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7523198
· 쪽수 : 219쪽
· 출판일 : 2023-06-01
책 소개
목차
시인의 말
1. 다투고 나서
001 - 청등靑燈
002 - 구룡포
003 - 산속 마을
004 - 강가에서
005 - 다투고 나서
006 - 비빔밥을 먹다
007 - 불쌍하다
008 - 묵어 깊은 맛
009 - 기다리다
010 - 하늘 두레박
011 - 구름 속에서
012 - 달팽이, 집을 지고 길을 가다
013 - 다담茶談
014 - 무심無心
2. 울어 보리라
015 - 한 생生을 묶어 내다
016 - 대한大寒
017 - 멀미
018 - 물어보다
019 - 울어 보리라
020 - 미타암 스님
021 - 화장
022 - 나팔꽃
023 - 동안거
024 - 폭설暴雪
025 - 만나다
026 - 해인海印
027 - 대책 없이 착한 마음[善意]
028 - 대가리
3. 모레무지의 명령이다
029 - 그늘 깊은 솔숲길
030 - 곰탕
031 - 그랬다
032 - 봄날
033 - 모래무지의 명령이다
034 - 이 봄에
035 - 처음 가는 길
036 - 늦은 오후, 겸상
037 - 쑥스러웠다
038 - 서시序詩 3
039 - 중심
040 - 형제
041 - 호래~이 형님
042 - 옛날을 꺼내어 본다
4. 깊은 밤, 비에 젖다
043 - 이순耳順
044 - 나뭇잎 편지
045 - 깊은 밤, 비에 젖다
046 - 파문波紋
047 - 배려配慮
048 - 우수, 청류동천
049 - 자본주의 목소리
050 - 돌아가다
051 - 구절초
052 - 입춘立春에
053 - 꾸미다
054 - 봄이다
055 - 떨림
056 - 연인 2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시(序詩) 3
내 속의 나에게 닿고 싶다.
허물어지지 않는 완고한 벽을
간장막야(干將莫耶)로 단도직입(單刀直入)
시의 심장에 닿고 싶다.
펄떡이게 하고 싶다.
[ 덤 하나 ]
간장막야(干將莫耶)
- 중국 고대의 두 자루 명검
- 초나라 ‘간장’이 왕의 명령에 따라 아내 ‘막야’와 더불어 양검 ‘간장’과 음검 ‘막야’를 만들었다. 남편이 집을 떠나면서, “나는 ‘음검’ 한 자루를 왕에게 바치고자 한다. 이런 명검이 또 만들어지는 것을 걱정하여 왕이 틀림없이 나를 죽일 것이니 출산할 아이가 사내아이이면 남산에 묻어 놓은 ‘양검’을 찾아 그 검으로 내 원수를 갚아 주시오.”라고 했다. 예측대로 간장은 왕에게 죽었다. 사내아이로 태어난 ‘적비’가 자신의 목숨을 바쳐 결국 왕을 죽인다.
[ 덤 둘 ]
날 들어 햇살 쏟아지자 사흘 밤낮 술렁이던 떡갈나무 숲은 가슴속 깊이 갈무리해 두었던 등불마다 기름 부어 가지 끝 끝 연둣빛 불길 밝히고 퇴색한 마른 풀대 아래 납작 엎드렸던 쑥, 냉이, 벼룩이자리 어린 순 머리 풀어 기지개 켠다. 민들레 길다랗게 목 뽑아 올려 멀리 살피고 벚나무 꽃맹아리 팝콘처럼 하얗게 가슴 부풀 듯 재깔재깔 와그르르 짝짝이 쏟아져 나오는 토요일 한낮.
큰놈 버들치가 중치 버들치 좇아 짓궂게 군다. 피라미 피라미끼리, 참마주 참마주끼리 어울리고 장난치고 짝짓는다.
계곡 물속만 그러랴. 범나비 범나비끼리, 노랑나비 노랑나비끼리 어울리고 춤춘다. 봄맞이꽃 봄맞이꽃끼리 피어 서로 반갑다.
마흔에도 쉰에도, 예순 넘어서도 사월은 첩첩 불길 더 환하여 지상이 천상보다 향그럽다. (「사월」 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