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칠인정

칠인정

(그 푸른 역사와 문헌)

인동장씨 흥해파 (지은이), 김윤규 (역주)
국학자료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600원 -5% 0원
840원
25,760원 >
25,200원 -10% 0원
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칠인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칠인정 (그 푸른 역사와 문헌)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6797255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5-07-30

책 소개

칠인정(七印亭)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초곡리 825번지에 있다. 건물 앞까지 잘 정비된 포장도로에서 9단의 자연석 계단을 오르면 정자 마당에 이른다. 정자는 지형을 고려하여, 앞쪽은 2층으로 올려 세우고, 뒤로 돌아가면 마루로 올라갈 수 있게 지었다.

목차

발간사 10

[해제]칠인정七印亭의 사적事蹟과 기록記錄 19
1. 칠인정의 유래와 역사 21
1) 인동장씨 흥해 세거의 역사 21
2) 칠인정의 건립과 유지 24
3) 칠인정의 지역적 위상 27
2. 칠인정 문헌의 상황 29
1) 『칠인정실기七印亭實紀』의 기록들 29
2) 『유안儒案』과 『족안族案』의 좌목들 33
3) 칠인정의 차운시들 42
3. 칠인정의 문화적 정경 51
4. 칠인정 문화의 소망 58

제1부 칠인정실기七印亭實紀 61
1. 선조의 사적 64
1) 선조 흥의위 보승랑장 유사先祖興義衛保勝郞將遺事 64
2) 시호를 청하는 계장請諡啓狀 73
2. 묘소와 비석 80
1) 흥의공 묘도비명興義公墓道碑銘 80
2) 입석 고유문立石告由文 85
3) 신도비명(서문과 함께, 神道碑銘 并序) 86
3. 재사의 설립과 중건 92
1) 초막재기草幕齋記 92
2) 흥의공 초막재사 중건기興義公草幕齋舍重建記 94
4. 칠인정의 건립과 중수 98
1) 칠인정기七印亭記 98
2) 칠인정 상량문七印亭上樑文 103
3) 칠인정 중수기七印亭重修記 108

제2부 족안族案과 유안儒案 113
1. 족안族案 115
1) 족안 권1 115
2) 족안 권2 118
3) 족안 권3 120
4) 족안 권4 종계안 122
2. 유안儒案 123
1) 갑신년 유안 2 123
2) 신축년 유안 6 124

제3부 심정록尋亭錄 127
1. 심정록 권1 129
2. 심정록 권2 135

제4부 칠인정七印亭 차운시次韻詩 139
1. 칠인정운 권1 146
2. 칠인정운 권2 178
3. 칠인정운 권3 192
4. 칠인정운 권4(표지:七印亭韻 乙巳 正月 日) 220
5. 칠인정운 권외 268
6. 칠인정중수운七印亭重修韻 274
7. 흥의공묘도입석시운興義公墓道立石時韻(『칠인정실기』수록) 284

부록 칠인정문헌七印亭文獻 영인본影印本 293

저자소개

인동장씨 흥해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동장씨仁同張氏, 玉山張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仁同을 본향으로 하는 성씨이다. 인동지역은 신라시대부터 현으로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도 인동현仁同縣으로 현감이 다스리다가, 천생산天生山의 요새화로 인하여 1604년 인동도호부仁同都護府로 승격되어 조선 말까지 지속되었다. 1895년 인동군仁同郡으로 개칭하고, 1914년 칠곡군 인동면仁同面이 되고, 1978년 구미시에 분산 소속되었다가 1983년 구미시 인동동仁同洞이 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옥산(玉山)은 천생산의 주산으로, 인동도호부 시절부터 인동 지명의 이칭으로 쓰였다. 그러므로 인동장씨와 옥산장씨는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인동장씨는 상장군계와 직제학계의 두 갈래가 있는데, 대부분은 상장군[해제] 칠인정七印亭의 사적事蹟과 기록記錄 21계[張金用系]이다. 상장군계 인동장씨는 시조 장금용張金用의 아들 장선張善이 고려 문종 시절에 금오위 상장군을 지내고 인동에 거주하면서부터 그 후손들이 본향으로 삼았다. 고려 후기부터 조선시대에 들어와 가문이 번창하여 조선시대에 문과와 무과에서 급제자 수백 명이 나오는 등, 수많은 명현과 명관이 배출되어 혁혁한 문벌이 되었다. 직제학계[張桂系] 인동장씨는, 고려 충렬왕 시대의 학자 장계張桂가 예문관 대제학을 지내고 옥산부원군에 봉해지면서 그 후손들이 인동을 본관으로 한 데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소수이다. 2015년 인구조사에 의하면, 현재 남한에 사는 장張씨는 총 992,721명인데 그 중에서 인동仁同장씨가 666,652명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50여 본관을 가진 장씨 중에서 인동장씨는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큰 성관이다. 이들은 주로 경상북도 구미, 칠곡, 김천, 문경, 안동 등 각 시군에 거주하고 있고, 경상남도, 전라남북도, 강원도 등에도 다수 세거하였는데, 현대에 와서 수도권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서울과 경기도권에도 많이 분포하고 있다.
펼치기
김윤규 (역주)    정보 더보기
번역책임자 문학박사, 한동대학교 명예교수 『석주유고』 (공, 독립운동기념관, 2007) 『백하일기』 (공, 독립운동기념관, 2011) 『서산선생문집』(공, 한국국학진흥원, 2016) 『제산일기』 (단, 한국국학진흥원, 2023) 외 번역서 15건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