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73079931
· 쪽수 : 157쪽
· 출판일 : 2025-05-22
책 소개
목차
새로운 시대, 새로운 말하기
01 퍼블릭 스피킹의 역사와 AI의 등장
02 AI와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의 융합
03 콘텐츠 개발에서의 AI 활용
04 음성과 표현력 개선을 위한 AI 기술
05 청중 분석과 AI
06 윤리적 쟁점과 한계
07 교육 현장의 AI
08 토론과 AI
09 리더십 커뮤니케이션과 AI
10 미래의 퍼블릭 스피킹
저자소개
책속에서
흥미로운 점은 AI의 실시간 음성 및 감정 분석이 연사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설자가 강조해야 할 핵심 부분이나 청중의 반응에 따라 발언을 조정하도록 돕는 AI 보조 기술은, 연사의 직관적 의사소통을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준다. 이로 인해 우리는 단순한 ‘퍼블릭 스피킹’에서 ‘협력적 스피킹’으로의 전환, 즉 인간과 기술이 협력해 더 나은 커뮤니케이션을 이끄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01_“퍼블릭 스피킹의 역사와 AI의 등장” 중에서
AI는 소셜 미디어 데이터, 설문 조사, 고객 피드백 등을 분석해 청중의 연령, 성별, 관심사, 지역적 특성 등을 파악해 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연설자가 청중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어느 기업 행사에서 퍼블릭 스피킹을 해야 할 경우, AI 기반의 청중 분석 도구가 참석자의 데이터를 분석한 뒤 “주요 관심사는 친환경 기술과 지속 가능성”이라는 인사이트를 도출해 제시해 준다면, 연설자는 이에 맞춘 사례와 메시지를 보다 쉽게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는 당연히 청중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메시지의 설득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귀결될 것이다.
-03_“콘텐츠 개발에서의 AI 활용” 중에서
어떤 정치인이 선거 유세를 위해 AI 기반 청중 분석 시스템을 도입해 연설 중 청중의 표정, 음성, 제스처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했다고 가정해 보자. 연설자는 사전 청중 분석에 관해 AI의 도움을 받았고 특정 주제에서 청중의 반응이 긍정적임을 확인하고 그 부분을 더욱 강화해 메시지 전달력을 높였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일부 청중이 자신의 데이터가 무단 수집되었다고 느끼며 개인 정보 침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해당 시스템 도입에 대한 반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06_“윤리적 쟁점과 한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