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문법론/통사론
· ISBN : 9791167425423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3-04-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토대
1. 통사구조 형성 규칙
1.1. 도입
1.2. 통사구조의 두 축
1.3. 계층구조와 통사구조 형성 규칙
1.4. 어순 변이와 이동
1.5. 정리
2. 어미의 통사구조 형성
2.1. 도입
2.2. 어미 병합의 동기
2.3. 병합과 도상성
2.4. 핵 이동
2.5. 정리
3. 조사의 통사구조 형성
3.1. 도입
3.2. 통사관계와 격 그리고 격조사
3.3. 격자질 명세 조건과 명세 규칙 그리고 인허 조건
3.4. 통사구조에 의한 격자질 명세 규칙
3.5. 논항 자질 확장 규칙
3.6. 명사구 내부의 경우
3.7. 주술 관계와 격
3.8. 조사 중첩과 보충어 자질
3.9. 정리
4. 통사적 분석과 설명
4.1. 도입
4.2. 격 중출 구문
4.3. ‘–으면 –을수록’ 반복 구문
4.4. 뒤섞기와 후보충
4.5. 피동문과 사동문
4.6. 계사문
4.7. 생략과 공대명사
4.8. 통사관계
4.9. 정리
2부 확장
5. 생략: 조각문의 경우
5.1. 도입
5.2. 다중 생략과 제시 구문에서의 생략
5.3. 다중 조각문의 경우
5.4. 정리
6. 삽입: 지지 동사 ‘하-’의 경우
6.1. 도입
6.2. ‘하–’ 지지 규칙의 일반성
6.3. ‘하–’ 지지 규칙의 적용 층위
6.4. ‘하–’의 통사범주
6.5. 투사하지 않는 핵
6.6. 생략과 ‘하–’ 지지 규칙 그리고 선호성 조건
6.7. 정리
7. 접속: 대등접속의 경우
7.1. 도입
7.2. 접속문의 통사론의 지향
7.3. 접속어미의 통사 특성
7.4. 접속어미의 통사구조 형성
7.5. 내포 접속문과 다항 접속문
7.6. 명사구 접속과 어휘격 조사구 접속의 경우
7.7. 이분지와 다분지
7.8. 정리
3부 탐구
8. 구문의 통사론: ‘-을 수 있-’ 양태 구문
8.1. 도입
8.2. ‘–을 수 있–’ 구문의 의미와 접근법
8.3. [가능성]과 ‘–을’, ‘수’
8.4. 양태 의미 분화
8.5. ‘–을 수 있–’ 중첩과 ‘–었–을 수 있–’
8.6. 정리
9. ‘것’의 통사론: 내핵 관계절과 분열문
9.1. 도입
9.2. 내핵 관계절 구성의 ‘것’
9.3. 분열문의 ‘것’
9.4. 확장
9.5. 정리
10. 투사의 통사론: 동사구 주제화 구문
10.1. 도입
10.2. 동사구 주제화 구문의 문제
10.3. 병렬 투사와 동사구 주제화 구문
10.4. 보조사의 영향권 중의성 현상
10.5. 이종 성분 접속 현상
10.6. 정리
4부 모색
11. 표찰화
11.1. 도입
11.2. 표찰화 기제
11.3. 비해석성 자질과 핵 이동 그리고 표찰화
11.4. 한국어의 표찰화 1
11.5. 한국어의 표찰화 2: 뒤섞기의 경우
11.6. 중첩 표찰
11.7. 정리
12. 선형화와 핵 이동
12.1. 도입
12.2. 선형화 기제
12.3. 탈병합과 핵 이동
12.4. 대안: 보충어로의 핵 이동
12.5. 정리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