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9116861178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3-10-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소울푸드, 지친 몸과 마음을 위로하다
소박한 칼국수가 주는 위로 시장칼국수
경남의 메밀 음식을 찾아서 진주냉면, 의령소바
모자람 없이 넉넉했던 그 시절의 기억 김칫국
팔팔 끓는 시락국에 밥 한 덩이 척 시래기와 시락국
찬바람 불면 생각나는 포장마차의 밤 홍합(담치)
오랜 추억의 주전부리 영도 조내기 고구마와 빼때기죽
젯밥에 관심이 갈 만허네 제삿밥과 전찌개
소고기를 대신했던 그 시절 고래의 맛 울산 장생포 고래탕
몰래 뒤로 빼돌려 먹던 돼지고기 김해 돼지 뒷고기와 뒷통구이
생고기의 미학, 양념은 거들 뿐 울산 봉계한우
통영 바다를 한 상에 올리다 통영 다찌
뭘 내놓을지는 주인장 맘이라오 진주 실비
상다리가 휘어지는 풍경 창원 마산 통술
2장 소울푸드,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녹이다
경상도식 장터 소고기국밥 한 그릇 함안 소고기국밥
노포의 구들방을 차지한 가마솥에서 끓여내는 국밥의 맛이란 의령·합천 장터국밥
12가지 맛을 품다 울산 언양 소머리국밥
총쟁이국밥 먹으러 장터에 간다 고성 총쟁이국밥
산채음식과 절밥의 오묘한 조화 양산 약선밥상
뚝배기 한 그릇에 몸도 마음도 스르르 녹는다 통영 쫄복과 도톨복
우포늪의 넉넉한 품이 내어주는 식탁 창녕 우포늪 붕어밥상
한옥고택서 내온 200년 비법의 술상 합천 고가송주(古家松酒) 술상
맹독 속에 숨겨진 맑고 시원한 맛 통영 쑤기미탕
술꾼 아재는 이 못난이를 사랑한다네 창원 마산 탱수국
3장 소울푸드, 바다와 강이 차려낸 식탁
달콤쌉쌀한 멍게의 맛 통영 멍게
벚꽃 흐드러질 때 벚굴도 만개한다 섬진강 벚굴
볼이 미어지도록 봄 바다 크게 한 쌈 영도 곰피와 기장 다시마
짭조름한 낙동강 봄의 별미 낙동강 갱갱이젓
향토음식의 재발견, 맛깔난 수어秀魚 가덕숭어
봄이면 거제 밥상에 피어나는 바다 붉은 꽃 거제 씸벙게(왕밤송이게)
입천장이 데어도 포기할 수 없다 창원시 진동 미더덕
바다에서 건져낸 칼국수 면발(?) 남해·삼천포 앵아리
여름 해조류, 푸른 바다의 맛 해초밥상
기장 아지매의 수고로움을 먹다 기장 까시리
수조기 짝 찾는 울음소리 서낙동강 수조기
밥상 위에 조개꽃이 피었습니다 서낙동강 하구 갯벌조개
백사장에서 만난 여름 밥도둑 금게
낙동강 사람들 여름 입맛 돋우는 짭조름함 을숙도 밀기
욕지 앞바다는 고등어를 키운다 통영 욕지도 고등어
청마가 사랑한 ‘토영’의 소울푸드 통영 볼락
4장 소울푸드, 싱그러운 산과 들의 식탁
유년 시절 붉게 물들였던 빨간 맛의 추억 김해 산딸기
지리산 흑돼지구이도 조연이 된다 지리산 봄나물
밥상에서 맞이하는 생동하는 봄 푸새 남새 구첩반상
허기진 옛 추억을 채우는 보리밥 한상 밀양 보리밥
가지마다 줄기마다 매달린 농익은 봄 나무순 나물
햇빛과 바람이 만든 슬로푸드 묵나물
‘파김치’된 당신에게 봄이 내린 선물 기장 쪽파
오메, 밥상에 단풍 들었네 양산 단풍콩잎장아찌
겨울 난 몸을 파릇하게 일깨우다 양산 곰취와 곤달비
저자소개
책속에서
소울푸드는 특정한 지역에서 자연스럽게 발현한 음식으로, 그 고장에서 나는 식재료를 그들 방식으로 조리해 먹되, 지역민 모두가 공유하면서 즐거이 상식(常食)하는 음식으로 정의된다. 주로 푸드 마일리지가 짧고 지역의 식재료로 조리하는 로컬푸드가 대상이 되겠다. 이들 음식은 지역의 공동체문화를 내포하고 있기에 일반적인 음식과 함께 분류, 치부할 수가 없다.
돼지국밥, 밀면 등이 부산 소울푸드의 좋은 예가 되겠다. 통영의 볼락, 김해의 뒷고기, 울산 고래고기, 하동의 재첩과 참게, 마산 통술, 언양 소머리국밥, 함안 의령 합천의 장터국밥 등 지역마다 그 지역의 식재료와 조리법 등으로 무장한 향토음식, 지역 사람들이 사랑하는 소울푸드가 있다는 이야기다.
_「들어가며」
그 대표적인 음식이 ‘시장칼국수’이다. 큰 대접에 한 고봉 채워주는 뜨끈한 시장칼국수는, 싸고 오래도록 든든해 시장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부산의 시장에는 칼국수 집이 없는 곳이 거의 없다. 어떤 시장은 칼국수 집을 중심으로 장이 형성될 정도이다. 그래서 시장칼국수는 시장의 정겨움이 살아 있는 음식이다. 좁은 가게 안, 목로 의자에 낯선 이들과 어깨를 부딪치며 한 젓가락씩 후후 불어 먹는 음식이다. 칼국수 한 그릇 먹고 나면 서로가 이웃이 되고, 함께 밥을 먹은 식구가 되는 것이다.
부산 영주시장과 서면시장은 40~50년을 훌쩍 넘긴 시장칼국수 집들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리법이라고 특별한 것은 없다. 잘 반죽한 밀가루를 넓게 펴고 무심한 듯 숭덩숭덩 썰어 내는 것이 시장칼국수의 특징이다. 그래서 일반 칼국수보다 면발이 굵고 통통하다.
_「소박한 칼국수가 주는 위로」
국을 휘저어 보니 콩나물과 무, 파 등과 함께 토란 줄기도 들어가 있다. 언뜻 보면 육개장 느낌이다. 국물이 진하면서도 슴슴하다. 그래서인지 계속 떠먹으니 개운하다. 함안, 의령과는 달리 뭉텅이 고기가 아닌 자잘하게 토막 낸 고기들이 제법 많은 양으로 들어가 있다. 아마도 소고기를 부위별로 정형하면서 남은 고기를 챙겨두었다가 아낌없이 넣고 끓여내는 듯하다.
소고기 한 점 씹으니 부드럽다. 이가 부실한 사람도 맛있게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살살 으스러지듯 씹힌다. 그리고 고소함이 입안을 감돈다. 뜨끈한 소고기국에 밥을 만다. 그리고 깻잎장아찌를 국밥에 올려 먹는다. 구수한 국밥에 짭조름한 깻잎장아찌가 잘 어우러진다. 이렇게 허벅허벅 금세 한 그릇 뚝딱 비우고 만다.
_「노포의 구들방을 차지한 가마솥에서 끓여내는 국밥의 맛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