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91167071200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3-08-29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Ⅰ 서론
용어와 짧은 역사
제작 과정
왜 프랑스 태피스트리인가?
서사, 선전, 장식
Ⅱ 서사
1 《여인과 유니콘》 태피스트리
궁정풍 사랑과 그 기원
사랑의 단계
사랑의 장소
소망에서 욕망으로
2 《유니콘 태피스트리》
유니콘, 하나의 뿔
사냥의 정치학
사냥의 매뉴얼
유니콘, 왕의 사냥감
Ⅲ 선전
1 발루아 태피스트리
앙투안 카롱과 뤼카스 더 헤이러
발루아 축제
앙리 3세 치하의 카트린 드메디시스
축제, 귀족정치의 프로파간다
2 고블랭 태피스트리
고블랭 제작소
고블랭 제작소를 방문한 루이 14세
알렉산드로스로 그려진 루이 14세
됭케르크에 입성하는 루이 14세
프로파간다로서 태피스트리
Ⅳ 장식
1 《그로테스크》 태피스트리
그로테스크의 기원과 전개
베랭의 그로테스크
코메디아 델라르테
중국 취향
즉흥과 환상 속으로
2 《네 원소》 태피스트리
로카유 장식
태피스트리 디자이너로서 부셰
신들의 사랑으로 표현된 네 원소
궁정풍 사랑에서 갈랑트리로
닫는 글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실의 변신(transformations)에 관한 이야기이다. 실은 안료를 만나 색이 되고 선과 면이 되어 태피스트리가 되었다. 실이 모인 태피스트리는 이야기가 되고, 선전을 하고, 벽을 장식한다. 태피스트리는 붓과 물감으로 그린 그림이 아니라 실로 짠 그림이고, 그 크기가 벽을 가릴 만큼 큰 것이 많다. 태피스트리는 예나 지금이나 많은 사람들이 쉽게 감상하거나 널리 향유할 수 있는 예술작품이 아니다. 제작 비용이 비쌀 뿐 아니라 감상을 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태피스트리의 소유자는 대부분 왕과 귀족이었다. 요컨대 태피스트리는 궁정예술이며 귀족예술이다. 중세를 대표하는 고급예술이 필사본이라면, 르네상스 최고급 예술품은 태피스트리를 꼽을 수 있다. 그렇다면 태피스트리의 매력은 무엇일까?
_여는 글
중세 태피스트리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프랑스 앙제성(Chateau d'Angers)에 있는 태피스트리 연작 《요한계시록(The Apocalypse)》그림 7이다. (...) 앙제 태피스트리의 주제인 「요한계시록」은 신약성서의 맨 마지막 챕터로, 세상의 종말을 다루고 있다. 「요한계시록」은 1000년대를 전후로 필사본이 많이 제작되었는데, 같은 주제를 이미지로 재현한 앙제의 태피스트리는 벽으로 확장된 필사본이라 할 수 있다. 성서 같은 텍스트를 태피스트리로 제작한 것은 태피스트리가 이야기-그림(Narrative-Painting)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음을 알려준다. 크기가 작은 필사본이 개인용이라면, 거대한 규모로 제작된 태피스트리는 다수의 관람자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태피스트리는 그 규모로 인해 공공성을 지닌다.
_Ⅰ장 서론
《여인과 유니콘》 태피스트리는 클뤼니 중세 박물관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큰 방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그림 13 이곳에 소장되기 전에는 프랑스 남서부 리무장(Limousin) 지역의 부삭성(Chateau de Boussac)에 있었다. (...) 쇼팽의 연인으로 알려진 조르주 상드(George Sand, 1804~1876)는 소설 『잔(Jeanne)』(1844)의 부삭성을 배경으로 한 부분에서 이 태피스트리를 “기이한 태피스트리curious enigmatic tapestry”라고 언급하였다. (...) 한편 릴케(Rainer Maria Rilke, 1875~1926)는 1910년 발표한 『말테의 수기』에서 여섯 점의 태피스트리를 ‘벽걸이 양탄자’라 칭하며, 미각, 후각, 청각, 소망, 촉각, 시각 순으로 묘사하였다. 이러한 문인들의 관심은 이 작품이 이국적이고 신비한 분위기로 상상력을 자극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여인과 유니콘》을 다룬 문학작품은 19세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2004년 트레이시 슈발리에(Tracy Chevalier)가 동명의 소설을 발간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_Ⅱ장 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