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72248390
· 쪽수 : 130쪽
· 출판일 : 2025-09-09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행동정치학의 개념
1. 행동정치학이란
2. 행동정치학의 절대 가설
3. 선진국의 사회심리학
4. Social의 3차원
제2장
정치가에게 정체성은 왜 중요한가
1. 정체성의 수학적 함수방정식
2. 정치가에게 왜 정체성이 중요한가?
3. 정체성과 태도
4. 다윈의 진화론과 정치의 진보는 유사한가?
5. 좌현우식형 정치인들과 우현좌식형 정치인들은 누구인가?
6. 해방 이후 한국 대통령들의 정체성 분석 이론
제3장
민주 사회의 평가 권력들
1. 사회 불안의 실체
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3. 권력 평가 구조의 핵심
4. 사회적 불확실성의 문제들
제4장
하지만 현실 정치는 어떠한가
1. 한자와 유학 문화권에서는 체면 싸움이다
2. 명분 정치를 하는 이유
3. 서양에서 정치가라는 직업은 무엇인가?
4. 한자 옥편에서 체면과 유사한 5가지 용어
제5장
조작된 현실은 가능한가
1. 권력은 어떤 목적으로 현실을 조작하는가?
2. 소수의 우파가 다수의 좌파를 선거에서 이기는 비결
3. 좌파나 진보의 불안 심리와 정치적 응용
4. 최근의 불행학과 행복심리학의 문제점
제6장
정치와 역사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 한 국가의 국민으로서 나는 누구인가?
2. 20~30 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
제7장
민주주의 사회의 권력자들과 권력 게임
1. 정치 선거에 개입하는 언론 권력자들
2. 프레임 정치(Frame-Politics)와 액자 소설(Frame-Novel) 드라마 작가론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래서 국민이 정치가로부터 받는 중요한 스트레스나 사소한 스트레스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 국민의 정치, 즉 여론 정치의 시작이라는 점이다.
국민은 정치가에 대해서 지지자이건 지지하지 않건, 일정한 기대 심리가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진보 정치가는 진보 정치를, 보수 정치가는 보수 정치를 하기를 기대한다. 그런데 국민의 기대나 염원과는 엇박자를 내거나 반대로 간다면 국민들은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것이고, 심지어 좌절을 느끼면 그 정치가를 다양한 수단으로 공격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정치인 설득 영향력은 보수와 진보 신문과 방송 그리고 중립적인 SNS, 신문사의 판매 부수 순위와 진보와 보수 영향력, 방송사별 시청률 순위, 또는 뉴스 순위와 보수와 진보의 영향력과 연관이 있다.
그래서 국민은 국가권력을 평가하고, 국민의 평가에 안 맞으면 국가권력을 중도에 그만두게 하거나 다음 선거에서 국가권력 구조를 바꾸면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국민의 마음을 알고 국민의 기대와 염원을 안다면,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국민의 정치가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최근의 사회심리학 이론이 정치가나 정치심리학자에게 준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이론과 정치심리학적 연구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고민은 바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기 위해서이고,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기 위해서는 국민에 의한 국민의 정치의 요체는 국민의 기대를 아는 데서 출발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다양한 사례와 다양한 시각에서 행동정치학의 요체인 국민의 기대대로 정치가들이 행동하고 국민을 만족시키는 정치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치심리학적인 연구와 실패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