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7274018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4-11-08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유다, 대제사장들에게 예수를 팔아넘기려고 그들과 만나다
유다는 누구인가
배신자에 대한 정경복음서 저자들의 입장
히브리 성서가 예수의 몸값에 미친 영향
마지막까지 예수와 함께한 여성들과 그 후예들
오늘날까지 부정적이기만 한 유다라는 명칭
예수의 족보와 유다라는 이름들
육신으로 얽힌 예수의 가족
예수 시대의 대제사장들
예수가 빌라도 앞으로 끌려가기 전에
2장 유다, 최후의 만찬 자리에서 슬그머니 빠져나오다
최후의 만찬에 대한 정경복음서 저자들의 입장
‘13’이라는 불길한 숫자와 다락방
최후의 만찬에 대한 사뭇 다른 관점
히브리 성서에서 차용했을 유다의 ‘은돈 삼십 닢’
기도에 대한 예수의 유산
예수에 대한 유다의 배신은 하나님의 명령인가
예수가 저주한 무화과나무
3장 죽지 않았더라면 유다, 그날의 일들을 다르게 전했을 것이다
사본으로만 구성된 신약성서
제자들과 함께라서 더욱 고독했을 예수
진정한 의미의 십자가
세속적인, 너무나 세속적인 교회의 전통
무심코 지나치지 말아야 할 신약성서의 이름들
히브리 성서에서 차용한 또 다른 파편적 서사들
4장 유다, 뜨거운 감정을 들키지 않은 채 차디차게 입맞추다
예수의 마지막 기도와 얽힌 정황들
공관복음서가 전하는 예수의 가상사언
성서를 근거로 통용되는 속설들
예수가 사랑한 제자 요한이 전하는 그의 가상삼언
예수와 성가족
시편 69편을 바탕으로 되살린 예수의 참된 가르침
예수의 일곱 가지 말이 가상칠언인 이유
잔인한 입맞춤 현장 속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사항들
유다의 배신에 대한 바울의 입장
유다의 배신에 관한 새로운 관점
예수의 자의식
‘배신자’라는 유다의 역할에 후새가 미친 영향
유다의 시각으로 예수를 바라보고자 한 복음서
악마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
관계적일 수밖에 없는 겸손과 교만
5장 유다, 배신자라는 오명을 벗고 이 책에서 안식을 찾다
예수의 웃음에 담긴 첫 번째 의미
예수의 웃음에 담긴 두 번째 의미
예수의 웃음에 담긴 세 번째 의미
예수의 웃음에 담긴 네 번째 의미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유대인들이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은커녕 메시아로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특히 기독교에서는 알게 모르게 유대인 개개인을 배신자 가룟 유다와 동일시했다. 그리고 이들이 예수를 거부했기에 그에 상응하는 징벌로 거의 재건할 수 없을 만큼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가 자행되었다고 믿는다. 이와 같은 배타적 신앙의 경향은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끔찍하기만 한 종교의 몰지각한 일면을 노출할 뿐이다. 거듭 강조하지만 가룟 ‘유다’라는 이름은 다수의 제자들이 갈릴리 지방 출신이었던 것과 달리 유다가 ‘게리옷’이라는 지명과 관련된 유대 어느 지방 출신이었으리라는 점에서 단순히 ‘유대에서 온 사람’을 지칭한 사례일 수 있다.
그렇다면 가룟 유다가 배신할 것이라는 사실을 공표했을 때 비로소 예수의 속은 후련해졌을까? 그렇지도 않았을 것이다. 바야흐로 배신자를 지목한다는 것은 당장 예수의 십자가 수난이 시작된다는 뜻이다. 마침내는 거부할 수 없는 운명 앞에서 자기가 십자가에 매달려 죽고 만다는 의미가 아닌가. 그런데도 제자들은 자신들이 배신자가 아니기만 바랐다. 심지어 그들은 적신 빵 조각을 받아드는 사람이 바로 배신자라고 일러주고 나서 예수가 즉시 그 빵조각을 가룟 유다에게 건네주었는데도 예수를 고발하게 될 자가 누구인지조차 모른다.
성만찬이 예수의 공생애를 뛰어넘어 오늘날까지 교회를 지탱시켜온 중요한 성례전 가운데 핵심이라면 당신은 궁금하지 않은가. 가룟 유다는 예수가 우리를 위해 흘려야 하는 피의 길로 예수를 인도 한 장본인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가룟 유다는 사탄의 하수인이어야만 하는가? 유다의 배신 이야기에서 사탄을 처음으로 끌어들인 것은 누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