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한자음 연구 요목

한국 한자음 연구 요목

김무림 (지은이)
한국문화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26,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610원
23,4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27,26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9,000원 -10% 1450원 24,650원 >

책 이미지

한국 한자음 연구 요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한자음 연구 요목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69190442
· 쪽수 : 363쪽
· 출판일 : 2022-10-30

책 소개

한자음 연구에는 성운학의 어려운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학문의 용어가 어렵지 않은 것이 없겠으나, 운서 및 운도에 대한 연구에서 비롯된 독특한 용어들이 성운학의 논저에 나타난다. 이것은 전통적인 중국의 성운학이 현대의 음운론이나 음성학과는 잘 정합되지 않는 특수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목차

머리말 / 5

〔ㄱ〕
가2등운/假二等韻, 가4등운/假四等韻 15
간류보결절운/刊謬補缺切韻 17
개구호/開口呼 18
개모/介母 18
개발수폐/開發收閉 19
개음/介音 20
개합/開合 20
경사정음절운지남/經史正音切韻指南 22
경세정운/經世正韻 23
경순음/輕脣音 27
경전석문/經典釋文 28
경중/輕重 30
계림유사/鷄林類事 30
고금운회거요/古今韻會擧要 32
고대국어 한자음/古代國語 漢字音 34
고대국어 한자음과 중세국어 한자음의 차이 40
곡운/曲韻, 사운/詞韻, 시운/詩韻 47
광운/廣韻 48
교태운/交泰韻 60
구결 한자음/口訣 漢字音 61
권설음/捲舌音 64
규장운서/奎章韻瑞 65
규장전운/奎章全韻 66
근고음/近古音 72
근대국어 한자음/近代國語 漢字音 72
근대음/近代音 80

〔ㄴ〕
내전외전/內轉外轉 81
노걸대박통사/老乞大朴通事 82
뉴/紐 83

〔ㄷ〕
당운/唐韻 84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84
독약/讀若, 독여/讀如, 독왈/讀曰, 독위/讀爲 86
동국약운/東國略韻 86
동국정운/東國正韻 86
동국정운서문/東國正韻序文 93
등운/等韻 99
등운도/等韻圖 104
등호/等呼 104

〔ㅁ〕
모태론/母胎論 106
몽고운략/蒙古韻略 111
몽고자운/蒙古字韻 111
문법/門法 114

〔ㅂ〕
박통사/朴通事 116
반어/反語 116
반절/反切 116
반절계련/反切系聯 118
발송수/發送收 120
번절/翻切 121
벽합/闢闔 121
벽흡/闢翕 123
불청불탁/不淸不濁 123

〔ㅅ〕
사등전속운/四等專屬韻 125
사성/四聲 125
사성등자/四聲等子 125
사성통고/四聲通攷 126
사성통해/四聲通解 128
사운/詞韻 131
사호/四呼 131
3・4등복운/三・四等複韻 131
3・4등합운/三・四等合韻 131
36자모/三十六字母 132
삼운보유/三韻補遺 132
삼운성휘/三韻聲彙 133
삼운통고/三韻通考 134
상고음/上古音 136
서유이목자/西儒耳目資 137
설내입성운미 -ㄹ/舌內入聲韻尾 -ㄹ 138
설상음/舌上音 139
섭/攝 140
성/聲 142
성류/聲類 143
성모/聲母 146
성운학/聲韻學 146
성음창화도/聲音唱和圖 147
성조/聲調 149
세음/細音 155
속첨홍무정운/續添洪武正韻 155
순경음/脣輕音 156
순4등운/純四等韻 156
순3등운/純三等韻 159
시경/詩經 162
시운/詩韻 162
신자전/新字典 162
신증유합/新增類合 163
실담/悉曇 165
실담장/悉曇章 171
쌍성첩운/雙聲疊韻 171

〔ㅇ〕
압운/押韻 171
양성운/陽聲韻 174
역어유해/譯語類解 174
역어유해보/譯語類解補 179
예부운략/禮部韻略 179
오음/五音, 칠음/七音 184
용감수경/龍龕手鏡 186
운/韻 187
운경/韻鏡 188
운도/韻圖 190
운두/韻頭 191
운략이통/韻略易通 191
운략회통/韻略匯通 193
운류/韻類 193
운모/韻母 194
운목/韻目 194
운미/韻尾 195
운별등운/韻別等韻 195
운복/韻腹 196
운부/韻部 196
운부군옥/韻府群玉 197
운서/韻書 198
운해/韻解 200
운해훈민정음/韻解訓民正音 205
월남 한자음/越南 漢字音 205
유격/類隔 207
유합/類合 209
음성운/陰聲韻 210
음운천미/音韻闡微 210
음화/音和 212
이두 한자음/吏讀 漢字音 212
이문/異文 216
이영보래/以影補來 216
일본 한자음/日本 漢字音 217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 220
입성운/入聲韻 222

〔ㅈ〕
자류주석/字類註釋 222
자모/字母 223
자모운/字母韻 225
자모절운요법/字母切韻要法 228
자운/字韻 229
자전석요/字典釋要 230
전운옥편/全韻玉篇 232
전일도인/全一道人 235
전청/全淸 236
전탁/全濁 238
절운/切韻 238
절운지장도/切韻指掌圖 240
정치음/正齒音 242
제치호/齊齒呼 243
조류/調類 243
조매시/早梅詩 243
조3계/照三系 243
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 243
조선어석/朝鮮語釋 245
조2계/照二系 245
조치/調値 245
종성/終聲 246
주음부호/注音符號 246
중고음/中古音 247
중뉴/重紐, 3・4등복운/三・四等複韻 254
중성/中聲 258
중세국어 한자음/中世國語 漢字音 259
중세국어 한자음의 근대성/中世國語 漢字音의 近代性 276
중운/重韻 282
중원음운/中原音韻 284
중화신운/中華新韻 288
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 290
증수호주예부운략/增修互註禮部韻略 290
직음/直音 290
직음4등운/直音4等韻 291
진음/秦音 291
집운/集韻 291

〔ㅊ〕
차청/次淸 292
차탁/次濁 294
천자문/千字文 294
첨단음/尖團音 298
청탁/淸濁 299
초성/初聲 300
촬구호/撮口呼 300
치상음/齒上音 300
칠음/七音 301
칠음략/七音略 301
칠음운감/七音韻鑑 304

〔ㅍ〕
평수운/平水韻 304
평측/平仄 305

〔ㅎ〕
한국의 운서/韓國의 韻書 305
한어방언/漢語方言 308
한어병음/漢語拼音 310
한어음운사 시대구분/漢語音韻史 時代區分 312
합구호/合口呼 313
핵모/核母 313
향찰 한자음/鄕札 漢字音 313
현대국어 한자음/現代國語 漢字音 316
현대한어의 음운/現代漢語의 音韻 319
홍무정운/洪武正韻 319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320
홍세/洪細(洪音과 細音) 328
홍음/洪音 330
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 330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332
훈몽자회/訓蒙字會 333
훈민정음의 음가에 사용된 한자 336

〔參考文獻〕 / 341

저자소개

김무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도고등학교 및 고려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지방철도청에서 근무했으며, 강릉대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교수를 거쳐, 중국 중앙민족대학 조선어문계 한국학 파견교수, 중국 중앙민족대학 객좌교수, 강릉대 언론원장, 강릉원주대 인문학연구소장 및 도서관장, 한국한자음연구회 회장, 강릉원주대 인문대학장을 역임하고, 현재 강릉원주대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7년 난정학술상 본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국어 음운론』, 『우리말 어원사전』(공편), 『홍무정운역훈 연구』, 『국어지식탐구』(공저),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공저), 『국어의 역사』, 『홍무정운역훈』, 『국어 음운론』(공저), 『한국어 어원사전』, 『고대국어 한자음』, 『현대국어 한자음』(공저), 『훈민정음 해례본』(공저), 『국어 어원사전』 등이 있으며, 한자음․음운론․국어사 관련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홍무정운역훈』(2006, 신구문화사)을 간행하면서 책을 읽는 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부록’으로 ‘용어 해설’을 붙였다. 당시 80개의 용어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지면의 제한으로 매우 간략한 설명에 그쳤고, 용어의 항목도 주로 『홍무정운역훈』의 논의에 관련된 것이어서 본격적인 ‘한자음 연구’라는 측면에서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제 한자음 연구와 관련된 용어를 여러 論著를 통하여 대폭 확충하고, 기존에 작성하였던 항목에 대해서도 새롭게 집필하였다. 책의 제목은 『韓國漢字音硏究要目』으로 하여 국어 한자음 연구에 초점을 두었지만, 中國을 비롯하여 韓國, 日本, 越南 등의 漢字音에도 두루 적용될 보편성의 原理를 염두에 두었다.


東韻은 1등과 3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3등에 속한 것들은 聲母에 따라 介母의 여부가 결정된다. 즉 위에서 ‘나’에 속한 것들은 介母가 나타나지 않고, ‘다’에 속한 것에는 介母가 나타난다. 3등운에서 齒音의 경우 正齒音의 照二系는 『韻鏡』(內轉第一開)에서 2등에, 正齒音의 照三系는 3등에, 齒頭音은 4등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正齒音의 照二系는 假二等韻이고, 齒頭音은 假四等韻이다. 그런데 위의 중세국어 한자음을 보면 正齒音의 照二系는 介母가 나타나지 않고, 齒頭音은 介母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假二等韻과 假四等韻이 모두 三等韻이라고 하여 구분이 없는 것이 아니라, 聲母에 따른 介母의 차이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덧붙여 東韻의 3등운은 기본적으로 ‘나’의 [-iwəŋ/k]로 재구하여 介母가 [j]가 아닌 [i]이다. 그러므로 牙音과 같은 경우에 3등에 놓여 있어도 중세국어 한자음에서 介母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의 3등운에 介母 [j]를 세운 것은 聲母의 영향에 의해 介母 [i]가 [j]로 變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8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