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이비인후과
· ISBN : 9791159551574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17-03-09
책 소개
목차
1부 서론
chapter 01 연하장애 재활의 이해………………………………… 3
Ⅰ. 연하장애 치료의 역사…………………………… 4
Ⅱ. 연하장애의 원인…………………………………… 4
Ⅲ. 연하장애의 역학…………………………………… 5
Ⅳ. 연하장애 환자의 치료전략………………………………… 7
Ⅴ. 현황과 과제………………………………… 8
chapter 02 연하와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 13
Ⅰ. 구강 및 인후두부………………………………… 13
Ⅱ. 중추신경계……………………………… 21
chapter 03 정상 연하의 생리…………………………………… 31
Ⅰ. 연하 과정에서의 6 밸브……………………………………31
Ⅱ. 정상 연하 생리의 4단계……………………………………32
chapter 04 노화에 따른 연하기능의 변화………………………… 41
Ⅰ. 노화와 연관된 기관의 변화…………………………41
Ⅱ. 노인들의 연하에 영향을 주는 질환 ………………………………46
Ⅲ. 맺음말……………………………………47
2부 연하장애의 평가
chapter 05 연하장애의 임상적 평가………………………………… 51
Ⅰ. 연하장애가 의심되는 증상…………………………………52
Ⅱ. 병력 청취……………………………………53
Ⅲ. 신체검사………………………………53
Ⅳ. 침상 선별 검사……………………………54
Ⅴ. 연하 기능 평가를 위한 임상 척도……………………………………55
Ⅵ. 맺음말… ………………………………58
chapter 06 비디오투시연하검사의 기초…………………………………… 61
Ⅰ. 비디오투시연하검사 목적 및 시행 방법…………………………61
Ⅱ. 비디오투시연하검사의 해석…………………………………63
chapter 07 비디오투시연하검사의 비정상 소견………………………… 71
Ⅰ. 연하 단계별 주요 이상 소견………………………………71
Ⅱ. 맺음말…………………………………78
chapter 08 내시경연하검사…………………………… 81
Ⅰ. 내시경연하검사 ………………………………82
Ⅱ. 맺음말…………………………………………87
chapter 09 고해상도 식도내압측정검사를 이용한 연하장애의 평가…………………… 89
Ⅰ. 고해상도 식도내압측정검사를 이용한 인두 연하장애의 평가…………………………89
Ⅱ. 고해상도 식도내압측정검사를 이용한 식도 연하장애의 평가…………………………95
Ⅲ. 맺음말………………………………… 102
chapter 10 연하장애 환자의 영양평가……………………………… 105
Ⅰ. 신체 계측………………………………… 105
Ⅱ. 영양관련 검사 ………………… 108
Ⅲ. 영양관련 신체 검사……………………… 109
Ⅳ. 기능 평가……………………………… 109
Ⅴ. 식사 섭취량 평가………………………… 109
Ⅵ. 영양불량의 진단…………………………………… 109
Ⅶ. 영양요구량 산정…………………………………… 110
3부 연하장애와 관련된 임상질환
chapter 11 뇌졸중과 외상성 뇌손상의 연하장애……………………………… 117
Ⅰ. 뇌졸중과 외상성 뇌손상의 이해……………………………… 117
Ⅱ. 뇌졸중 및 외상성 뇌손상의 연하장애……………………………… 120
Ⅲ. 예후………………………………… 128
chapter 12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의 연하장애……………………………… 133
Ⅰ. 치매와 연하장애………………………………… 133
Ⅱ. 파킨슨병에서의 연하장애………………………… 137
chapter 13 구강질환과 저작장애…………………………… 145
Ⅰ. 구강의 해부 및 생리……………………………… 146
Ⅱ. 저작기능에 영향을 주는 구강질환……………………153
chapter 14 인후두 질환에 대한 이해와 연하장애………………………… 165
Ⅰ. 감염성 질환………………………………… 165
Ⅱ. 부식성 외상……………………………… 166
Ⅲ. 인후두역류질환……………………………… 166
Ⅳ. 인두식도 게실…………………………… 168
Ⅴ. 성대 마비……………………………… 169
Ⅵ. 윤상인두 연하장애………………………… 170
Ⅶ. 맺음말………………………… 171
chapter 15 두경부암 치료 후 연하장애………………………… 175
Ⅰ. 수술적 치료에 의한 연하장애…………………………… 176
Ⅱ. 방사선 치료에 의한 연하장애……………………………… 184
Ⅲ.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연하장애……………………………… 185
Ⅳ. 맺음말……………………………… 186
chapter 16 신경근육계질환의 연하장애와 호흡재활………………………………… 191
Ⅰ. 신경근육계질환의 연하장애…………………………………… 191
Ⅱ. 신경근육계질환의 호흡 관리………………………………… 193
Ⅲ. 맺음말………………………………… 197
chapter 17 식도질환과 관련된 연하장애………………………………… 199
Ⅰ. 식도 질환의 진단적 검사……………………………… 199
Ⅱ. 연하장애을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식도 질환……………………… 202
Ⅲ. 맺음말…………………………… 209
chapter 18 기관삽관 및 기관절개술과 관련된 연하장애………………………… 211
Ⅰ. 기관절개술…………………………… 211
Ⅱ. 연하장애를 유발하는 기전……………………… 213
Ⅲ. 기관삽관 및 기관절개술 환자의 연하장애 관리……………………… 215
Ⅳ. 맺음말………………………………… 216
4부 연하장애의 치료
chapter 19 연하장애의 치료 원칙………………………… 219
Ⅰ. 자세 변화………………………… 220
Ⅱ. 감각 자극의 증강………………………… 220
Ⅲ. 연하 수기………………………………… 221
Ⅳ. 식이 조절……………………………… 222
Ⅴ. 연하 운동……………………………… 222
Ⅵ. 전기자극 치료…………………………… 223
Ⅶ. 수술적 치료……………………… 223
chapter 20 구강간호…………………………… 229
Ⅰ. 구강위생불량이 구강 및 전신질환에 미치는 영향…………………………… 229
Ⅱ. 연하장애대상자의 구강위생불량 위험요인……………………………… 231
Ⅲ. 연하장애 대상자의 구강간호 방법…………………………231
chapter 21 연하장애의 치료기법 : 보상기법……………………………… 241
Ⅰ. 자세 변형…………………………… 242
Ⅱ. 식이 조절…………………………… 245
Ⅲ. 감각 자극…………………………… 246
Ⅳ. 삼킴 보장구…………………………… 248
Ⅴ. 연하 수기…………………………… 248
Ⅵ. 맺음말…………………………… 251
chapter 22 연하장애의 행동적 접근법 : 운동 및 촉진기법…………………… 255
Ⅰ. 연하장애의 운동기법……………………………… 255
Ⅱ. 연하장애의 촉진기법……………………………… 262
Ⅲ. 맺음말………………………………… 263
chapter 23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267
Ⅰ. 신경근 전기자극치료의 적용 대상……………………………… 269
Ⅱ.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기기의 종류………………………… 274
Ⅲ.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적용 방법…………………………… 275
Ⅳ. 신경근 전기자극치료의 효과…………………………… 288
Ⅴ. 맺음말…………………………………… 289
chapter 24 식이조절과 점도 증진제의 사용……………………………… 295
Ⅰ. 수분 및 영양 공급…………………………… 295
Ⅱ. 연하장애식이의 분류 체계와 근거…………………………………296
Ⅲ. 점도증진제의 사용……………………………… 298
Ⅳ. 맺음말……………………………… 302
chapter 25 연하장애의 수술적 치료………………………… 305
Ⅰ. 윤상인두연하장애에 대한 수술적 치료……………………………305
Ⅱ. 흡인에 대한 수술적 치료……………………………… 309
Ⅲ. 침 흘림에 대한 수술적 치료…………………………… 314
chapter 26 연하장애 치료를 위한 치과 보철…………………………… 317
Ⅰ. 국소 피판을 이용한 구강-비강-상악동 누공의 치료………………………… 317
Ⅱ. 누공폐쇄용 치과보철물을 이용한 치료…………………………… 319
Ⅲ. 유리피판과 치과보철물을 이용한 누공폐쇄 치료……………………… 322
Ⅳ. 맺음말………………………………… 323
chapter 27 비경구 식이의 선택, 시술 및 관리………………………………… 325
Ⅰ. 경관식이법의 종류………………………………… 326
Ⅱ. 경관식이법의 적응증과 금기…………………………… 329
Ⅲ. 경관식이법의 합병증…………………………… 329
Ⅳ. 경관식이법의 선택……………………… 329
Ⅴ. 임상진료지침의 권고 사항……………………… 331
Ⅵ. 결론…………………………… 332
5부 소아에서 연하장애의 평가와 치료
chapter 28 소아의 정상 삼킴 기능의 발달………………………… 337
Ⅰ. 소아기의 특징 …………………………… 338
Ⅱ. 소아기 삼킴 기능의 발달 ………………… 341
chapter 29 소아 연하장애의 임상적 평가 …………………………… 347
Ⅰ. 연하장애 임상 평가의 목적…………………………… 347
Ⅱ. 포괄적 임상 평가의 구성…………………………… 348
Ⅲ. 맺음말…………………………………… 352
chapter 30 소아 비디오투시연하검사………………………… 355
Ⅰ. 소아에서 비디오투시연하검사를 시행하는 주요 질환……………………… 356
Ⅱ. 소아에서 비디오투시연하검사를 시행하기 전 필요한 정보수집과 임상평가……………… 357
Ⅲ. 소아에서 비디오투시연하검사 준비 사항………………………… 357
Ⅳ. 소아에서 비디오투시연하검사의 시행…………………………… 358
Ⅴ. 소아에서 비디오투시연하검사 상 이상소견……………………… 358
Ⅵ. 보고서의 작성…………………………… 359
chapter 31 소아 연하장애와 관련된 임상질환………………………… 361
Ⅰ. 뇌성마비………………………………… 361
Ⅱ. 조산 및 저체중출생아………………………… 363
Ⅲ. 유전질환 및 대사이상질환………………………… 363
Ⅳ. 기타 뇌질환……………………………… 364
Ⅴ. 신경근육질환………………………… 365
Ⅵ. 기타 발달지연 및 정신지체………………………… 365
chapter 32 소아에서 해부학적 구조 이상에 따른 연하장애………………………… 369
Ⅰ. 구강 준비기 및 구강기……………………… 369
Ⅱ. 인두기……………………………… 373
Ⅲ. 식도기……………………………… 375
Ⅳ. 맺음말……………………………… 377
chapter 33 침흘림의 관리…………………………… 379
Ⅰ. 침흘림의 정의………………………………………… 380
Ⅱ. 침분비 기전………………………………… 380
Ⅲ. 침흘림의 원인……………………………… 381
Ⅳ. 침흘림의 평가………………………… 381
Ⅴ. 침흘림의 치료………………………… 384
Ⅵ. 맺음말………………………………… 386
chapter 34 신생아 중환자실과 영유아기 섭식관리…………………… 389
Ⅰ. 신생아 중환자실 섭식관리 ……………………… 389
Ⅱ. 정상 신생아 및 영유아기 섭식관리……………………………… 397
Ⅲ. 특별한 영양이 필요한 아기…………………………… 401
chapter 35 소아 연하장애 치료Ⅰ ? 영아기…………………………… 405
Ⅰ. 자세 조절…………………………………… 405
Ⅱ. 빨기-삼키기-호흡의 치료……………………………… 408
Ⅲ. 구강 감각운동 자극 치료……………………………… 411
chapter 36 소아 연하장애 치료 II ? 소아기………………… 415
Ⅰ. 소아기의 먹기…………………………… 415
Ⅱ. 행동 치료 접근법………………………… 417
Ⅲ. 심리적 접근법……………………………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