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7043022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_졸저의 탄생 기원에는 ‘후추’가 있습니다
1장. 기본,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마인드는 행동으로 드러나기 마련이다
하찮아 보이는 일을 대하는 자세의 차이
기회가 주어진다고 해서 늘 좋은 걸까?
내 자리가 생긴 후 가장 먼저 할 일
사람 좋은 멘토보다 강적을 먼저 만나야 하는 이유
당신을 빛나게 하는 커뮤니케이션
인사, 쉽지만 제대로 하긴 어렵다
깔끔한 복장! T.P.O.에 맞아야 하는 이유
앉는 자리도 정해져 있다
견딜 것인가? 즐길 것인가?
업무 외에도 나를 기억나게 하는 것
불평불만은 아직 이르다
술을 잘 먹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선배가 후배에게 들려주는 조언
2장. 일, 어떻게 잘할 수 있을까?
상사와의 대화를 위한 사소한 출발
중2 학생이 아빠에게 용돈을 받아내는 방법
친근한 과장님과의 대화, 이웃집 형과의 대화
보고는 어떻게 해야 잘하는 것인가?
때로는 제대로 거절해야 한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회의의 기본
지겨운 회의를 피하는 방법
회의에 활기를 더해줄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 어떻게 하면 좋을까?
상대를 미치게 하는 ‘아’와 ‘어’의 차이
일찍 경험할수록 잘할 수 있는 것, 프레젠테이션
정리, 정리, 또 정리해도 과하지 않다
선배가 후배에게 들려주는 조언
3장. 관계, 어떻게 이끌어가야 할까?
회사를 멋지게 알리는 꽤 괜찮은 사람들
동료를 내 편으로 만든다는 것
눈치를 봐야 하는 정확한 이유
기억나지 않는 수많은 인턴들
예절과 예의는 다르다
미소와 칭찬, 아끼면 똥 된다
잘생김보다 중요한 얼굴의 느낌
말을 잘하는 사람은 많아도 잘 듣는 사람은 드물다
‘쿠나쿠나’, 그 놀라운 공감의 힘
감사한 마음을 전해야 하는 순간들
선배가 후배에게 들려주는 조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보고를 하면 아무런 지적도 하지 않으면서 계속 다시 해오라는 상사가 있고, 무엇이 문제인지를 알려주는 상사가 있다. 또 무엇이 문제이니 이렇게 고치면 좋겠다고 알려주기까지 하는 훌륭한 상사도 있다. 당신이 원하는 상사는 분명 첫 번째보다는 세 번째 유형이겠지만, 아쉽게도 이런 상사를 항상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무엇이 문제인지를 알려주면서 이런저런 잔소리로 당신을 힘들게 만든다 하더라도 첫 번째 상사보다는 두 번째 상사가 당신의 발전을 위해 더 좋다. 또한 무슨 보고를 하더라도 무조건 좋다고 하는 상사보다는 지적해주는 상사가 훨씬 더 좋다. 무조건 좋다고 하는 상사가 당신의 발전에 도움이 될 일은 그리 많지 않다. 게다가 그런 상사는 당신의 제안으로 이루어진 일이 좋은 결과를 내지 않았을 때 당신에게 많은 책임을 전가할 수도 있다.
규모나 크거나 오래된 회사일수록 견고한 원칙과 규율이 있다. 그것은 안정적인 시스템을 위해 구축해온 그들만의 방식이자 노하우인 것이다. 물론 그것들이 때론 불합리해 이해가 되지 않을 때도 있겠지만 신입사원으로 한두 달 지내보았다고 선배와 상사를, 그리고 회사를 쉽게 판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 개선 없는 비판이 쌓이면 그것은 비난이며 불신이 되어버린다.
아직 우리는 회사를 다 파악하지 못했고, 시스템을 다 이해하지 못했으며, 회사에 대한 온전한 애사심을 가지지 못했다. 그러니 자신이 들어간 회사를 쉽게 판단하지 말자. 누워서 침 뱉기가 될 수도 있다. 간혹 첫날부터 불평을 늘어놓는 신입들이 있는데 그들을 논리적이라고 칭찬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신입사원의 불만은 그저 투덜거림으로 여겨질 때가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상사는 보고를 자주 하는 사람을 좋아할까? 아니면 드문드문 보고하는 사람을 더 좋아할까? 여러분이 상사가 된다고 생각해보자. 자신이 이끄는 부서의 업무 상황이 수치화되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이 팀은 20%, 저 팀은 80%, 또 다른 팀은 50%의 진척을 보인다면 20% 쪽으로 힘이 들어가고 속도를 붙여줘야 한다. 그것이 리더의 역할이다. 그러므로 농담으로라도 상사에게 자주 보고하는 것이 좋다. 자주 보고하는 것은 상사에게는 일의 진척을 보여주는 것인 동시에 문제를 그때그때 공유하게 되어 나중에 혹시나 문제가 일어났을 때 상사와 문제를 해결하기가 쉬워질 것이다. 물론 자신이 현재 어떤 업무를 하고 있으며, 얼마만큼 진행했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방법이 되기도 한다. 이것이 중간보고의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