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음운론/어휘론
· ISBN : 979116810348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5-03-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한국어의 말소리
1. 한국어 말소리의 특징
2. 한국어 말소리 연구, 왜 하는가?
2.1. 한국어 말소리 연구의 목표
2.2. 한국어 음운론의 응용과 활용
3. 한국어 말소리를 가르칠 때 알아야 할 것
3.1. 발음 교육이 필요한 까닭
3.2. 한국어 발음 교육의 내용과 방법
2장 한국어의 말소리와 음운 체계
1. 음성과 음운
1.1. 소리와 음성
1.2. 음성과 음운
1.3. 음성학과 음운론
2. 한국어의 말소리
2.1. 말소리 산출의 과정
2.2. 조음기관과 조음 위치
2.3. 조음 방법과 한국어 자음의 산출
3. 한국어의 음운
3.1. 음운과 음소
3.2. 음소 설정의 방법
3.3. 한국어의 음소
3.4.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4. 외국어로서 한국어 음운의 특징과 지도법
4.1. 한국어 모음 교육
4.2. 한국어 자음 교육
3장 한국어의 음절
1. 한국어의 음절 구조
1.1. 음절의 정의와 특성
1.2. 음절의 기능과 중요성
1.3. 음절의 성분과 종류
2. 한국어의 제약
2.1. 음소 제약
2.2. 음절 제약
2.3. 형태소 제약
3. 한국어의 음절 실현
3.1. 음절 경계
3.2. 한국어의 음절 유형
4. 외국어로서 한국어 음절 교육의 내용과 방법
4.1. 음절 구조의 특징과 한국어 발음 교육
4.2. 음절 교육의 실제
4장 한국어의 음운 현상 1
1. 음운 변화의 유형
2. 교체
2.1. 동화
2.2. 자음 관련 교체
2.3. 모음 관련 교체
3. 탈락
3.1. 자음탈락
3.2. 모음탈락
4. 외국어로서 한국어 음운 현상 교육의 내용과 방법 1
4.1. 어말자음중화(평파열음화, 평폐쇄음화)의 제시
4.2. 동화의 제시 118
4.3. 탈락의 제시 120
5장 한국어의 음운 현상 2
1. 축약
1.1. 유기음화(격음화)
1.2. 반모음화(활음화)
2. 첨가
2.1. ㄴ첨가
2.2. 사이시옷첨가
3. 합류와 분화
4. 유추와 차용
4.1. 유추
4.2. 차용
5. 전위
6. 외국어로서 한국어 음운 현상 교육의 내용과 방법 2
6.1. 축약의 제시
6.2. ㄴ첨가의 제시
6장 한국어 말소리의 연구 방법
1. 이론 기반 연구 방법
1.1. 구조주의 기반 접근
1.2. 생성주의 기반 접근
2. 실험 기반 연구 방법
2.1. 음향음성학적 접근
2.2. 음향음성학적 분석의 실제
부록
1. IPA 차트
2. 장별 주요 개념
3. 장별 연습 문제
4. 장별 주요 용어 색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