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사/방언론
· ISBN : 9791168100817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11-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서론
1.1. 국어 한자음의 시대구분
1.2. 국어 한자음 자료의 시대별 성격
2. 고대국어 한자음
2.1. 고대국어 한자음의 재구
2.2. 고대국어 한자음의 기층
2.3. 고대국어 한자음과 중세국어 한자음의 체계적 차이
2.4. 불확실한 문제들
2.5. 마무리
3. 중세국어 한자음
3.1. 『동국정운』의 체계와 교정 한자음
3.2. 전승 한자음
3.2.1. 모태론
3.2.2. 성모의 대응
3.2.3. 운모의 대응
3.2.4. 성조의 대응
3.3. 고대국어 한자음에서 중세국어 한자음으로
3.3.1. 성모의 변화
3.3.2. 운모의 변화: 체계적인 차이에 주목하여
4. 근대국어 한자음
4.1. 운서 및 자전의 편찬
4.2. 근대국어 한자음의 성격과 변화의 방향
4.2.1. 새로 설정한 한자음: 기존의 음은 속음으로 처리
4.2.2. 바로잡은 한자음: 기존의 한자음은 폐기
4.2.3. 일자다음에 따라 새로 첨가된 한자음
4.2.4. 중세에 보이지 않던 속음이 나타난 것
4.2.5. 중세의 복수음에서 부분적으로 폐기된 한자음
4.2.6. 음운의 변화를 반영한 한자음
4.3. 종합
5. 현대국어 한자음
5.1. 도입
5.2. 음운론적 개관
5.3. 현대국어 한자음의 성립 과정
5.3.1. 근대국어 자전에서 새로 등장하여 현대국어로 이어진 경우
5.3.2. 현대국어 자전에서 새로 채택한 한자음
5.3.3. 중세 및 근대의 한자음이 가능한 음운 변화를 거친 경우
5.4. 종합
6.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국어사대계》 발간의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