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한국신화/전설/민담
· ISBN : 9791168670716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2-12-23
책 소개
목차
1부 문화소로 걷다
죽어서 돌아가는 길
〈원천강본풀이〉 오늘, 혼자서 갑니다 18
〈삼두구미본〉 땅귀의 이사 47
태어나 처음 오는 길
〈눈미불돗당본풀이〉 바위와 금쪽이 78
밥을 위한 여러 갈래 길
〈세경본풀이〉 밭의 여신, 사랑을 거두다 100
〈삼달리본향당본풀이〉 음매장군과 황소집사 192
〈고내리당본풀이〉 바다 장군 맞이하기 224
치유의 길
〈지장본풀이〉 새가 날자 병이 떨어져 256
2부 제주신화의 숲 탐방로
안내문 290
신화란 무엇인가
인간의 문화질서를 신의 서사로 드러낸 이야기, 신화 298
‘그때-거기-그들’과 ‘지금-여기-우리’ 사이의 간극 305
문화에 남아 있는 간극의 열쇠 308
제주신화, 본풀이
본풀이, 문화질서의 본을 풀다 314
문화질서의 의인화, 신 317
다양한 신, 다양한 제주 문화 325
신화의 두 층위
신의 얼굴, 인간의 마음 336
신화문법 342
심층의 의미 찾기 346
문화소와 신화소
신화에 나타난 문화소 356
신의 서사를 실어나르는 신화소 367
신화소와 문화소의 결합, 신화 374
문화 코드
소통의 필수요건, 코드 388
생활양식을 드러내는 규칙, 문화코드 397
신화의 문화코드 402
문화적 스토리
신화의 서사 409
문화적 스토리 419
문화적 스토리 구성하기 424
리뷰
책속에서
오늘이는 처음에 장상도령을 만났어요. 왜 장상도령은 글만 읽어야 하고 성 밖으로 외출하지 못할까요. 우선 성 밖으로 외출하지 못함은 망자가 관(棺) 속에 갇혔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망자는 조문객이 올린 만서(輓書)를 읽어야 해요. 만서는 고인의 생전 업적과 명복을 비는 추모글이니까요. 별층당 높은 곳에 앉아 글만 읽어야 하는 장상도령의 모습은 관 앞에 쌓여가는 만서의 풍경과 겹쳐집니다.
삼두구미는 첫째 딸에게 자기 양쪽 다리를 뽑아주면서 마실 갔다 오는 사이에 그걸 다 먹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다리를 먹히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아도 되지요. 이는 좋은 터를 잡아 육탈(肉脫)이 잘 진행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장례 후 3년 정도가 되면 육탈이 완결된대요. 명당에 모신 조상의 뼈는 기름기가 흐르고 누렇게 변하지만, 물속에 잠기거나 나무뿌리에 감긴 경우는 흉조(凶兆)라고 합니다. 장사 지내고 3년, 이사 가서 3년, 집 짓고 3년이란 말도 여기서 유래된 것이래요.
정수남이가 따로 점심을 들고 피해 가는 것은 파종 후 자청비가 품은 곡식을 함부로 마소가 먹게 해서는 안 됨을 뜻하지요. 자청비와 정수남이는 다른 곳에서 각각 다른 음식을 먹어야 해요. 밭이 품어서 키운 후 먹을 수 있게 되는 곡식과 마소가 먹어야 하는 곡식은 달라야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