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91168103030
· 쪽수 : 1296쪽
· 출판일 : 2024-09-04
책 소개
목차
화보
‘심악 이숭녕 선생 학덕추모비(學德追慕碑)’를 세우다 ∙ 이병근
책머리에 올리는 말씀 ∙ 전광현
제1부 이숭녕 선생을 회상하다
영원한 스승, 심악 이숭녕 선생님 ∙ 강신항
내 마음의 묏부리로 솟아 계시는 그분 ∙ 김열규
선생님의 그림자 뒤에서 보낸 45년 ∙ 정기호
추모사 ∙ 채훈
사십 후반 시절의 선생님의 일상 ∙ 정연찬
심악 이숭녕 선생 추모사 ∙ 안병희
심악 선생의 학은(學恩) ∙ 도수희
심악 이숭녕 은사(恩師)님을 추모함 ∙ 남풍현
심악 선생님과의 인연 ∙ 남기심
이숭녕 선생과의 사이에 얽힌 이런 일 저런 일 ∙ 고영근
심악 이숭녕 선생을 돌아본다 ∙ 이기용
심악 이숭녕 선생님 30주기 추모 회고사 ∙ 전광현
심악 선생님의 외국어 학습 권유 ∙ 송민
심악 선생님의 그늘 ∙ 고정의
심악 선생님에 대한 회고 ∙ 홍윤표
시골 고등학교 교장을 방문하신 뜻 ∙ 송기중
심악 이숭녕 선생님께 ∙ 이광호
군사 법정에 증인을 서신 심악 선생님 ∙ 정광
이숭녕 선생님을 회상하며 ∙ 임홍빈
학문과 대학 생활의 인도자 ∙ 이상억
심악 선생님과 도봉산 커피의 추억 ∙ 서정목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선명하게 떠오르는 심악 선생님에 대한 기억 ∙ 장경희
큰바위얼굴 ∙ 곽충구
굳센 마음, 그 뜻과 깨우침을 되새기며 ∙ 김흥수
인상 깊었던 두 가지 기억 ∙ 송철의
심악 선생님을 추억하며 ∙ 채완
육필(肉筆) 편지 ∙ 이승재
아버지에 대한 추억 ∙ 이의돈
큰 산같이, 심악 ∙ 김정아
서평: 이숭녕 저 《대학가의 파수병》
제2부 이숭녕 선생의 학술 활동을 돌아보다
이숭녕 선생의 학술 활동을 돌아보다 ∙ 이병근
제3부 이숭녕 선생의 논저를 다시 보다
I. 음운
이숭녕 선생의 음운 연구 ∙ 정승철
이숭녕 선생의 ‘ᄋᆞ’ 연구 ∙ 한영균
이숭녕 선생의 ‘모음조화’ 연구 ∙ 이진호
이숭녕 선생의 ‘음성상징’ 연구 ∙ 신중진
이숭녕 선생의 ‘이화’ 연구 ∙ 이상신
<‘애, 에, 외’의 음가변이론>의 이해 ∙ 정인호
<15세기의 모음체계와 이중모음의 Kontraktion적 발달에 대하여>의 이해 ∙ 정인호
<15세기의 ‘어’ 음가에 대하여>의 이해 ∙ 곽충구
<순음고>의 이해 ∙ 김주필
<ㅿ음고>의 이해 ∙ 김경아
<국어의 Hiatus와 자음 발달에 대하여>의 이해 ∙ 김주필
<이조 초기의 l.r음 표기 문제 연구>의 이해 ∙ 김경아
<17세기 국어의 음운사적 고찰>의 이해 ∙ 곽충구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음운사적 고찰>의 이해 ∙ 곽충구
<15세기의 활용에서의 성조의 고찰>의 이해 ∙ 김성규
<성조 체계의 붕괴 과정의 고찰>의 이해•김성규
<악센트론>의 이해 ∙ 유필재
<현대 서울말의 accent의 고찰>의 이해 ∙ 유필재
<음운전위 현상에 대하여>의 이해 ∙ 김현
<동음생략과 상관속문제>의 이해 ∙ 김현
<신라시대의 표기법 체계에 관한 시론>의 이해 ∙ 권인한
<‘이벌찬·서발한’ 음운고>의 이해 ∙ 권인한
향가 연구와 이숭녕 선생 ∙ 서정목
《국어학개설(상)》의 이해 ∙ 배주채
《음운론연구》의 이해 ∙ 김현
《국어학논고》의 이해 ∙ 김현
II. 문법
이숭녕 선생의 조어론 연구 ∙ 김창섭
<국어 조어론 시고>의 이해 ∙ 이선영
<어간과 어근에 대하여>의 이해 ∙ 김창섭
<접미사 -b(p)-계의 연구>의 이해 ∙ 김창섭
<접미사 ‘-k(g)-, -ŋ-’에 대하여>의 이해 ∙ 김창섭
<고대어의 형태론적 연구 시도>의 이해 ∙ 송원용
<17세기 초기 국어의 형태론적 고찰>의 이해 ∙ 이선영
<어간쌍형설의 제기>의 이해 ∙ 임근석
<15세기 국어의 쌍형어 ‘잇다, 시다’의 발달에 대하여>의 이해 ∙ 임근석
<부사형 어간 형성의 한 고찰>의 이해 ∙ 이선웅
이숭녕 선생의 문법 연구 ∙ 박진호
<격의 독립품사 시비>의 이해 ∙ 한재영
<주격 ‘가’의 발달과 그 해석>의 이해 ∙ 한재영
<조사 설정의 재검토>의 이해 ∙ 한재영
<소유격과 처격의 비교 시도>의 이해 ∙ 이홍식
<중세국어의 특이처격 ‘-’, ‘-의’에 대하여>의 이해 ∙ 이홍식
<15세기 국어에서의 ‘-는’계 조사의 기능에 대하여>의 이해 ∙ 채완
<주격 중출의 문장 구조에 대하여>의 이해 ∙ 채완
<15세기 국어의 복수성 부여의 ‘-’에 대하여>의 이해 ∙ 임동훈
<국어의 인대명사와 신분성 지배에 대하여>의 이해 ∙ 임동훈
<겸양법 연구>의 이해 ∙ 김정아
<경어법 연구>의 이해 ∙ 이승희
<어간형성과 활용어미에서의 ‘-(오/우)-’의 개재에 대하여>의 이해 ∙ 박진호
<중세국어의 MOOD론>의 이해 ∙ 박진호
<‘-(오/우)-’론고>의 이해 ∙ 박진호
<‘-샷다’고>의 이해 ∙ 박재연
<어미 ‘과여’류 주석고>의 이해 ∙ 박재연
<중세국어의 ‘것’의 연구>의 이해 ∙ 이은경
<15세기 국어의 관형사형 /-논/계 어미에 대하여>의 이해 ∙ 문숙영
<‘옷고’고>의 이해 ∙ 이은섭
<‘-’, ‘-녀’고>의 이해 ∙ 이은섭
<문체의 시대적 고찰>의 이해 ∙ 장소원
<15세기 문헌의 문체론적 연구>의 이해 ∙ 장소원
《고어의 음운과 문법》의 이해 ∙ 구본관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 송철의∙김창섭 ∙ 박진호
《국어조어론고》의 이해 ∙ 송철의
《국어학논총》‧《국어학연구》의 이해 ∙ 김현
《중등 국어 문법》(1956)의 이해 ∙ 구본관
《고등 국어 문법》(1960)의 이해 ∙ 구본관
《중학 국어 문법》(1967)의 이해 ∙ 구본관
《문법》(1968)의 이해 ∙ 구본관
III. 어휘‧의미
이숭녕 선생의 어휘 연구 ∙ 황선엽
<어휘사>의 이해 ∙ 석주연
<‘공번되다’의 주석>의 이해 ∙ 조남호
<‘’의 다의고(多義攷)>의 이해 ∙ 조남호
<‘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의 이해 ∙ 조남호
<제주도 감귤고>의 이해 ∙ 조남호
<‘’고>의 이해 ∙ 양정호
<언어연구에서 본 인명고(人名攷)>의 이해 ∙ 이영경
<중세국어의 가족호칭에 대하여>의 이해 ∙ 이영경
<종족의 계통적 서열에 대하여>의 이해 ∙ 이영경
<어명(魚名)잡고>의 이해 ∙ 황선엽
<이조 초기 어류(魚類)에 관한 어휘론적 고찰>의 이해 ∙ 황선엽
<응자명(鷹子名)에 관한 어휘의 고찰>의 이해 ∙ 황선엽
<시가(詩歌)에 나타난 식물명의 어휘론적 고찰>의 이해 ∙ 황선엽
<시간 어휘에 대하여>의 이해 ∙ 노명희
<백제어 연구와 자료면의 문제점>의 이해 ∙ 황선엽
<《동국신속삼강행실》에 대한 어휘론적 고찰>의 이해 ∙ 석주연
<국어에 반영된 중국문화의 어휘론적 고찰>의 이해 ∙ 노명희
<한일(韓日) 양어(兩語)의 어휘 비교 시고>의 이해 ∙ 황선엽
이숭녕 선생의 의미 분야 연구 ∙ 문금현
<국어의 의미변화 시고>의 이해 ∙ 이지영
<국어의미론단상>의 이해 ∙ 이지영
<국어에의 의미론적 반성>의 이해 ∙ 이지영
<국어의 Polysemy에 대하여>의 이해 ∙ 이지영
<국어의 Synonymy의 연구>의 이해 ∙ 이지영
<의미론에서 본 국어의 특징>의 이해 ∙ 이지영
이숭녕 선생의 자연 및 환경 관련 연구 ∙ 이병기
<연산군의 시상의 고찰>의 이해 ∙ 이종묵
<잠실(蠶室)의 연구>의 이해 ∙ 이종묵
<한국의 차>의 이해 ∙ 이종묵
<성호의 북한산기행문의 고찰>의 이해 ∙ 이종묵
<북한산의 지지적 고찰(고지도)>의 이해 ∙ 이종묵
《한국의 전통적 자연관》의 이해 ∙ 김현
IV. 방언
이숭녕 선생의 방언 연구 ∙ 최명옥
<방언학의 수립>의 이해 ∙ 최명옥
<덕적도의 방언>의 이해 ∙ 최명옥
<울릉도방언>의 이해 ∙ 최명옥
<서해도서조사보고>의 이해 ∙ 최명옥
<제주도 방언과 그 의의>의 이해 ∙ 최명옥
<제주도 방언의 재인식>의 이해 ∙ 최명옥
<제주도 방언의 형태론적 연구>의 이해 ∙ 최명옥
<각 고장의 사투리 이야기>의 이해 ∙ 최명옥
<한국방언사>의 이해 ∙ 최명옥
<은어고>의 이해 ∙ 최명옥
<쇠멸단계에 들어선 설악산 심메마니 은어에 대하여>의 이해 ∙ 최명옥
V. 문헌
이숭녕 선생의 문헌 연구 ∙ 이현희
<임진왜란과 민간인 피해에 대하여>의 이해 ∙ 이호권
<이조 초기 역대 왕실의 출판 정책의 고찰>의 이해 ∙ 이호권
<주자소‧책방‧정음청의 상호관계에 대하여>의 이해 ∙ 이호권
<《대학언해》의 율곡본과 관본과의 비교연구>의 이해 ∙ 이호권
<《소학언해》의 무인본과 교정청본의 비교연구>의 이해 ∙ 이호권
<언해의 고전적 가치>의 이해 ∙ 이호권
<인수대비의 언해사업과 그 고찰의 태도론>의 이해 ∙ 이호권
<언해사업의 시대적 경향에 대하여>의 이해 ∙ 이호권
<한국차의 문헌학적 연구>의 이해 ∙ 이종묵
<신미의 역경사업에 관한 연구>의 이해 ∙ 이호권
<이조 초기의 운서 간행>의 이해 ∙ 이호권
<훈민정음>의 이해 ∙ 이호권
<지봉유설 해제>의 이해 ∙ 이호권
<허부인 난설헌>의 이해 ∙ 이종묵
<한국어>의 이해 ∙ 이호권
VI. 어학사
이숭녕 선생의 어학사 연구 ∙ 이현희
<국어학사의 시대성 논고>의 이해 ∙ 장윤희
<국어학사>의 이해 ∙ 장윤희
<《홍무정운역훈》의 연구>의 이해 ∙ 장윤희
<홍무정운의 인식의 시대적 변모>의 이해 ∙ 장윤희
<최만리 연구>의 이해 ∙ 장윤희
<최세진 연구>의 이해 ∙ 장윤희
<황윤석의 《이수신편》의 고찰>의 이해 ∙ 장윤희
<《황극경세서》의 이조 후기 언어 연구에의 영향>의 이해 ∙ 장윤희
<천주교 신부의 한국어 연구에 대하여>의 이해 ∙ 장윤희
<람스테트 박사와 그의 업적>의 이해 ∙ 장윤희
이숭녕 선생의 국어학사 관련 논설 ∙ 장윤희
이숭녕 선생의 세종대왕 연구 ∙ 이현희
<세종대왕>의 이해 ∙ 이현희
<세종대왕의 개성의 고찰>의 이해 ∙ 이현희
<세종조의 시대적 배경>의 이해 ∙ 이현희
<세종대왕 연구에의 의의제기(疑義提起)>의 이해 ∙ 이현희
<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의 이해 ∙ 이현희
<세종의 언어정책 사업과 그 은밀주의적 태도에 대하여>의 이해 ∙ 이현희
<세종의 경학사상(經學思想)에 대하여>의 이해 ∙ 이현희
<세종과 풍수지리설에 관한 연구>의 이해 ∙ 이현희
<세종의 전지요양에 대하여>의 이해 ∙ 이현희
《혁신국어학사》의 이해 ∙ 이현희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의 이해 ∙ 송철의
심악 이숭녕 선생 연보
심악 이숭녕 선생 주요 업적
편집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