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6032011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0-11-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왜 공동체인가?
제Ⅰ부. 공동체란 무엇인가?
제1장. 경험적 정의
1. 공동체 현상의 복잡성과 개념화의 어려움
2. 공동체 개념의 해리와 그 배경
3. 현대 사회의 다양한 공동체 현상과 유관 개념
4. 소결: 공동체에 대한 경험적 정의와 개념의 정리
제2장. 규범적 정의
1. 이상적 공동체를 규정한 사상들
2.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3. 소결: 공동체의 규범적 요소와 의미
제Ⅱ부. 공동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제3장. 유형론적 접근
1. 페르디난트 퇴니스—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2. 막스 베버—실질적 합리성과 형식적 합리성
3. 에밀 뒤르켕—기계적 연대와 유기적 연대
4. 게오르그 짐멜—둔감함과 자유, 평준화와 개성
5. 소결: 근대성의 확장과 변화하는 공동체
제4장. 인간생태론적 접근
1. 로버트 파크—생태적 과정과 자연지역
2. 루이스 워스—생활양식으로서의 도시성
3. 소결: 도시생태계와 공동체의 동학
제5장. 체계론적 접근
1. 루드윅 본 버틀란피—일반체계이론
2. 유리 브론펜브레너—생태체계이론
3. 로랜드 워런—체계적 연결고리의 수직적, 수평적 유형
4. 소결—상호작용의 체계적 장으로서의 공동체
제6장. 갈등론적 접근
1. 카를 마르크스—계급의식의 배태지로서의 도시
2. 마누엘 카스텔—집합적 소비의 중심지로서의 도시
3. 데이비드 하비—자본주의 위기의 공간적 돌파구로서의 도시
4. 사스키아 사센—주변화된 경제 중심지 세계도시
5. 닐 스미스—불균등발전과 젠트리피케이션
6. 마이크 데이비스—도시 공간의 무장화와 요새도시
7. 소결: 자본주의와 공동체 파괴의 역사
제7장. 도시계획론적 접근
1. 에베네저 하워드—전원도시운동
2. 르코르뷔지에—‘빛나는 도시’계획
3. 다니엘 번햄—도시미화운동
4. 제임스 라우스—복합도시 개발
5. 제인 제이콥스—도시촌운동
6. 신도시주의
7. 소결: 도시계획과 공동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