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91168103627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5-04-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I.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사 개관
3. 연구방법과 대상
II. 17세기 교화담론과 <창선감의록>
1. 17세기 교화담론의 형성과정
1) 사회‧정치적 혼란과 사대부의 위기의식
2) 이념교육의 강화와 교훈서의 발간
3) 교화대상의 확장과 소설의 활용
2. <창선감의록>의 교화담론과 서사성의 강화
1) 교화담론과 통속성의 관계
2) 서사성과 통속성의 강화 양상
III. 인물의 지향과 교화적 성격
1. 화진 : 내면‧육화된 효제(孝悌)의 추구
1) 화진의 고난과 분복에 맞는 삶
2) 내면‧육화된 효제의 실천
2. 남채봉 : 애경‧애척의 발현과 효녀 되기
1) 애경과 애척의 발현
2) 여성의 개성과 주체성의 부정
3. 윤옥화 : 지극한 우애와 아황‧여영 되기
1) 인연 맺기와 우애의 실천
2) 쟁총에 대한 경계
4. 진채경 : 효‧절의 실천과 효녀‧열부 되기
1) 효와 절의 갈림길
2) 효와 절을 겸비한 여성상의 추구
IV. 갈등의 양상과 작가의식
1. 갈등의 양상과 사회적 현실
1) 화욱과 화춘의 갈등 : 가부장의 욕망에 따른 비극적 현실
2) 심씨‧화춘과 화진‧화빙선의 갈등 : 적서의 논쟁과 다툼
3) 심씨와 성부인의 갈등 : 출가외인과 종부의 대립
2. 갈등의 해결방식과 작가의식
1) 천명사상과 유교적 이념의 절대화
2) 가부장적 종법체제 옹호
3) 여성의 개성과 주체성의 부정
4) 제의 실천과 그 이면, 쟁총에 대한 경계
5) 효와 절을 겸비한 여성상의 추구
V. 결론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