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68560802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제1장 머리말
1. 연구 목적과 연구 현황
2.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제2장 신라의 밀교 수용
1. 밀교의 중국 전래
2. 신라의 밀교 수용과 전개
제3장 밀교종파의 성립과 활동
1. 밀교종파의 성립과 전개
2. 신인종의 활동과 왕실과의 관계
3. 총지종의 활동과 관법 수행
제4장 밀교경전의 간행과 유통
1. 대장경・교장과 밀교경전
2. 단본 밀교경전의 간행
제5장 국가적 밀교의례의 개설
1. 밀교의례의 개설 양상과 특징
2. 소재도량과 천문재이의 기양
3. 불정도량과 의궤의 활용
4. 관정도량의 두 가지 유형: 전란기양과 즉위의례
제6장 고려시대 밀교의 성격
1. 고려 전기 밀교의 양상
2. 무신 집권기의 사회 변동과 밀교
3. 원 간섭기 이후의 고려 밀교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밀교종파는 조직적 측면에서 고려시대 밀교에 접근하는 창이다. 경전을 위시한 불교 문헌들은 사상과 신앙을 종적․횡적으로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의례는 신앙이 구체적 행위로 발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파․경전․의례로부터 밀교에 접근하는 방법은 고려시대 밀교를 살펴보는 가장 효과적인 틀이다.(머리말)
고려시대의 각 시기별로 밀교종파, 신앙, 교학의 변화가 보인다. 고려 사회의 변화에 따라 밀교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기능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밀교가 끊임없이 사회와 소통하고 있던 흔적이기도 하다.(6장)
밀교의 다라니신앙은 고려시대 불교신앙의 저류로 작용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 숭유억불 분위기 하에서도 밀교신앙이 면면히 이어지는 밑거름이 되었다.(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