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하루 한 권, 날씨와 전투](/img_thumb2/979117217317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72173173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05-3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비’가 승부를 가른 전투
1-1 워털루 전투―전날 내린 폭우가 포병의 발을 묶다
1-2 디엔비엔푸―프랑스 군을 무릎 꿇린 열대 몬순
핵심어 ∥ 접지압―장갑차는 통과해도 전차는 통과하지 못하는 이유
핵심어 ∥ 시간당 강우량―전쟁터를 바꾼 시간당 2.5mm의 힘
핵심어 ∥ 인공강우―수자원 공급은 전 세계의 연구 대상
제2장 ‘눈’과 ‘추위’가 승부를 가른 전투
2-1 러시아의 동장군①―모스크바 침공은 나폴레옹 쇠락의 도입부
2-2 수오무살미 전투―모티 전술에 의한 ‘유도’, ‘포위’, ‘타격’, ‘섬멸’
2-3 러시아의 동장군②―바르사로사 나폴레옹군 실수의 재연
핵심어 ∥ 얼음안개―얼음안개가 내리는 길
핵심어 ∥ 일본의 공식 최저 기온 ‘-41℃’―아오모리 보병 제5연대를 괴멸시킨 추위
핵심어 ∥ 하얀 사신―300m 이내라면 백발백중
제3장 ‘가시거리’가 승부를 가른 전투
3-1 밤의 어둠 극복―인간의 눈(가시광선)과 레이더(전파)의 싸움
3-2 가시거리 극복―걸프 전쟁(1991)으로 보는 관측 장비 싸움
핵심어 ∥ 전차의 관측 장비―점점 육안에 가까워졌다
핵심어 ∥ 박명―밝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시간을 이용한다
핵심어 ∥ 전쟁터를 뒤덮는 먼지와 연기―아군의 눈을 가린다
제4장 ‘해양 상황’이 승부를 가린 전투
4-1 제4함대 사건―거대 삼각파도가 구축단 함수 절단
4-2 말레이 작전―우선 말레이반도 동쪽 기슭에 기습 상륙
4-3 키스카 탈출 작전―해무 발생이 작전 성공의 열쇠
핵심어 ∥ 삼각파도―한계를 뛰어넘는 파도, 뛰어넘지 못한 배
핵심어 ∥ 알류샨의 해무―남고북저의 기압 배치가 필수
핵심어 ∥ 슘슈섬의 해무―최악의 상황에 발생한 격투전
제5장 기상이라는 이름의 ‘병기’
5-1 역발상―맥아더 장군의 확률 게임
5-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상·자연의 군사적 이용―최종병기는 기상과 자연
핵심어 ∥ 기상 정보를 대하는 태도가 승부를 가르다―노르망디 상륙작전
핵심어 ∥ 기상, 지진, 화산을 컨트롤한다?―황당무계하지 않은 이야기
핵심어 ∥ 사막에 적응한 이스라엘군 전차부대―병사들을 쓸데없이 무리시키지 않았다
제6장 기상과 전쟁터 아라카르트
6-1 눈―구름은 항공 활동이나 센서 등의 기능에 영향을 준다
6-2 그 밖의 기상 요소―인간의 지혜를 뛰어넘는 자연현상도 있다
6-3 기습과 기상―기상에 기습당할 때도 있다
6-4 병사에게 미치는 영향―병사는 똑같이 기상의 영향을 직접 받는다
6-5 장비에 미치는 영향―영원한 적도 아군도 아닌 기상
6-6 전자 광학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전자 광학 시스템의 약점은 물
6-7 NBC에 미치는 영향―NBC의 효과는 기상에 크게 좌우된다
핵심어 ∥ 바람―항공기나 공정 작전의 큰 적
핵심어 ∥ 서멀 크로스오버(자연현상)―서멀 사이트를 쓸 수 없는 순간이 있다
핵심어 ∥ 온열지수(WBGT)―미 해병대 도입 후 열사병 격감
주요 참고 도서
책속에서
사실 ‘날씨’ 그 자체만으로 전투의 승패가 결정되지는 않지만, 지휘관의 상황 판단이나 부대의 전투 능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날씨가 전투의 승패를 가르는 어떤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인도차이나 전쟁과 같은 많은 전투에서 그 사실이 증명되었지요.
날씨와 전투의 관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습니다. 예기치 못한 호우가 결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 사례(워털루 전투), 준비되지 않은 군대가 동장군에 굴복한 사례(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원정 등), 태풍권의 제4사분면에서 군함이 파괴된 사례(제4함대 사건), 해무를 이용한 구출 작전 감행(키스카 탈출 작전), 과학기술에 의한 밤의 어둠 극복(레이더, 서멀 사이트 등), 기상 조건의 역이용(인천 상륙 작전), 그에 더해 인공 강우(기상 조종)처럼 기상을 군사적으로 이용한 사례도 있습니다.
2차 대전이 발발함에 따라 프랑스 본국이 독일에 항복하고 그 직후 1940년 9월 일본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반도를 침공했으며 그 후 일본군에 의한 군정 실시, 프랑스군의 무장 해제, 바오다이 황제에 의한 베트남 제국의 독립 등에 의해 프랑스의 약 80년간에 걸친 식민지 지배는 끝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