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73078880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25-04-28
책 소개
목차
AI + 애니메이션
01 애니메이션 산업과 제작 기술의 발전
02 애니메이션 산업과 생성형 AI
03 생성형 AI 기반의 애니메이션 제작
04 생성형 애니메이션의 미학
05 프롬프트 애니메이션
06 페르소나 애니메이션
07 생성형 애니메이션 창작자와 소비자
08 AI와 애니메이션 산업의 확장
09 생성형 애니메이션 제작 교육
10 AI와 애니메이션 산업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칼턴대학교(Carleton University) 영화학과 교수였던 마크 랑거(Mark Langer)는 2001년 10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SAS(Society for Animation Studies)의 국제학술대회에서 ‘애니메이션 역사의 종말(The End of Animation History)’을 선언했다. 그는 프랜시스 후쿠야마(Francis Fukuyama)의 “역사는 경쟁하는 시스템 간의 구별 또는 갈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논지를 바탕으로, 기술의 변화가 애니메이션과 영화 같은 상이한 형태의 이미지 생성 사이에 일반적으로 인식된 구분이 존재했던 역사적 시기가 종말을 맞이했다고 주장했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영화의 타자로만 인식됐던 애니메이션이 디지털 신기술을 통해 점차 영화와 자연스럽게 융합하면서 확장되는 당시의 산업적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그러므로 랑거는 애니메이션의 종말이 아닌 새로운 역사의 시작을 선포한 것이기도 하다.
-01_“애니메이션 산업과 제작 기술의 발전” 중에서
이렇듯, 생성형 AI 기반의 애니메이션 제작은 결과적으로 종합예술의 미학적 정체성을 지닌 생성형 애니메이션 2.0(이하, 생성형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것이다. 애니메이션은 태생적으로 연극, 영화, 게임 등과 같이 종합예술의 미학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은 문학, 회화, 음악, 무용, 건축, 촬영, 조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미학적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요소 단위의 창작 작업은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생성형 AI는 그러한 개별 작업의 과정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생성하는 효율성과 혁신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03_“생성형 AI 기반의 애니메이션 제작” 중에서
이와 같은 너프 기술 기반의 너패니메이션 플랫폼은 창작자가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로 자신의 외형과 동작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생성되는 3D 캐릭터를 매개로 하여 실시간 상호작용적인 형식의 페르소나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창작자는 너패니메이션 플랫폼이 지원하는 가상의 상호작용적인 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조형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자신이 의도하는 미학적 영감이나 정서적 욕구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더 나아가 자신만의 페르소나를 발현하면서 페르소나 애니메이션의 생성 주체가 되는 것이다.
-06_“페르소나 애니메이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