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91169955324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24-12-05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들어가는 말
1.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2. 중국화본소설과 『금고기관』의 탄생 배경
1) 명대의 사회적 배경과 『금고기관』의 탄생
2) 명대의 문화적 환경과 『금고기관』의 탄생
3) 중국소설의 발전단계와 『금고기관』의 탄생
4) ‘삼언・이박’의 창작배경과 『금고기관』의 탄생
제2장 『금고기관』의 작가
1. ‘포옹’의 출처와 의미
2. 풍보선, 이정 등의 「『금고기관』포옹노인고」에 대한 고찰
3. 풍몽룡의 자료를 통해 본 『금고기관』의 작가 포옹노인 고증
제3장 『금고기관』의 판본
1. 『금고기관』 중국 판본에 대한 고찰
2. 『금고기관』과 삼언・이박 판본의 이동(異同)
3. 국내 소장 『금고기관』 판본에 대한 고찰
제4장 『금고기관』의 편찬 방식과 미학관
1. 『금고기관』의 편찬 모식
2. 『금고기관』의 편찬 이념
3. 『금고기관』의 미학관
1) 대우(對偶)를 통한 유기적 조합
2) 중용(中庸)의 미학
3) 진기(眞奇)의 미학
제5장 『금고기관』의 작품 의의 및 내용 분석
1. 『금고기관』의 진보적 의의와 내용
1) 봉건예교에 대한 가송과 풍자를 적절히 반영
2) 명대 현실 사회와 시민 계층의 가치관을 반영
3) 사회 교화적 의미를 지닌 건전한 작품들을 수록
4) 탁월한 묘사력
2. 『금고기관』 40편 작품 내용 및 분석
1) 제1권 「세 효렴이 재산을 양보하여 높은 이름을 얻다(三孝廉讓產立高名)」
2) 제2권 「두 현령이 고아가 된 처녀에게 의리를 베풀어 결혼을 주선하다(兩縣令競義婚孤女)」
3) 제3권 「등대윤이 귀신과 얘기하여 가산을 판결 짓다(滕大尹鬼斷家私)」
4) 제4권 「배진공이 약혼녀를 돌려보내주다(裴晉公義還原配)」
5) 제5권 「두십랑이 노해 보석 상자를 물속에 던지다(杜十娘怒沉百寶箱)」
6) 제6권 「이적선이 취해서 오랑캐를 겁주는 글을 짓다(李謫仙醉草嚇蠻書)」
7) 제7권 「기름장수가 제일의 명기를 독차지하다(賣油郎獨占花魁)」
8) 제8권 「꽃을 좋아하는 노인이 화신을 만나다(灌園叟晚逢仙女)」
9) 제9권 「운 좋은 사내가 동정산의 귤을 팔아 횡재하다(轉運漢巧遇洞庭紅)」
10) 제10권 「수전노가 채권자의 아들을 얻어 재산을 되돌려주다(看財奴刁買冤家主)」
11) 제11권 「오보안이 집을 버리고 친구를 구하다(吳保安棄家贖友)」
12) 제12권 「양각애가 목숨을 버리고 우정을 지키다(羊角哀舍命全交)」
13) 제13권 「심소하가 출사표를 만나다(沈小霞相會出師表)」
14) 제14권 「낡은 삿갓을 쓴 송금이 다시 부인과 만나다(宋金郎團圓破氈笠)」
15) 제15권 「재사(才士) 노남이 술과 시로 현령에게 오만을 부리다(盧太學詩酒傲公侯)」
16) 제16권 「이견공이 궁지에서 협객을 만나다(李汧公窮邸遇俠客)」
17) 제17권 「소소매가 신랑을 세 번 난처하게 하다(蘇小妹三難新郎)」
18) 제18권 「유원보가 두 아들을 얻다(劉元普雙生貴子)」
19) 제19권 「유백아가 거문고를 버리고 지음에게 감사하다(俞伯牙摔琴謝知音)」
20) 제20권 「장자휴가 장군 동이를 두드리고 큰 도를 이루다(莊子休鼓盆成大道)」
21) 제21권 「늙은 선비가 삼대에 걸쳐 은혜에 보답하다(老門生三世報恩)」
22) 제22권 「둔한 수재가 하루아침에 만사형통하다(鈍秀才一朝交泰)」
23) 제23권 「장흥가가 진주 적삼을 다시 만나다(蔣興哥重會珍珠衫)」
24) 제24권 「진어사가 금비녀 사건을 절묘하게 조사하다(陳御史巧勘金釵鈿)」
25) 제25권 「한 노복이 주인의 가업을 다시 일으키다(徐老僕義憤成家)」
26) 제26권 「채소저가 치욕을 참고 복수하다(蔡小姐忍辱報仇)」
27) 제27권 「전수재가 남의 배필을 차지하다(錢秀才錯占鳳凰儔)」
28) 제28권 「교태수가 남녀 세 쌍을 짝지어주다(喬太守亂點鴛鴦譜)」
29) 제29권 「원한을 품은 독한 노복이 주인을 고발하다(懷私怨狠僕告主)」
30) 제30권 「어버이의 은혜를 생각한 효녀가 아이를 감추다(念親恩孝女藏兒)」
31) 제31권 「여대랑이 주은 돈을 돌려주고 가족을 되찾다(呂大郎還金完骨肉)」
32) 제32권 「금옥노가 박정한 남편을 몽둥이로 때리다(金玉奴棒打薄情郎)」
33) 제33권 「당해원의 기상천외한 기행(奇行)(唐解元玩世出奇)」
34) 제34권 「여수재의 대담무쌍한 지용(智勇)(女秀才移花接木)」
35) 제35권 「왕교란이 큰 한을 품고 죽다(王嬌鸞百年長恨)」
36) 제36권 「십삼랑이 다섯 살에 황제를 알현하다(十三郎五歲朝天)」
37) 제37권 「최준신이 부용 병풍을 만나다(崔俊臣巧會芙蓉屏)」
38) 제38권 「조현령의 처가 귤을 일부러 보내다(趙縣君喬送黃柑子)」
39) 제39권 「연금사의 꼬임에 빠져 가산을 탕진하다(誇妙術丹客提金)」
40) 제40권 「재산을 뽐내며 흥청망청 쓰다(逞多財白丁橫帶)」
제6장 『금고기관』의 가치
1. 삼언・이박의 편찬 이념과 핵심 사상을 계승발전
1) 『금고기관』 서문에 반영된 삼언・이박의 편찬 이념
2) 『금고기관』 작품 선택에 반영된 삼언・이박 정신의 계승과 발전
3) 『금고기관』 편찬방식에 반영된 삼언・이박의 정신
4) 『금고기관』 작품 선택과 편찬 방식의 미학에 나타난 삼언・이박의 정신
2. 명대 시민계층의 문화를 반영한 사회 풍속도
3. 명대 통속문학과 작가들의 가치관을 반영
4. 한중(韓中) 고전문학 및 신문학 창작에 영향
제7장 나오는 말 -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