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9954563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23-10-27
책 소개
목차
서문 / 5
역자서문 / 9
일러두기 / 15
고대 일본의 천황 계보도 / 16
제1장왜의 오왕五王 시대–‘치천하대왕治天下大王’의 중국 남조와의 교섭
1. 5세기, 송 왕조에 무엇을 요구했나? 20
2. 왜국인의 이미지–양의 「직공도」가 말하는 것 35
3. ‘천하’란?–왜국에 중화사상이 싹텄을까? 43
제2장 견수사 파견–‘보살천자’에의 조공
1. 양의 불교 번영책–한반도 각국과 왜에 대한 불교 전파의 의미 60
2. 왜 왕권의 안정과 대국 수의 등장–대중국 교섭의 재개 73
3. 607년, ‘일출처천자’의 진짜 의미 80
4. 대수 외교의 진실–왜 대등․책봉을 요구하지 않았을까? 94
제3장 15차례의 견당사–천황 재위시마다 1회 조공의 실태
1. 태종의 환영에서 백강 전투로–630~663 106
2. 당의 접근과 국호 ‘일본’의 변경 요청 125
3. 숭불국 당에 대한 불교 어필–감진의 일본 도항과 도교 거부 150
4. 쇠퇴하는 대국과 배외주의–엔닌이 본 중국 170
제4장 순례승과 해상海商의 시대–10세기, 당 멸망 이후
1. 최후의 견당사 계획–우다천황의 의욕과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반대 182
2. 전란의 오대십국 시대–‘성지’를 향하는 일본의 순례승 195
3. 송의 통일–국가 간 교섭의 종언 208
맺음말 역사적 사실이란–‘외교’와 견수사 215
후기 / 224
참고문헌 / 227
고대중일관계사 관련 연표 / 234
찾아보기 /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