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6586120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0-12-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왜 교의 철학인가? 19
제2장 근대전환기 한국도교 전통의 모색 21
1. 한국도교의 전통:한국 도교의 기원에 대한 탐색 24
2.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양상 38
1)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양상:관우숭배신앙, 도교 권선서, 난단도교 41
2) 민족종교에 미친 영향 :저항적 민간도교의식과 수련도교 전통 61
3. 전병훈의 근대적 문제의식과 사상적 모색 69
1) 전병훈의 생애와 『정신철학통편』 소개 78
2) 『정신철학통편』의 문제의식과 그 특징 86
4. 전병훈 『정신철학통편』의 사상사적 의미 111
제3장 근대전환기 한국불교의 모순 인식과 반응 121
1. 근대전환기 한국불교 연구의 방향 121
1) 연구 동향 검토 123
2)호국불교에 관한 논의:호법護法과 호국護國, 그리고 호민護民의 길 128
2. 개항기 한국불교의 인식과 반응 :일본불교의 침투와 불교관련 정책의 변화 141
1) 불교인들의 자각과 행동:거사불교와 결사운동 142
2) 선각적 불교개화 그룹:개화파와 개화승 152
3) 일본불교의 침투:일본불교 종파들의 진출과 도성입성해금 160
3. 근대전환기 한국불교 교단의 지향:국가권력의 ‘외호’에서 자립으로 169
1) 국가권력과 불교 교단(승단)의 관계 170
2) 구한말 세속권력의 ‘외호外護’와 공인公認:승단의 국가관리, 관리청원과 사사관리서 177
3) 국가권력의 ‘외호外護’에서 자립으로:일제 강점기 한국불교의 방향성 188
4. 근대전환기 시대적 모순에 대한 한국불교의 이론적 반응 207
1) 근대불교의 중흥조 경허의 입장 :수행전통의 확립 및 세속권력과의 거리유지 207
2)한국불교 근대화를 위한 불교지성들의 불교개혁론:사회진화론의 수용과 불교적 적용 218
3) 근대전환기 한국불교의 민족주의적 반응 246
제4장 나가는 글 261
참고문헌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