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67070937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3-02-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I부 현대소설 교육의 목표와 지향
1장 현대소설의 장르적 특징
1 소설의 서사성과 허구성
2 장편소설의 역사적 맥락, 근대 자본주의
3 리얼리즘과 근대소설
4 근대소설의 두 지향, 즐거움과 예술성
2장 현대소설 교육의 목표
1 세계에 대한 인식의 확장
2 윤리적 삶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
3 심미적 경험의 확대
3장 현대소설 교육의 관점과 내용
1 현대소설 교육의 관점
2 현대소설 교육의 내용 범주
II부 현대소설의 특징과 현대소설 교육의 접근
4장 인물 형상화 원리와 인간 탐구
1 인간 탐구로서의 소설 인물 읽기
2 인물 유형론과 형상화 방법
3 현대소설 인물 읽기의 교육적 모형
5장 시공간적 배경의 기능과 현실 이해
1 소설에서 시공간적 배경의 의미
2 소설에서 시공간적 배경의 기능
3 소설 교육에서 시공간적 배경의 문제와 교육 방향
6장 플롯의 구성 원리와 이야기 문법
1 사건을 서술하는 방법
2 사건의 연결에 작용하는 플롯
3 플롯의 유형
4 플롯의 단계와 사건 전개
5 서사 구성 전략으로서의 플롯
6 플롯과 이야기 문법: 플롯의 소설 교육적 함의
7장 서술의 미학과 이야기의 색채
1 소설의 서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 시점 유형론을 넘어서
3 서술을 가르치기
8장 현대소설의 변화와 소설 교육의 미래
1 리얼리즘 소설
2 모더니즘 소설
3 포스트모더니즘 소설
4 이후의 변화와 소설 교육
III부 활동 중심 현대소설 교육의 내용
9장 해석, 감상, 비평 중심의 현대소설 교육
1 작가, 텍스트, 독자에 대하여
2 독자의 소설 읽기 첫 번째: 해석
3 독자의 소설 읽기 두 번째: 감상
4 독자의 소설 읽기 세 번째: 비평
5 해석, 감상, 비평 활동의 실제
10장 현대소설 재구성과 창작
1 장르 체험과 가치 생산의 소설 창작 경험
2 기성 소설에 대한 창조적 재구성 활동
3 완성형 소설 창작의 일반적 단계
4 창작 주체의 변화와 형식의 다각적 활용
5 다매체 시대 소설 창작의 새로운 현상
11장 매체 중심의 현대소설 교육
1 매체 중심 현대소설 교육의 관점
2 매체 중심 현대소설 교육의 내용
12장 현대소설 교육 내용과 제재
1 현대소설 교육 내용의 변천
2 현대소설 작품 선정 기준
3 현대소설 제재의 변천과 특성
13장 현대소설 교수·학습의 원리
1 현대소설 교수·학습 개념의 변화
2 현대소설 교수·학습의 일반적 방법
3 현대소설 교수·학습의 방향과 실천
14장 현대소설 교육 평가의 원리와 실제
1 현대소설 교육과 평가
2 현대소설 교육에서 평가의 방향
3 현대소설 교육에서 평가의 유형과 방법
인용 작품 출처
찾아보기
지은이 소개
책속에서
자신의 체험을 절대시하여 다른 배경이나 가치관을 가진 타인의 존재를 인정하지 못하는 독선에 빠지지 않으려면 체험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현대소설이 지니는 인식적 가치는 소설이 인간의 체험에 대한 성찰적 인식을 제공한다는 것에 뿌리를 두고 있다.
― 2장
허구 세계인 소설에 몰입하기만 하고 비판적 거리두기를 하지 못한다면, 마치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를 실재하는 사람으로 착각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또 그러한 독서 태도는 특정 인물에 대한 호감도 파악에 머무는 옹졸한 읽기로 낙착될 우려가 있다.
― 4장
동일한 소설 대목을 읽고도 학생들이 그린 인지적 지도는 상이하다. (…) 따라서 소설의 시공간적 배경을 교육할 때 독자로 하여금 소설 속 크로노토프에 대한 독자 자신의 인지적 지도를 파악하고, 다른 독자들의 그것과 비교하여 왜 그러한 유사성과 차이가 발생했는지를 탐구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학습독자들이 인지하고 상상한 크로노토프가 텍스트의 안내와 잘 조응하는지, 독자가 파악한 소설의 분위기나 주제 의식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등을 다룰 수도 있다. ― 5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