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이비인후과
· ISBN : 9791170682547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5-05-16
책 소개
목차
[1부 서론]
chapter 01 연하 장애 재활의 이해
I. 서론
II. 연하 장애 치료의 역사
III. 연하 장애의 원인
IV. 연하 장애의 역학
V. 연하 장애 환자의 치료 전략
VI. 현황과 과제
chapter 02 연하와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
I. 구강 및 인후두부
II. 중추신경계
chapter 03 정상 연하의 생리
I. 연하 과정에서의 6 밸브
chapter 04 노화에 따른 연하기능의 변화
I. 노화와 연관된 기관의 변화
II. 노인들의 연하에 영향을 주는 질환
III. 맺음말
[2부 연하장애의 평가]
chapter 05 연하장애의 임상적 평가
I. 연하장애가 의심되는 증상
II. 병력 청취
III. 신체검사
IV. 침상 선별 검사
V. 연하 기능 평가를 위한 임상 척도
VI. 인공지능을 활용한 임상적 평가방법
VII. 맺음말
chapter 06 연하장애 진단의 새로운 기법
I.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활용한 연하장애 평가
II. 자기공명영상(MRI)을 활용한 연하장애 평가
III. 초음파를 활용한 연하장애 평가
IV. 경부 청진법을 활용한 연하장애 평가
V. 근전도를 활용한 연하장애 평가
chapter 07 비디오투시연하검사의 기초
I. 비디오투시연하검사의 목적 및 시행 방법
II. 비디오투시연하검사의 해석
III. 맺음말
chapter 08 비디오투시연하검사의 비정상 소견
I. 연하 단계별 주요 이상소견
II. 결론
chapter 09 내시경연하검사와 경비강식도내시경
I. 내시경연하검사
II. 경비강식도내시경
III. 맺음말
chapter 10 고해상 식도내압검사를 이용한 인두 연하장애의 평가
I. 고해상 식도내압검사를 이용한 인두 연하장애의 평가
II. 고해상 식도내압검사를 이용한 식도 연하장애의 평가
III. 맺음말
chapter 11 연하장애 환자의 영양평가
Ⅰ. 초기영양평가(영양검색)
Ⅱ. 신체 계측
Ⅲ. 생화학적, 의학적 검사 자료
Ⅳ. 영양관련 신체 검사
Ⅴ. 식품 영양소 섭취량 평가
Ⅵ. 영양불량의 진단
Ⅶ. 영양요구량 산정
[3부 연하장애와 관련된 임상질환]
chapter 12 뇌졸중과 외상성 뇌손상의 연하장애
Ⅰ. 뇌졸중과 외상성 뇌손상의 이해
II. 뇌졸중 및 외상성 뇌손상 후 연하장애의 병태생리
III. 뇌졸중 및 외상성 뇌손상 후 연하장애의 평가
IV. 뇌졸중 및 외상성 뇌손상 후 연하장애의 치료
V. 뇌졸중 및 외상성 뇌손상 후 연하장애의 합병증
VI. 뇌졸중 및 외상성 뇌손상 후 연하장애의 예후
Ⅶ. 결론
chapter 13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의 연하장애
I. 치매와 연하장애
II. 파킨슨병의 연하장애
chapter 14 구강질환과 저작장애
I. 구강의 해부 및 생리
II. 저작기능에 영향을 주는 구강질환
chapter 15 인후두 질환에 대한 이해와 연하장애
I. 감염성 질환
II. 부식성 외상
III. 인후두역류질환
IV. 인두식도게실
V. 성대 마비
VI. 윤상인두연하장애
VII. 맺음말
chapter 16 두경부암 치료 후 연하장애
I. 수술적 치료에 의한 연하장애
II. 방사선 치료에 의한 연하장애
III.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연하장애
IV. 결론
chapter 17 신경근육계질환의 연하장애와 호흡재활
I. 신경근육계질환의 연하장애 및 영양 관리
II. 신경근육계질환의 호흡 관리
III. 결론
chapter 18 호흡기 질환과 연하장애
I. 호흡과 연하의 생리
II. 주요 호흡기 질환과 연하장애
III. 중환자실 환자의 특성과 재활치료
IV. 맺음말
chapter 19 식도 질환과 관련된 연하장애
I. 식도 질환의 진단적 검사
II. 연하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식도 질환
III. 맺음말
chapter 20 기관삽관 및 기관절개술과 관련된 연하장애
I. 기관 절개술
II. 기관절개술 후 연하장애의 기전
III. 기관삽관 환자에서의 연하장애
IV. 결론
[4부 연하장애의 치료]
chapter 21 연하장애의 치료 원칙
I. 자세 변화
II. 감각 자극 증강
Ⅲ. 연하 수기
Ⅳ. 식이 조절
Ⅴ. 연하 운동
Ⅵ. 전기자극 치료
Ⅶ. 수술적 치료
chapter 22 구강 위생 및 간호
I. 구강위생이 구강 및 전신질환에 미치는 영향
II. 연하장애 대상자의 구강위생불량 위험요인
III. 연하장애 대상자의 구강간호
IV.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구강간호 실무지침
chapter 23 연하장애의 행동적 접근법: 보상기법
I. 자세 조절
II. 음식 변형
III. 식사 변형
Ⅳ. 연하 기법
Ⅴ. 삼킴 관련 보장구
VI. 맺음말
chapter 24 연하장애의 행동적 접근법: 회복적 기법
I. 감각자극
II. 운동기법
III. 맺음말
chapter 25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I. 서론
II. 신경근 전기자극치료의 원리
Ⅲ.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적용 방법
Ⅳ.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효과
Ⅴ. 맺음말
chapter 26 식이조절과 점도 증진제의 사용
I. 연하장애식의 분류 체계와 근거
II. 점도 증진제의 사용
III. 연하장애(수준별) 식사와 점도증진제 적용 방안
IV. 맺음말
chapter 27 연하장애의 수술적 치료
I. 윤상인두연하장애에 대한 수술적 치료
II. 흡인에 대한 수술적 치료
III. 침흘림에 대한 수술적 치료
chapter 28 연하장애 치료를 위한 치과 보철
I. 국소 피판을 이용한 구강-비강-상악동 누공의 치료
II. 누공폐쇄용 치과보철물을 이용한 치료
III. 유리 피판과 치과보철물을 이용한 누공폐쇄 치료
IV. 유리피판과 치과 임플란트를 이용한 누공의 재건
V. 결론
chapter 29 비경구 식이의 선택, 시술 및 관리
I. 경관식이법의 종류
II. 경관식이법의 적응증 및 금기
III. 경관식이법의 시술과 합병증 관리
IV. 경관식이법의 선택
V. 임상진료지침의 권고 사항
VI. 결론
[5부 소아에서 연하장애의 평가와 치료]
chapter 30 소아의 정상 삼킴 기능의 발달
I. 소아기의 특징
II. 소아기 삼킴 기능의 발달
chapter 31 소아 연하장애의 임상적 평가
I. 서론
II. 소아 연하장애의 임상적 평가의 목적
III. 소아 연하장애의 임상적 평가가 요구되는 일반적 기준
IV. 소아 연하장애의 임상적 평가의 구성
V. 결론
chapter 32 소아 연하장애의 비디오투시연하검사
chapter 33 소아 연하장애와 관련된 임상질환
I. 미숙아
II. 뇌성마비
III. 조산 및 저체중 출생아
IV. 유전질환 및 대사이상질환
V. 기타 뇌질환
VI. 신경근육질환
VII. 기타 발달지연 및 지적장애
chapter 34 소아에서 해부학적 구조 이상에 따른 연하장애
I. 구강전기 및 구강기
II. 인두기
III. 식도기
chapter 35 침흘림의 관리
I. 서론
II. 침흘림의 정의
III. 침분비 기전
IV. 침흘림의 원인
V. 침흘림의 평가
VI. 침흘림의 치료
VII. 결론
chapter 36 신생아 중환자실과 영유아기 섭식관리
I. 신생아 중환자실 섭식관리
II. 정상 신생아 및 영유아기 섭식관리
III. 특별한 영양이 필요한 아기
chapter 37 영아기 연하장애 치료
Ⅰ. 자세 조절
Ⅱ. 빨기-삼키기-숨쉬기의 치료
Ⅲ. 구강 감각 운동 자극 치료
chapter 38 유아기/아동기 연하장애 치료
I. 유아기/아동기의 섭식 및 먹기
II. 섭식 치료 중재
III. 섭식 문제 행동
IV. 행동 치료 접근법
VI. 심리적 접근법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