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91168650435
· 쪽수 : 462쪽
· 출판일 : 2022-12-31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1차년도
3. 연구방법
4. 용어 정의 및 연구의 범위
Ⅱ. 연구의 배경
1. 국내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규정 및 제도
2. 해외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체계
3. 국내외 장애위험 영유아 관련 선행연구
4. 국내외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선별 도구
5. 소결 및 시사점
Ⅲ. 국내 장애위험 및 장애 영유아 지원 사업 현황
1. 조기발견 및 진단 지원 사업
2. 장애 영유아 교육
3. 장애 영유아 지원을 위한 전달체계 현황
4. 발달지원 바우처 서비스: 지역사회서비스원 ㅏ업
5. 장애위험 영유아 및 가족지원 우수 사례
6. 소결 및 시사점
Ⅳ.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장애위험 영유아 실태 및 요구 조사
1. 응답 대상의 일반적 특징
2.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 경험 및 조치 방법
3.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요구
4. 장애위험 영유아의 통합적 지원 요구
5. 소결 및 시사점
Ⅴ. 교사용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선별 도구 개발
1. 조기선별 도구 개발 과정의 주요 결과
2. 예비조사를 위한 영유아 조기선별 검사도구 구성
3. 예비조사 결과
4. 한국 영유아발달 선별검사(K-SIED)의 구성
Ⅵ.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를 위한 교사 안내 자료
1. 교사안내자료 개발 과정의 주요 결과
2. 교사지원 안내 자료의 구성의 방향
3. 러닝메이트 교사 안내 자료
Ⅶ. 정책 방안
1, 생애초기부터 건강한 성장을 연계·지원하는 체계 구축
2. 장애위험 영유아 모니터링을 위한 어린이집 유치원의 역량 강화
3. 장애위험 영유아 담당 교사의 역량 지원 방안
4. 발달 러닝메이트(LeaR·nning·mate) 팀/센터의 코디네이션을 통한 통합지원체계 기반 구축
5. 영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한 관경이 되기 위한 체질 개선
6. 2차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