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규칙으로 배우는 임베디드 시스템 : 회로 설계 및 PCB 설계 규칙

규칙으로 배우는 임베디드 시스템 : 회로 설계 및 PCB 설계 규칙

(개정 2판)

장선웅 (지은이)
북랩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25,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1,000원 -10% 1050원 17,850원 >

책 이미지

규칙으로 배우는 임베디드 시스템 : 회로 설계 및 PCB 설계 규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규칙으로 배우는 임베디드 시스템 : 회로 설계 및 PCB 설계 규칙 (개정 2판)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모바일/무선/임베디드 프로그래밍
· ISBN : 9791172243555
· 쪽수 : 642쪽
· 출판일 : 2024-10-23

책 소개

전반적인 기초 이론을 다시 정리하고 그 이론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한다. 또한 시스템 개발 규칙을 만들기 위한 이론과 방법에 대해서도 다룬다. 이미 수많은 엔지니어의 경험에 의해 만들어진 경험 규칙(Rule Of Thumb)을 살펴보고 어떤 이유로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지 파악해야 한다.

목차

I. 시스템(SYSTEM) 이론
1. 전기/전자 기초
1.1. 전압과 전류
1.2. 저항, 커패시턴스, 인덕턴스
1.3. 키르히호프 법칙
2. 시스템과 신호의 종류
2.1. 선형 시스템
2.2. 전기 특성의 선형성
2.3. 신호의 종류
3. 신호의 주파수 성분 분해
3.1.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3.2. 푸리에 급수
3.3. 푸리에 변환
4. 시스템의 출력 해석
4.1. 시간 영역의 컨볼루션
4.2. 주파수 영역 해석의 푸리에 변환
4.3. 라플라스 변환
5. 전달함수
5.1. 라플라스 전달함수
5.2. 보드선도
5.3. 전기/전자 시스템의 임피던스
6. 시스템의 응답 특성 항목
6.1. 시간 영역의 응답 특성 항목
6.2. 주파수 영역의 특성 항목
6.3. 구형파로 보는 시간과 주파수 영역의 관계
7. 라플라스 전달함수의 표준 형식
7.1. 1 차 표준 시스템
7.2. 2 차 표준 시스템
8. 시스템의 안정성
8.1. 시스템 안정성 판단

II. 전기/전자 기초 이론
1. 전기/전자 소자 기초 특성
1.1. 전기/전자 소자의 구분
1.2. 전기/전자 소자 기초 특성의 이해
2. 전기/전자 기초 소자
2.1. 저항 소자
2.2. 커패시터(콘덴서)
2.3. 인덕터
2.4. 다이오드
2.5. 트랜지스터
2.6. MOSFET
2.7. OPAMP
2.8. CMOS 와 TTL
2.9. MCU

III. 노이즈(Noise) 기초 이론
1. 노이즈 종류
1.1. 노이즈의 형태
1.2. RC 필터로 보는 노이즈 전류 경로
2. 노이즈의 경로에 의한 구분
2.1. 전도성 노이즈
2.2. 유도성 노이즈
2.3. 방사 노이즈(전자파)
3. 노이즈의 방향에 따른 구분
3.1. 노멀 모드 노이즈
3.2. 코몬 모드 노이즈
4. 접지(Grounding)
4.1. 그라운드에 대해
4.2. 접지의 목적 및 종류
4.3. 접지의 방법적 구분
5. 링잉 노이즈의 해석
5.1. RLC 모델링을 통한 링잉 해석
5.2. 전송선로 이론을 통한 링잉 해석
5.3. 전송선로 판단 기준
5.4. 임피던스 매칭 방법
6. 부하의 종류와 노이즈
6.1. 저항성 부하
6.2. 인덕턴스 부하
6.3. 커패시턴스 부하
7. 전기/전자기기 EMC 인증 규격
7.1. EMC 의 의미와 인증 시험
7.2. EMS(전자파 내성)
7.3. EMI(전자파 간섭)
8. 전기안전 인증 규격
8.1. 규격 판단 기준 용어
8.2. 공간거리 및 연면거리
8.3. 전기안전 시험 항목

IV. 회로 및 PCB 설계 절차

V. 회로 설계 규칙
1. 회로 설계 규칙 세우기
1.1. 회로의 기능과 성능
1.2. 회로 안정성
1.3. 회로 안전성
1.4. 기타
2. 상용 전원 회로와 보호 소자
2.1. 과전류 보호 회로
2.2. 과전압 보호 회로
2.3. AC-DC 전원 변환
2.4. 회로 보호 소자

VI. PCB 설계 규칙
1. PCB 기초
1.1. PCB 기본 구조
1.2. PCB 제조 공정
1.3. PCB 설계 순서
2. PCB 레이어 결정 규칙
2.1. PCB 레이어 구조
2.2. PCB 레이어 사용 규칙
3. 부품의 배치(레이아웃) 규칙
3.1. 부품 배치의 분할 계획
3.2. 부품의 배치 순서
3.3. 부품 배치 시 고려사항
4. 신호선 배선 규칙
4.1. 일반적인 배선의 순서
4.2. 패턴의 두께 및 넓이 결정
4.3. 패턴의 간격 규칙
4.4. 배선의 규칙
4.5. 비아의 사용 규칙
4.6. 전원 및 그라운드 배선의 규칙
4.7. 고전류/EMC/발열 등 취약 지역 보강

VII. [참고]기능 및 신뢰성 검사

책속에서

1.3.4. CPU 버스 구조

CPU 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록하는 전기적 과정을 알기 위해서는 버스 구조를 알아야 한다.
버스(BUS)는 동일한 목적을 가진 신호선들의 묶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종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선로로 정의된다.
물론, 데이터 전송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인터페이스인 ARM CPU에서 사용되는 AMBA (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버스와 같은 경우 이 장에서 볼 단순한 SRAM 버스보다 복잡한 구조와 프로토콜을 가지는데, 결국 데이터를 주고받는 목적으로써의 개념은 동일하므로, CPU 동작의 이해 측면에서는 이 전통적인 SRAM 버스의 동작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이 버스 구조는 비단 CPU 와 메모리 사이의 연결 통로일 뿐 아니라, CPU 와 디지털 입/출력과 같은 주변 장치들과의 연결 통로가 된다.


4.1.3. PWM(Pulse Width Modulation)

앞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압으로 만들어 주는 DAC 컨버터를 보았다. 이보다 간단한 개념인 PWM(Pulse Width Modulation)은 펄스의 주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HIGH 상태의 시간을 바꾸어 가며 평균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PWM 구동 방식은 특정 전압을 출력하기 위하여 DAC 나 저항 분압 등의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디지털 포트 제어로 듀티비(HIGH 기간)를 조절하여 전압을 제어할 수 있어 간단하고, 낮은 전력 손실로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PWM 의 ON/OFF 스위칭 동작에서 스위칭 주파수 노이즈와 그의 하모닉(정수배) 노이즈를 유발하고 작은 링잉 노이즈가 계속 발생하게 되는 단점도 가지고 있지만, 단점보다 장점이 훨씬 크기 때문에 인버터, DC-DC 컨버터, LED 밝기 제어, 모터 제어 등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아래는 ON 구간과 OFF 구간의 폭이 다른 디지털 펄스 출력에 대한 평균 전압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2243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