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9119402125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5-07-07
책 소개
한 끼, 한 철, 한 계절로 배워가는 제주
여행이 끝나도 여행은 계속된다. 이번에는 삶이라는 이름으로
제주살이에는 여유만 있는 게 아니다. 낯설음, 호기심, 생활력, 사람 냄새가 고루 섞여 있다. 이 책은 바로 그 진짜 제주살이에 대한 기록, 여행이 끝난 자리에 다시 시작된 ‘생활의 기록’이다.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살고 싶은 섬’을 하나 만들어주는 다정한 에세이다. 익숙함에 젖기보다는 새로움을 향해 열린 마음으로 살아가는 태도, 속도를 내려놓고 계절과 리듬에 귀 기울이는 자세, 그리고 매일의 소소한 일을 여행처럼 마주하는 감각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여행 작가였던 저자는 제주로 삶의 기반을 옮기고, 천천히 ‘도민의 언어’와 ‘섬의 리듬’을 익혀간다. 이 책에는 제주에 정착한 한 작가가 보고 듣고 느낀 제주의 일상들이 소박하고 섬세하게 그려져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관찰자의 시선’이 아닌 ‘생활자의 언어’로 쓰여 있다는 점이다. 표선목욕탕 언니들이 챙겨주는 여름 쌈밥, 고사리를 따러 중산간 도로에 빼곡히 늘어선 자동차들, 낚시꾼의 손에 들려 돌아오는 조과, 이름도 생소한 ‘고즐맹이’ 한 손 가득 안고 집으로 돌아오는 시장길. 이 모두가 느슨하지만 분명하게 제주를 이루는 조각들이다. 작가가 그려내는 제주의 삶은 때로는 유쾌하고, 때로는 사려 깊으며, 무엇보다도 생생하다.
관광지로만 알았던 제주의 참모습, 도민들이 살아가는 진짜 풍경을 엿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제주에서는 일하는 날도, 만나는 약속도, 날씨에 따라 정해진다. 비가 오면 농사를 미루고, 바람이 불면 계획을 바꾼다. 오일장에서 아강발을 사고, 성산읍 어귀에서 고사리 앞치마를 발견하며, 함덕해변에서 커피를 마시다 문득 계절을 자각하는 순간들. 제주에서는 시간의 흐름이 바람처럼 불고, 사람의 인사는 바다처럼 밀려왔다가 사라진다.
그 유연함이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작가는 점점 “그래도 괜찮다”는 마음을 배우게 된다. 그렇게 삶은 조금씩 단단해지고, 마음은 조금씩 느긋해진다. 그리고 이 느슨하지만 진한 관계의 섬에서, ‘여행하듯 살아가는 법’을 조금씩 익혀나간다.
이 책에는 각 장면마다 사람이 있고, 제철 음식이 있고, 바람과 파도가 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당신도 그곳의 언덕을 걷고, 시장의 냄새를 맡고, 표선 바닷가의 고양이들에게 인사를 건넬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당신도 제주 어딘가에서 고사리를 따고, 자리를 구워 막걸리를 따르고, 고양이에게 사료를 건네며 해질녘의 하늘을 바라보게 될지도 모른다.
이 책은 여행의 끝자락에서 다시 여행을 시작하고 싶은 당신에게, 그 여행을 삶으로 이어가고 싶은 당신에게 권하는 한 권의 연습장 같은 책이다.
목차
프롤로그 나도 양 제주 살암수다 4
1장 봄에서 여름으로
제주도는 큰 섬이다 15
표선목욕탕 21
우장 쓴 영등할망이 뒷마당에 찾아온 날 27
선자싸롱 34
고사리 시즌, 막이 오르다 40
냥이의 계절 46
청보리 물결치는 가파도의 초록한 봄 56
파품 갈치 나왔수다, 혼저 왕 상 갑써 63
땅콩 아이스크림 사진 한 장 때문에 69
가끔은 제주 원도심, 첫 번째 이야기 78
가끔은 제주 원도심, 두 번째 이야기 85
2장 여름에서 가을로 건너갈 때
대동강 초계탕 95
분위기에 녹아드는 맛집 취향이라니 101
터무늬 있는 그곳 모슬포, 첫 번째 이야기 108
터무늬 있는 그곳 모슬포, 두 번째 이야기 114
웰컴 투 오조리 120
트라우마를 날려버린 마라도 기행 126
구름, 바람 이따금 비 그리고 차귀도 133
황당하고 끈적거리던 어느 여름날 140
제주의 여름꽃을 보여줘 149
알박기 빌런이 사라진 금릉해변 155
꽃과 신화가 있는 동쪽송당 동화마을 161
세화오일장이 열리는 날에는 마음이 설렌다 166
3장 가을과 겨울이 겹치는 자리
평대스낵 175
제주 돼지고기는 다 맛있다 180
우연히 만나 사랑하게 된 제주 노을 186
대체로 늙어 가지만, 때론 젊다 200
어쩌다 비양도 205
삶을 이끌어 온 아름다운 공동체 제주 해녀 211
성읍민속마을 전통민속 재현 축제 219
아내가 사랑하는 용눈이오름 226
벌초와 아버지 232
녹동 가는 길 238
4장 겨울에서 봄을 기다리며
추자도와 횡간도는 제주의 섬이다 247
월간 신풍리 254
첫눈이 내리던 날 260
눈 오는 날 국수를 만들어 먹다가 266
어리숙한 손님, 어설픈 접대 272
괴물광어 소동 278
동백오일 플렉스 283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주에서는 집 밖만 나가도, 육지 사람들이 못내 그리워하는 여행이잖아요. 중고 물건을 사러 애월에 다녀오고 자동차 수리를 맡기고는 함덕해변에서 커피를 마시기도 합니다.
---「Prologue」 중에서
아내가 이것저것을 물어보더니 흥정을 시작했다. 역시나 믿음직한 갈치, 그리고 할머니들께서 구워 먹으면 정말 맛있다며 추천한 고즐맹이(꼬치고기)를 샀다. 한 손으로 들 수 없을 만큼 묵직했지만, 고작 3만 원을 썼다.
---「파품 갈치 나왔수다, 혼저 왕 상 갑써」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