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부모교육
· ISBN : 9791185160061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3-12-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감정적인 훈육은 어떤 후유증을 낳을까? 4
Chapter 1. 공감 훈육으로 아이와 소통하라
과연, 훈육은 무엇일까? 18
벌을 줄 때 부모가 지켜야 할 원칙 23
호기심과 자녀의 미래 26
창조적인 사람들의 3가지 공통점 29
자녀와 대화하는 방법 33
공부 못하는 아이를 위한 공부법 37
공부와 자존심의 관계 44
겁이 많은 아이 47
죽음에 대해 자녀와 대화하기 53
도전과 모험심 57
가정폭력과 자녀교육 61
사춘기의 방황하는 자녀를 슬기롭게 키우는 효과적인 방법 66
공감대가 필요한 이유 71
바움린드의 3가지 양육 스타일 75
Chapter 2. 아이의 행동 장애에는 심리적인 이유가 있다
자해 82
공황장애 91
게임중독 102
등교 거부증 113
왕따 117
자위행위 121
아동 조울증 126
아스퍼거 증후군 131
선택적 함묵증 137
만성불안증 141
반응성 애착장애 146
손가락을 빠는 아이 151
틱 장애 155
언어발달 지체 및 지연 158
Chapter 3. 마음이 평화로운 아이가 성공한다
과잉행동 자녀에게 ‘1-2-3’ 매직 걸기 164
아이의 집중력 강화법 168
해로운 심리 에너지 172
아이비리그 육아법 176
시험불안증 정복하기 180
자녀와의 올바른 대화법 183
돌을 씹는 것처럼 어려운 자녀양육 187
부모로서의 자존감 191
자녀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방법 194
로젠탈 효과 199
부모노릇 공부하기 204
고집쟁이 길들이기 217
Chapter 4. 실전 심리상담 사례별 처방 및 대책
0∼3세 아이들의 사례별 처방 및 대책
사례1 낯을 심하게 가리는 아이 223
사례2 형에게 도전하는 둘째 아이 224
사례3 물고 꼬집는 아기 226
사례4 엄마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는 딸 228
사례5 많이 우는 아이 230
사례6 때리는 아이 232
사례7 옷 입기 싫어하는 아이 234
사례8 난폭한 아이 236
사례9 상호작용이 안 되는 아이 238
사례10 밤에는 아빠를 거부하는 딸 240
사례11 동생을 본 이후로 어리광이 심해진 아이 242
사례12 고집 세고 공격적인 아이 244
사례13 산만하고 공격적인 아이 246
사례14 청개구리 아이 248
사례15 엄마한테만 꼭 붙어 있는 아이 250
3∼5세 아이들의 사례별 대책 및 처방
사례1 징징대는 아이 255
사례2 유아원에 다니면서 난폭해진 아이 258
사례3 심하게 떼쓰는 아이 260
사례4 상호작용이 부족한 아이 262
사례5 물을 무서워하는 아이 264
사례6 잠시도 가만히 안 있는 아이 266
사례7 잠을 안 자는 아이 268
사례8 울고불고 소리지르는 아이 270
사례9 너무 수다스런 아이 272
사례10 자다가 울면서 깨는 아이 274
사례11 분노 조절을 못하는 아이 276
사례12 수시로 사랑을 확인하는 아이 278
사례13 특정한 것에 유독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아이 280
사례14 동생을 시샘하는 큰아이 284
5∼6세 아이들의 사례별 대책 및 처방
사례1 친구 문제로 유치원 가기를 거부하는 아이 287
사례2 발표를 못하는 아이 290
사례3 잔인한 그림을 그리는 아이 292
사례4 버릇없는 아이 294
사례5 도벽에 거짓말이 의심되는 아이 유치원 296
사례6 집중력이 떨어지는 아이 298
7∼10세 아이들의 사례별 대책 및 처방
사례1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 305
사례2 화내고 소리 지르는 아이 308
사례3 다른 사람의 관심에 과하게 반응하는 아이 310
사례4 스트레스 받는 우리 아이 312
사례5 거짓말하는 아이 315
사례6 산만하고 충동적인 아이 320
사례7 혼자 중얼거리는 아이 325
사례8 몽유병이 있는 아이 326
사례9 문제가 많은 급우 때문에 피해를 보는 경우 328
사례10 수술 전후에 난폭해진 아이 330
사례11 과잉성 행동장애가 있는 아이 332
사례12 비난과 나쁜 말로 가득 찬 일기를 쓰는 아이 334
10세 이후 아이들의 사례별 대책 및 처방
사례1 조울증 증상이 있는 아이 337
사례2 가치관이 비뚤어진 아이 338
사례3 카드를 몰래 쓴 아이 340
사례4 머리를 쥐어뜯는 아이 342
사례5 손톱을 물어뜯고, 뭐든지 냄새 맡는 아이 344
사례6 게임중독 증세를 보이는 아이 346
사례7 입시 불안증이 있는 아이 348
사례8 공부 안 하는 아이 352
가정환경 문제의 상황별 대책 및 처방
사례1 재혼한 경우의 훈육 355
사례2 양육의 의견 차이 356
사례3 아들에게 집착하는 엄마 358
사례4 편부모 가정의 아이 360
사례5 보호자가 자주 바뀐 아이 362
사례6 어린 시절의 상처를 가진 부모의 경우 36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저자의 서문 중에서
“나쁜 선생님은 있어도 나쁜 제자는 없단다.”
자녀교육에 많은 관심이 있는 필자에게는 참으로 인상 깊은 말로 다가왔다. 선생님이란 존재는 제자들에게 막대한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제자의 배움과 행동, 그리고 성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말이다. 사실 그 말은 자녀 양육에 있어 정곡을 찌르는 말이다. 우리는 부모로서 우리가 자녀에게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지 이해를 못할 때가 많다.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며 훈육하는 가정을 관찰하면, 이런 훈육이 비효과적이라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자녀는 순간적으로는 문제의 행동을 멈추겠지만, 이것은 행동의 근본적인 교정보다는 부모의 분노에 집중하고 혼나는 순간에 대한 두려움만 유발시키게 된다. 자녀는 부모의 눈치만 보게 될 것이고 내면으로는 점점 부모가 내 편이 아닌 두려움의 대상으로 여겨지게 될 수가 있다.
-중략-
아이가 실수를 할 때는 부모가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자녀교육의 좋은 기회다. 이런 기회를 매번 분노를 이기지 못해 날려버리는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이렇게 격하게 화를 내는 부모의 눈치를 보며 자라는 아이는 모든 것에 대한 자신감을 잃게 되는 모습을 자주 보이게 된다. 실수를 할까봐 걱정하고, 지레 겁을 먹고 시도도 하지 못하는가 하면 불안증과 우울증으로 중요한 시기에 자신의 지적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학창시절 동안 대인관계의 문제로 고통을 받기도 한다. 때로는 자아발달에 문제가 생겨 권위주의를 앞세우는 부모에게 반항적인 행동으로 일관하거나 섭식장애(거식증, 폭식증)나 비정상적인 성격이 형성되는 등의 아주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