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레위기를 통해 본 성별과 교제

레위기를 통해 본 성별과 교제

(그리스인이면 꼭 알아야 할 성경 지식)

말씀보존학회 편집부 (엮은이)
말씀보존학회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레위기를 통해 본 성별과 교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레위기를 통해 본 성별과 교제 (그리스인이면 꼭 알아야 할 성경 지식)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67271198
· 쪽수 : 72쪽
· 출판일 : 2025-04-11

책 소개

기름부음 받은 제사장들, 예배, 제사, 성도의 거룩함, 누룩 없는 빵 등 레위기에 나타난 성별과 교제에 관한 진리를 배울 수 있다.

목차

제 1 과 거룩한 면류관을 쓴 대제사장과 기름부음 받은 제사장들 / 5
제 2 과 향기로운 냄새로 드리는 제사와 참된 예배 / 17
제 3 과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만나는 제사 / 31
제 4 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 / 41
제 5 과 누룩 없는 빵을 먹을지니라 / 53

저자소개

말씀보존학회 편집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말씀보존학회는 1994년에 <한글킹제임스성경>을 내놓아 이 땅에 바른 성경을 제시했으며, 성경에 근거한 교리, 신학, 경건 서적들을 출판, 보급하는 사역을 수행해 오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레위기는 신명기와 더불어 율법을 구체적으로 기록해 놓은, 오경의 핵심이다. 레위기는 출애굽기 율법의 연장으로서, 시내 산에서 주어졌다. 이스라엘은 출애굽한 지 약 50일에 시내 산에서 율법을 받기 시작했으며, 다음 해 첫째 달 첫날에 성막이 세워졌다(출 40:17). 하나님께서는 레위기에서 경배에 관한 세부적인 명령들을 주셨다.
“역사적인 순서”로 볼 때 레위기는 출애굽기의 속편이다. 출애굽기가 “성막의 완성”으로 끝나고, 레위기는 『주께서 모세를 부르시고 회중의 성막으로부터 그에게 말씀하시기를』(1:1)로 시작된다. “회중의 성막”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는 말씀은, “레위기”가 이스라엘 백성이 “완성된 성막”에서 드릴 제사 의식에 대해 말씀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즉 레위기에 들어 있는 율법들은 성막 설치에 관한 역사적 서술(출 25-40장) 뒤에 위치한다. 또한 레위기는 이스라엘이 시내 산에서 떠나기 전에 각 지파를 계수하는 서술(민 1-4장)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간적 순서로 볼 때 레위기는 출애굽기 율법의 연장이며, 이스라엘이 시내 광야를 떠나기 전에 기록된 것이다.


화목제에는 “감사함으로” “서원하며” “자원하여” 드리는 세 종류의 화목제가 있다(레 7:11-21). 화목제에서는 제사 후에 제물 중 일부가 드리는 자에게 돌아갔는데, 각각의 화목제마다 돌아가는 몫을 처리해야 하는 시간이 달랐다.
감사함으로 드리는 예물의 고기는 드리는 그날 먹었다. 다음날 아침까지 남겨 두어서는 안 되었다(레 7:15). 하지만 서원하거나 자원하여 드리는 화목제의 경우에 그 예물의 고기는 그 이튿날에도 먹을 수 있었다. 하지만 삼 일째 되는 날까지 고기가 남았으면 그것은 태워야 했다. 만약 셋째 날에도 남은 고기를 먹으면 그 제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제물을 가져온 자나 그것을 먹은 자는 하나님 앞에 가증한 죄를 범하게 되어 그 죄를 담당해야 했다. 또 그 고기가 어떤 불결한 것에 닿았으면 먹지 말고 불에 태워야 했다. 만약 누구라도 불결한 제물을 먹으면 그 사람은 그의 백성으로부터 끊어졌다.
제물을 바치는 자는 그 제물을 혼자 먹지 않아도 되었다. 그래서 그의 아들들과 딸들과 남종들과 여종들과 성문 안에 있는 레위인을 초대하여 그들과 함께 잔치를 열 수 있었다(신 12:5-12). 그러나 그 잔치는 다른 곳이 아닌 성막 안에서 곧 주 앞에서만 해야 했다. 이는 하나님 안에서 기뻐하라는 의미가 있다. 또한 여러 사람들이 함께 먹는다는 것에서 “나눔”의 의미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성도간의 교제”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