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예학禮學강의 : 의례편

예학禮學강의 : 의례편

공병석 (지은이)
학고방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28,800원 -10% 0원
0원
28,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예학禮學강의 : 의례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예학禮學강의 : 의례편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69956826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25-05-30

책 소개

『의례』는 동아시아 전통문화의 깊은 심연에서 솟아난 예의 정신을 가장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담아낸 고전이다. 유가 사상에서 예는 단순한 절차가 아니라, 인간의 내면을 수양하고 사회의 질서를 세우는 삶의 원리이자 실천 철학이었다.

목차

머리말 4

Ⅰ. 『의례』의 명칭과 성립 ㆍ 13
1. 『의례』의 명칭과 전수 ㆍ 14
2. 『의례』의 성립과 저자 ㆍ 22
3. 『의례』의 가치 ㆍ 31
(1) 『의례』는 나라를 다스리는 규범規範이다 ㆍ 32
(2) 『의례』는 후대 예제禮制 제정의 근거가 되었다 ㆍ 37
(3) 『의례』는 도덕적 교화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ㆍ 38
(4) 『의례』는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ㆍ 39
(5) 『의례』 연구를 통해 근원과 본질을 탐구할 수 있다 ㆍ 40

Ⅱ. 『의례』의 체재와 내용 ㆍ 41
1. 『의례』의 체재 ㆍ 42
2. 『의례』의 내용 ㆍ 52
(1) 「사관례士冠禮」 : 예禮의 시작 ㆍ 52
(2) 「사혼례士昏禮」 : 이성지합二姓之合 ㆍ 56
(3) 「사상견례士相見禮」 : 예는 오고 감을 숭상한다 ㆍ 58
(4) 「향음주례鄕飮酒禮」 : 존현양로尊賢養老의 예 ㆍ 59
(5) 「향사례鄕射禮」 : 덕을 세우고 몸을 바르게 하는 예 ㆍ 60
(6) 「연례燕禮」 : 상호 존중을 표하는 의식 ․ 62
(7) 「대사의大射儀」 : 관덕觀德의 예 ㆍ 63
(8) 「빙례聘禮」 : 공경과 겸양의 교류 의례 ㆍ 64
(9) 「공사대부례公食大夫禮」 : 사신使臣에 제공하는 사례食禮의 의절 ㆍ 66
(10) 「근례覲禮」 : 천자에 대한 예로서, 왕을 위한 일에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제후의 충성과 정성을 표현하는 의례 ․ 67
(11) 「상복喪服」 : 정情을 헤아려 예를 세운 친친존존親親尊尊의 의절 ㆍ 68
(12) 「사상례士喪禮」․「기석례旣夕禮」 : 고인의 혼백魂魄을 모시는 예 ․ 69
(13) 「사우례士虞禮」 : 영혼을 안정시키는 제사 ㆍ 71
(14) 「특생궤사례特牲饋食禮」 : 시제時祭의 예 ㆍ 73
(15) 「소뢰궤사례少牢饋食禮」 : 정제正祭의 예 ㆍ 74
(16) 「유사철有司徹」 : 소뢰少牢의 하편下篇 ㆍ 76

Ⅲ. 『의례』와 선진先秦 유가사상 ㆍ 79
1. 『의례』와 유가 교육 ― 예악위중禮樂爲重 ㆍ 81
2. 『의례』와 유가 윤리 ― 덕례상응德禮相應 ㆍ 90
3. 『의례』와 유가 예악禮樂 ― 예본어정禮本於情 ㆍ 105
4. 『의례』와 유가 정치 ― 예치禮治 ㆍ 112

Ⅳ. 예의 원칙 ㆍ 137
1. 귀족 혈연 중심 ㆍ 139
2. 명분名分 구분 ㆍ 151
(1) 친소親疏 구별 ․ 153
(2) 존비尊卑 구별 ㆍ 167
(3) 장유長幼 구별 ㆍ 176
(4) 남녀 구별 ㆍ 183
3. 시時를 중시함 ㆍ 189
(1) 대리代理 관계 ㆍ 192
(2) 변례變禮 ㆍ 197
(3) 의례 자체의 필요성 ㆍ 202
Ⅴ. 『의례』와 예 문명 ㆍ 207
1. 예와 문명 ㆍ 209
2. 예와 악樂 ㆍ 215
3. 예와 주대周代 귀족의 일상생활 ㆍ 223
4. 예와 사士의 종법宗法제도 ㆍ 233
5. 예물禮物, 예의禮儀, 그리고 예의禮意 ㆍ 244

Ⅵ. 『의례』의 혈연관계 ㆍ 253
1. 친자 관계 ㆍ 267
(1) 부자 관계 ㆍ 268
(2) 모자 관계 ㆍ 281
(3) 부(모)녀 관계 ㆍ 294
(4) 고부 관계 ㆍ 299
2. 적서嫡庶 관계 ․ 312
3. 장유長幼 관계 ㆍ 324

Ⅶ. 상복 제도 ㆍ 331
1. 상복 제도의 기원과 변천 ㆍ 333
(1) 상복 제도의 기원 ㆍ 333
(2) 상복 제도의 변천 ㆍ 338
2. 상복의 의의와 등차等差 ㆍ 345
(1) 친친親親 ㆍ 347
(2) 존존尊尊 ㆍ 351
(3) 명名 ㆍ 354
(4) 출입出入 ㆍ 357
(5) 장유長幼 ㆍ 360
(6) 종복從服 ㆍ 363
3. 삼년지상三年之喪의 기원 ㆍ 366
(1) 당요唐堯 설 ㆍ 368
(2) 은상殷商 설 ㆍ 372
(3) 주공周公 설 ㆍ 377
(4) 공자 창시설 ㆍ 388
4. 오복도五服圖 ㆍ 398

저자소개

공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창원에서 태어나 자랐다. 대구한의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과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를 거쳐 대만(臺灣)사립 동오대학(東吳大學)중문연구소에서 중문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국립 대만사범대학(臺灣師範大學)국문(중문)연구소에서달생(達生)공덕성(孔德成)선생의 지도하에 중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타블라 라사 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성균관 의례 정립위원회 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경학(經學)과 삼례학(三禮學)이며 저서로는 『공자예학 연구』, 『예기와 묵자 상장사상 비교연구』, 『예기 상례의 인문관』, 『예학강의 ― 공자편』 등이며, 「『예기』상장관의 인문의식」, 「『묵자』의 상장관」, 「상례의 이론적 의의와 그 기능 ― 『예기』를 중심으로」, 「『예기』를 통해 본 중국고대 교육제도와 교학이론」 등 예학(禮學)관련 논문 다수를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