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지리학
· ISBN : 9791172670146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4-07-31
책 소개
목차
서문
감사의 글
1부 개념적 기반
제1장 지리학-우리는 어떻게 공간적으로 사고하는가?
제2장 경제-‘경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제3장 자본주의의 역동성-경제성장은 왜 불균등한가?
제4장 네트워크-세계경제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2부 주요 경제 행위자들
제5장 초국적기업-초국적기업은 어떻게 그 모든 것을 함께 유지하는가?
제6장 노동-이주 노동자는 뉴노멀인가?
제7장 소비자-누가 우리가 구매하는 것을 결정하는가?
제8장 금융-자본은 얼마나 강력해졌는가?
3부 경제의 거버넌스
제9장 국가-누가 경제를 운영하는가?
제10장 국제기구-어떻게 국제개발을 운영하고 촉진하는가?
제11장 환경-기후변화는 모든 것을 변화시키는가?
4부 사회문화적 차원
제12장 클러스터-근접성이 왜 중요한가?
제13장 정체성-경제는 젠더화되고 인종화되었는가?
제14장 대안-우리는 다양성 경제를 창출할 수 있을까?
5부 결론
제15장 경제지리학-지적 여행과 미래의 방향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 세계의 대학 강의실에 등장하는 몇 가지 물건이 있다. (중략)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또는 자동판매기에서 구입한 일회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생수병일 것이다. 이 물의 대부분은 거대 초국적기업이 운영하는 자회사에 의해 현지에서 병에 담겼을 것이다. 그중 일부는 프랑스, 노르웨이, 뉴질랜드, 피지, 캐나다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두고 수송되었을 수 있다.
심지어 가장 비싼 지자체의 상수도 비용도 소비자에게는 생수 가격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일부추정에 따르면, 생수는 가격대와 구입처에 따라 수돗물 가격의 240~1만 배 사이로 판매되고 있다. 여러 생수 브랜드가 수돗물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특히 불공평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국의 많은 브랜드의 생수는 지하수가 아니라 지자체의 수돗물을 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병입 시설은 지역 상수도업체가 생수 제조 기업과 공급 계약을 체결할 의향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입지할 수 있다. 그러면 대도시 지역과 같이 수요가 집중된 곳 가까이에 입지하는 것이 한층 용이하다. 생수는 운송하기에 부피가 크고 무거운(따라서 비용이 많이 드는) 상품이므로, 주요 시장 부근에 입지하는 데 상당한 인센티브가 있다. 이는 그림 1.4(27쪽)에서 뉴욕시와 북동부 도시 회랑, 중서부의 시카고, 남부 캘리포니아의 로스앤젤레스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은 장소 부근에 일부 집중이 왜 이루어지는지를 설명해 줄 것이다. _27쪽
-1장 「지리학-우리는 어떻게 공간적으로 사고하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