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PC/게임/디지털 카메라 > 게임
· ISBN : 9791169212915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4-09-23
책 소개
목차
1장 스토리 작법의 법칙과 이론
_1.1 스토리텔링의 이해
_1.2 게임과 스토리텔링
_1.3 스토리의 기본 구조
2장 게임 스토리텔링을 위한 필수 요소
_2.1 훅과 캐릭터
_2.2 게임 스토리텔링의 특징
_2.3 게임 시나리오 기획
3장 몰입을 이끄는 세계관 설계의 비밀
_3.1 세계관의 이해
_3.2 세계관 상세 설정 - 지역
_3.3 세계관 상세 설정 - 종족
4장 영원히 기억될 캐릭터 창조법
_4.1 게임 캐릭터의 이해
_4.2 캐릭터 설계
5장 3인칭 관점 - RPG와 AOS의 스토리텔링
_5.1 3인칭 관점의 이해
_5.2 스토리 중심 스토리텔링
_5.3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
6장 중간적 관점 - MMORPG의 스토리텔링
_6.1 중간적 관점의 이해
_6.2 퀘스트 스토리텔링
7장 1인칭 관점 - VR/AR 게임의 스토리텔링
_7.1 1인칭 관점의 이해
_7.2 AR 게임
_7.3 VR 게임
8장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대사와 보이스
_8.1 대사
_8.2 보이스
9장 완성도와 디테일을 높이는 작업의 기술
_9.1 시나리오 기법
_9.2 네이밍 작업
_9.3 생성형 AI 활용
_9.4 영상 연출
_9.5 역량 향상을 위한 습관
10장 컨설팅 사례로 살펴보는 시나리오 대응 전략
_10.1 게임 시나리오 컨설팅
_10.2 컨설팅 사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텍스트 위주의 스토리텔링에 대해 비판적일 것이다. 그렇다고 게임 시나리오에 텍스트가 필요 없다는 뜻은 아니다. 텍스트보다 ‘게임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이 게임에 더 적합하다는 의미다. 여러분이 이런 인식을 가지게 된다면 이 책은 제 역할을 충분히 다했다고 볼 수 있다.
게임의 스토리텔링을 게이머 관점에서 살펴보자. 게이머가 대사나 설명 등의 텍스트로 스토리를 이해하는 것과 게임 플레이로 스토리를 이해하는 것 중 어느 쪽을 더 선호할까? 당연히 후자다. 게이머는 텍스트를 읽기 위해 게임을 하지 않는다. 텍스트는 스토리텔링을 위한 수많은 도구 중 하나이며, 원래 소설에서의 스토리 전달법이다. 텍스트를 지향이 아닌 지양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