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91167070944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3-02-17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감사의 말
도입
01 단어 형성에 관한 표현론적 접근
1.1. 개관
1.2. 영어 단어 형성에 대한 표현론적 모델
1.3. 사례
02 단어 형성 부문의 위치
2.1. 개관
2.2. 단어 형성론의 범위
2.3. 단어 형성과 통사부
2.4. 단어 형성에서의 양태
2.5. 단어 형성과 굴절
2.6. 단어 형성과 어휘부
2.7. 표현론적 모델과 그 위치
2.8. 어휘부의 위상
03 생산성
3.1. 개관
3.2. 이론적 배경
3.3. 논의
3.4. 제안
3.5. 생산성의 계산
3.6. 생산성, 빈도, 효율성
04 적용
4.1. 괄호 매김 역설은 있는가?
4.2. 복수형의 표현론적 표지를 가진 명명 단위들
4.3. 외심 합성어는 있는가?
4.4. 역형성은 있는가?
결론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나의 이론은 언어 공동체의 명명 요구와 같은 언어 외적 현실을 그 출발점으로 하며, 형태에 대한 언어 외적 현실의 개념적 반영과 의미론적 분석을 진행한다.
단어 형성 규칙은 매우 생산적이고 완벽하게 규칙적임을 강조하고 설명한다. 더하여, 생산성 개념(언어 체계 층위)과 빈도 개념(발화 층위)과 관련한 새로운 개념인 ‘효율성(efficiency)’을 제안하며, 이에 관한 계산 공식을 소개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예시한다.
명백하게, 의사 형태소(pseudo-morphemes)의 모든 문제는 형태소와 형태소-부호(morpheme-sign)의 관계를 정의하는 것이다. 내 생각에 형태소 정의 경계에 대한 Aronoff와 Spencer의 접근은 의미론적 문제를 피하려는 시도인데, 이는 현재 생성 형태론(생성적 단어 형성론) 맥락 내에서 미국 기술주의의 전통에 따른 것이다. 즉, 이들은 그들의 접근 방식에 의미를 통합하는 대신, 그것의 존재 이유를 포함한 중요한 언어 용어 중 하나를 버리고, 아주 막연하게 구상된 무의미한 ‘무언가’로 대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