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제2판)

권진숙, 김정진, 전석균, 성준모 (지은이)
공동체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720원
23,280원 >
24,000원 -0% 0원
0원
2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신건강사회복지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67251824
· 쪽수 : 534쪽
· 출판일 : 2022-08-20

목차

PART 0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기초

CHAPTER 0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개요 17
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의의와 정의 18
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의의 18
2)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의 19
2.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구성요소 21
3.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21
4. 정신건강증진 영역의 사회복지사 개입배경 23
1) 미국 정신건강증진 영역에서의 사회복지사 개입배경 23
2) 일본 정신건강증진 영역에서의 사회복지사 개입배경 25
3) 한국 정신건강증진 영역에서의 사회복지사 개입배경 26
5. 정신건강사회복지와 팀워크 29
1) 정신건강증진 영역에서의 팀워크 30
2) 효율적인 팀워크 33

CHAPTER 02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의 이해 37
1. 정신건강과 정신병리의 개념 37
1) 정신건강의 개념 37
2) 정신병리의 개념 38
3) 정신병, 정신질환, 정신장애의 개념 40
2. 이상행동의 이해 41
3. 정신질환에 대한 관점 43
1) 생물학적 관점 44
2) 심리학적 관점 44
3) 사회학적 관점 45
4) 통합적 관점 46
4. 정신질환 분류와 법정 정신장애 47
1) 국제질병분류체계(ICD-11)에 따른 정신질환 분류 48
2)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제5판(DSM-5)에 따른 정신질환 분류 49
3) 법정 정신장애 87

CHAPTER 03 법과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전달체계 97
1.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97
1) 법의 의의 97
2) 우리나라 정신건강 분야의 역사 98
3) 법의 제정과 발달 104
4) 법적 성격 113
2. 국가정신건강증진사업의 방향성과 원칙 115
1) 국가정신건강증진사업의 방향성 115
2)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기본원칙 117
3.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118
1)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118
2) 정신건강증진시설 현황 119
3) 시?도별 정신건강증진시설 현황 120
4) 정신건강전문요원의 법적 근거와 역할 121

CHAPTER 04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실천분야 127
1. 정신의료기관 127
1) 국?공립 의료기관 128
2) 민간의료기관 128
2. 광역?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131
1) 설치와 운영 131
2) 사업내용 133
3. 정신재활시설 137
1) 설치와 운영 137
2) 사업내용 140
4. 국가권역트라우마센터 141
5. 자살예방사업 및 자살예방센터 143
1) 국가자살예방사업 143
2) 자살예방센터 운영 145
6.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45
1) 설치와 운영 145
2) 사업내용 146
7. 정신요양시설 148
1) 설치와 운영 148
2) 사업내용 149
8. 중독 관련 기관 150
9. 치매센터 151
10.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개업실천 153

PART 02 정신건강사회복지 실천방법

CHAPTER 05 사 정 159
1. 정신상태검사를 통한 사정 실제 160
2. 심리사회적 사정 164
3. 강점사정 166
4. PIE를 통한 사정 168
1) PIE 체계의 네 가지 요소 168
5. 통합적 사정 172
1) 통합적 사정 172
2) 통합적 사정의 실제 174

CHAPTER 06 개인 대상의 실천방법 183
1. 개별치료와 상담 183
1) 정신역동치료와 상담 184
2) 인지행동치료 190
2. 위기개입 195
1) 위기의 특성 195
2) 정신건강증진 영역에서의 위기사정 196
3) 위기개입 과정 및 절차 197
4) 위기개입과 단기치료의 비교 200
3. 사례관리 201
1) 사례관리의 주요 내용 202
2) 정신건강증진 영역에서의 사례관리모델:PACT와 Managed Care 205
3) 사례관리 슈퍼비전 210
4. 퇴원계획 및 사후관리 212
1) 퇴원계획의 시작 212
2) 퇴원계획 담당자의 기능 213
3) 퇴원계획에 포함되는 내용 214
4) 교 육 214
5) 의 뢰 214
6) 퇴원계획 관련 기타 주요 내용 215

CHAPTER 07 집단 대상의 실천방법 217
1. 집단치료와 상담 217
1) 집단치료의 역사 217
2) 치료원칙 218
2. 집단심리치료 220
3. 사회기술훈련 221
1) 사회기술의 정의 221
2) 사회기술훈련의 이론적 기반 222
3) 사회기술 결핍의 원인 222
4) 사회기술훈련의 구성요소 223
5) 사회기술훈련 모형 223
6) 사회기술훈련의 실행과정 224
7) 사회기술훈련에 임하는 치료자의 태도와 자질 225
4. 심리극 226
1) 심리극의 목표 226
2) 심리극의 구성요소 227
3) 심리극의 과정 227
5. 집단활동· 227
1) 자조집단 227
2) 정서친목회 228
3) 표현치료 229
4) 드라마치료 229
5) 성장집단 230
6) 회복회사 230

CHAPTER 08 가족 대상의 실천방법 233
1. 가족치료 233
1) 정신건강과 가족치료 233
2) 이 론 234
3) 주요 모델 234
4) 주요 기법 235
2. 가족교육 239
1) 정신장애인 가족의 특성 240
2) 가족교육 프로그램 241
3. 가족옹호와 가족자조집단 244
1) 가족자문 프로그램:미국의 경우 245
2) 초기개입 프로그램:캐나다의 경우 248
4. 가족 지원 250
1) 정신장애인과 결혼 250
2) 정신장애인과 자녀양육 252

CHAPTER 09 지역사회정신건강과 실천방법 259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개요 259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정의 259
2)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이념 260
3) 지역사회정신건강의 목적 263
2.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실천방법 264
1)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265
2) 주거서비스 272
3) 평생계획 278
4) 정신건강증진과 예방 283

PART 03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실천이슈

CHAPTER 10 자살과 정신건강 295
1. 자살의 개념 295
1) WHO의 정의 295
2) Durkheim의 정의 296
3) Freud의 정의 296
4) Jung의 정의 296
2. 자살 현황 296
1) 성별 자살 현황 297
2) 연령별 자살 현황 298
3) 교육 정도별 자살 현황 299
4) 직업별 자살 현황 300
5) 수단별 자살 현황 301
3. 자살의 위험성 사정과 개입 303
1) 자살위기 개입의 목표 303
2) 자살위기 개입 상담의 실제 303
3) 자살위기 개입체계 310

CHAPTER 11 중독과 정신건강 315
1. 알코올중독 317
1) 알코올중독의 원인 320
2) 알코올중독 단계 321
3) 알코올중독에 의한 장애 322
4) 알코올중독의 치료적 개입 324
5) 알코올중독 가족에 대한 개입 327
2. 도박중독 333
1) 도박의 정의 336
2) 도박중독의 유형과 발전과정 336
3) 도박에 대한 공중보건 관점 338
4) 도박자의 심리적 특성 339
5) 도박중독의 요인 340
6) 도박중독의 진단 343
7) 도박중독의 개입 343
3. 인터넷중독 344
1) 인터넷중독의 개념 345
2) 인터넷의 특성 345
3) 인터넷중독의 종류 347
4) 인터넷중독의 증상 349
5) 인터넷중독의 평가 351
6) 인터넷중독의 개입 355

CHAPTER 12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359
1. 아동?청소년 359
1) 아동 및 청소년기 정신장애의 분류 359
2) 아동 및 청소년기 정신장애의 현황과 특성 360
3)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362
2. 노 인 363
1) 치 매 366
2) 우 울 370

CHAPTER 13 성폭력과 정신건강 375
1. 성폭력의 정의 375
2. 성폭력과 정신병리 376
1) 성폭력 가해자의 정신병리 376
2) 성폭력 피해자의 정신병리 378
3)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개입 387

CHAPTER 14 재난과 정신건강 391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393
1) 급성 스트레스 장애 393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394
3) 복합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397
2. 재난에 대한 정신건강 대책 398
1) 재난 발생 시 지역정신건강 활동 398
2) 자연회복의 지원 400
3) 외상에 대한 치료적 개입 400
4) 재난 정신건강서비스 체계 404

CHAPTER 15 다문화와 정신건강 407
1. 다문화와 다문화가족의 현황 409
1) 다문화와 다문화가족 409
2)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 거주자 현황 409
2. 국제결혼이주자와 다문화가족 이슈 412
1) 한국 남성의 ‘신부쇼핑 ?412
2) 이주여성과 타자화 413
3) 이주여성의 문제 실태 414
3. 외국인 근로자와 다문화가족 이슈 420
1) 취업현장에서의 이슈 421
2) 일상생활에서의 이슈 421
3) 여성 외국인 근로자 이슈 422
4) 정신건강 이슈 422
4.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이슈 424
5. 국내 외국인주민과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관련 정책 426

CHAPTER 16 정신장애인 인권과 권리중심 실천 431
1. 인권에 대한 이해 431
1) 인권의 정의 431
2) 인권의 내용 433
3) 인권의 기본 가치 434
2. 정신장애인의 인권 435
1) 정신장애인의 기본권 및 사회권에 기초한 인권 실태 435
2) MI원칙, 장애인권리협약과 정신장애인 인권 443
3) 정신장애인 인권과 소비자 운동 444
3. 권리중심 실천 447

부 록
APPENDIX 01 UN 장애인권리협약 453
APPENDIX 02 정신장애인과 정신건강 보호의 향상을 위한 UN 원칙 474
APPENDIX 03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 연혁 485
APPENDIX 04 정신건강 관련 척도 490
4-1. 간이정신진단검사 490
4-2. 양성?음성 증후군 척도 494
4-3. Beck의 우울장애척도 한국판 496
4-4. Beck의 자살생각척도 499
4-5. Beck의 불안 질문지 502
4-6.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 503
4-7. 한국형 알코올중독 자가진단표 504
4-8. 자기평가용 도박중독척도 505
4-9. 청소년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507
4-10. 한국어판 ADHD 평정척도 508
APPENDIX 05 정신건강 관련 주요 단체 509

참고문헌 511
찾아보기 530

저자소개

전석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강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85년부터 약 11년간 연세대의료원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 근무하였으며, 주로 정신건강에 어려움이 있는 개인과 가족, 그리고 집단을 위해 임상사회사업서비스를 제공하였다.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와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를 조직하고 성장시키는 과정에 열정을 가지고 일조하였으며, 대학에서는 정신건강론,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상담 및 치료, 사회문제론, 사례관리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현장실습 등을 강의하였다. 대표적인 저서와 역서로 『 정신건강론』, 『 정신건강사회복지론』(공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공저), 『정신병리』(공역), 『 사례관리』(공역), 가족을 잃은 아이의 슬픔』(공역)이 있으며, 정신건강 및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와 자문활동을 통하여 이론과 실천과의 긴밀한 교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김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임상사회복지 전공) 전 고려대학교병원 정신건강사회복지사 태화샘솟는집 관장 나우리정신건강센터 공동대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장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장 현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펼치기
권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사회복지(사업)학] 전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 학회장 역임 현 그리스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한국사례관리학회 회장
펼치기
성준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정신건강사회복지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장, 편집위원장, 총무위원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 학술위원장 보건복지부 제9기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위원 보스톤대학교 연구교수 현,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 보건복지부 입원적합성심사위원 / 보건복지부지정 천안시중독 관리통합지원센터장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