 백성의 구원과 언약
•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 언약과 조인식
• 율법과 제사의 다스림을 통해 보여 주는 복음적 의미
• 모세언약에 들어 있는 구원의 이중적 의미와 예표
3장 다윗언약의 계시(예언)적 의미
• 다윗 왕이 세운 신정통치의 모델과 복음적 언약
• 솔로몬이 저지른 죄악과 후손에게 끼친 영향
• 다윗의 신정통치 모범을 따랐던 유다 왕들
4장 선지자들에 의한 새 언약의 계시: 언약의 대전환 예고
•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예언
• 아기 예수로 오시는 메시아에게 주어진 권세와 다윗의 보좌 계승에 대한 예언
• 메시아에게 기름 부으심과 사역의 성격
• 엘리야로 불리는 세례요한의 사역 예언
• 어린양으로 오신 예수님의 성장과 수난의 예언
•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 사역
• 새 하늘과 새 땅의 창조에 대한 예언
• 옛 언약 파기와 새 언약 수립의 예언
• 신약시대 마음속에 임하시는 성령의 구속사역의 성격 예언
• 종말의 때 부활과 영생 영벌에 대한 예언
• 신약시대 표적사역의 예언
제3부 새 언약의 시대: 구원의 복음과 생명언약
1장 새 언약의 복음: 구원과 심판의 언약들
• 예수 그리스도와 새 언약의 복음
• 예수님의 권세
• 심판의 기준과 대상
2장 생명과 심판의 언약
• 천국에 들어가는 신앙의 패러다임: 물과 영
• 회개와 구원의 복음
• 거듭남의 변화를 받는 인격: 8복 교훈
• 세상의 소금과 빛의 사명
• 계명과 율법에 대한 생명언약
• 6계명과 7계명에 대한 재정의와 생명언약
• 풍요를 추구하는 인생의 결말
• 주기도문과 용서에 대한 생명언약
• 거짓 선지자의 경계와 경고
• 천국에 계신 아버지의 뜻과 생명언약
• 씨 뿌리는 비유와 생명언약
• 가라지 비유와 생명언약
• 성령 모독 죄에 대한 경고와 언약
• 천국에서 큰 자의 기준과 천국에 들어가는 조건으로서 회개의 정도와 생명언약
• 실족케 하는 죄에 대한 생명언약
• 자기 부인과 자기 십자가를 지는 순종에 대한 생명언약
• 계명과 자비에 대한 생명의 언약
• 혼인잔치의 비유: 거듭남의 예복을 입지 않은 신자에 대한 경고
• 심판을 받게 되는 지도자들의 일곱 가지 죄악
• 열매의 비유와 심판의 경고
• 신앙의 예비와 심판의 경고
• 달란트 심판의 비유
• 양과 염소의 비유: 심판과 보상
3장 신약교회에 주는 공동체적 언약
• 교회에 주는 권세에 대한 언약
• 보혜사 성령에 대한 언약
• 대속의 죽으심과 새 언약의 조인을 기념하는 의식의 제정
• 새 언약의 조인식: 십자가의 죽음
• 복음의 지상 명령
부록
1. 믿음과 언약의 관계
2. 주제 중심의 구원론의 문제
3. 새 언약의 구원론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경에는 크게 일곱 개의 언약의 기둥이 세워져 있습니다. 하나님이 첫 사람 아담에게 명령하신 언약에서부터 아담의 후손을 구원하기 위한 원시복음의 계시언약으로 시작하여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새 언약이 완성되기까지 7단계의 언약의 기둥이 세워져 있는 것입니다. 첫째가 아담 언약입니다.
우리는 성경 속에서 이 언약의 변천을 통해 드러나고 있는 언약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보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지금까지 지상의 교회가 가져온 시행착오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고 언약 안에서 통일을 이룰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성경을 해석할 때 언약에 의존하지 않고 개인적인 깨달음이나 체험에 의존하는 해석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런 해석들이 지금까지 교리와 진리의 오류를 가져오고 분열과 분파를 가져오게 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